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최고 고수 소중한 박사모님 오늘도 힘내세요 (억지로 늙지 않기)

작성자영란|작성시간19.03.11|조회수108 목록 댓글 0

[억지로 늙지 않기]



가능(可能限) 한 사람은 자연(自然)스럽게 늙어야합니다. 하지만 현대인(現代人)은 억지로 늙는 사람이 많은 것이 예상(豫想)보다 많음이 사실(事實)이다.


마음과 몸을  자연의 흐름에 따르지 않고  너무 편(便)한 것을 선호(選好)하여 몸과 마음을 녹슬게 하여 억지로 늙음을 자초(自招)하게 합니다.


사람의 몸은 하나님이 부르시는 시간(時間)까