CAFE

서병수 부산시장 "일 경험 공유하는 청년센터 설치

작성자도성|작성시간15.02.14|조회수314 목록 댓글 0

서병수 부산시장 "일 경험 공유하는 청년센터 설치…주거 보증금 펀드는 즉시 검토"

서병수 시장, 청년정책 바꾼다

 

 

  


- 부산서 행복 포기하는 일 없게
- 청년들 직접 만나 챙길 것

- 제기능 못한 지역 취업사이트
- 일자리 정보 제대로 담고
- 인재 발굴 프로젝트 곧 착수

- 유학생·외국인 근로자 보듬고
- 전통시장을 창업 전진기지로
- 세계 청년콘퍼런스도 추진

지난 3일 국제신문 신년기획 '청년을 구출하라' 취재팀과 만난 서병수 부산시장은 "청년들이 인생의 가장 기본적인 행복을 포기하는 일이 없어야 한다. 그들을 더 많이 만나 고민을 듣겠다"고 말했다. 또 "일 경험을 나누는 공간이 필요하다는 국제신문의 제안에 공감한다. 전통시장의 빈점포나 산복도로 빈집이 청년 창업의 거점이 될 수 있도록 검토하겠다"고 약속했다. 다음은 일문일답.

   
부산시가 '청년센터' 육성을 위해 벤치마킹하게 될 서울청년일자리 허브. 김화영 기자

-국제신문이 청년 500명을 대상으로 면접조사를 했더니 응답자의 16%가 결혼·출산·연애 중 하나를 포기했거나 포기할 수 있다고 했다.

▶어렵다(한숨). 무거운 책임감도 느낀다. 5명 중 한 명이 인생의 기본적인 행복을 포기하다니…. 결혼·연애·출산의 포기는 개인의 문제를 넘어 인구 감소와 경기 침체로 연결된다. 전반적인 사회의 활력도 떨어뜨린다. 청년이 없으면 부산의 미래도 없다. 부산시의 모든 정책의 초점을 청년에 두겠다.

-'부산은 취업기회가 많은 도시입니까'라는 질문에 절반 가까이가 '아니다'고 했다.

▶부산은 고학력자가 많은 반면 괜찮은 일자리가 부족해 고용 흡수력이 떨어진다. 빅데이터를 활용해 구직-구인 수급 불일치 대책을 마련하겠다. 정보의 미스매치도 풀어야 한다. 많은 일자리 정보 사이트가 있지만 기능을 못한다. 부산·울산·경남 일자리 정보를 부산 고용정보시스템(워크넷)에서 서비스할 예정이다. 기업의 장래 성장 가능성까지 알 수 있도록 제대로 만들라고 지시했다.

-청년 실업률이 9%를 돌파했다. 부산은 청년 고용률이 전국 꼴찌이다. 지방 공기업 일부는 '정원의 3% 청년 채용' 규정도 지키지 않고 있는데.

▶부산의 인재(Talent) 발굴과 기술(Technology) 혁신을 위한 'TNT 2030 계획'을 마련했다. 현재 핵심 연구개발사업에 대한 수요조사를 진행 중이다. 우수인력의 수도권 이탈을 막으려면 산업화 연계형 연구개발이 중요하다. 중소기업도 청년들이 일하고 싶은 근무환경을 만들어야 한다. 부산은 주거공간과 직장과의 괴리가 심하다. 동부산권에서 산업단지가 많은 서부산권(사하·사상·강서구)까지 출근하는 데 1시간30분이 걸린다. 서부산권은 개발계획을 정주·문화·교육이 어우러진 복합도시로 수정해야 한다. 부산으로 이전한 공공기관과 최근 지역인재 35% 이상 채용 협약을 체결했다. 청년을 채용하지 않는 지방 공기업은 명단을 공개하고 연말 경영성과 평가에서 불이익을 주겠다.

-청년 구직자들이 어렵게 취업하고도 그만두는 경우가 많다. 서울과 광주는 '일 경험'을 나누는 서울일자리허브와 광주청년센터를 운영 중이다.

▶신문에서 '첫 직장을 그만둔 청년층 비율이 62.3%에 달한다'는 보도를 접했다. 그들을 '반수생'이라고 하더라. 잦은 이직은 사회적 낭비다. 일의 가치에 대해 고민하고, 성공과 실패 사례를 통해 교훈을 얻고, 정보를 나누는 공간이 필요하다는 지적에 공감한다. 부산경제진흥원의 청년일자리센터 규모를 150평 이상 확대해 '청년 센터'로 활용하겠다. 서울청년일자리허브 모델에서 한발 더 나아가 유학생이나 외국인 근로자도 보듬는 계획을 수립 중이다. 청년들에게 필요한 것 중 하나가 또래 선배의 경험이다. 동아리 인맥을 활용한 멘토·멘티 네트워크 구축도 지원하겠다.

-청년들의 목소리가 정책에 전달되는 통로가 부족하다는 지적이 많다.

▶청년과의 소통이 부족했다. 늦어도 다음 달까지'청년위원회(가칭)'를 출범하겠다. 청년 대표와 부산시장이 공동위원장을 맡는 구조다. 일자리·주거·문화·여성·소통·도시재생·소통 분과에서 300여 명이 활동한다. 그들이 만든 정책을 적극 반영하겠다. 대통령 직속 청년위원회가 모델이다.

-서울로 활동 근거지를 옮기는 부산 청년예술인도 많다.

▶안타깝다. 청년위원회와는 별도로 청년문화위원회도 운영하려 한다. 청년문화기획인과 청년예술인 15명이 앞으로 부산시 청년문화정책에 대해 심의·의결할 예정이다. 청년문화 프로젝트 20개도 선정했다. 올해 ▷청년예술가 창작물 기획·제작·발표 지원 ▷청년문화시설·인력·활동 조사 ▷청년문화박람회 개최 ▷대학가 청년창조문화발전소 운영부터 추진한다(청년문화위원회는 9일 출범했다).

-전통시장의 빈점포나 노후 마을의 빈집을 청년창업가나 청년상인에게 제공하자는 제안도 있는데.

▶부산진시장과 평화시장에 빈점포가 많다. 이곳에 젊은 디자이너를 투입하려고 한다. 독특한 제품을 만들면 젊은 층이 찾지 않겠느냐. 전통시장이 청년 창업의 전진기지 역할을 할 수 있다는 데 동의한다. 산복도로 빈집을 수리해 예술창작촌이나 청년 자취방으로 제공할 수도 있다. 홀몸노인과 청년이 함께 사는 1·3세대 셰어하우스도 좋다. 도시재생의 마지막 목표는 '청년이 정착하는 마을'이어야 한다.

-'잘자리'라는 부산의 셰어하우스가 있다. 그곳에 입주한 청년들이 건물 임대 보증금을 서울에서 빌렸다.

▶(깜짝 놀라며) 부산에는 빌릴 데가 없나. (배석한 공무원들에게) 당장 대책을 마련하라. 금융기관 통해서 청년들을 위한 보증금 펀드 조성도 검토하라.

-자치단체마다 청년정책을 의제화하고 있다. 서울·광주·대구는 청년전담부서를 신설했다. 광주는 전국 청년정책 콘퍼런스도 준비 중인데.

▶부산시는 연간 150건 이상의 국제회의를 개최하는 마이스(MICE) 도시이다. 메가 이벤트가 열리면 부산 청년들이 참가하는 부대행사도 마련했다. 지난해 ITU 전권회의에서는 'ITU 전권회의 청년포럼'을 통해 ICT 분야 젊은 지도자들의 네트워크를 구축했다. 무엇보다 세계의 청년들이 부산을 많이 찾도록 해야 한다. 부산이 강점인 영화영상과 ICT·금융·해양 부문에서 청년과 관련된 의제를 지속적으로 발굴해 '청년 네트워크 중심도시'라는 인식을 확산하겠다. 장기적으로 '세계 청년 콘퍼런스'를 부산에서 개최하면 좋을 것 같다. 국제신문 /이노성 기자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댓글

댓글 리스트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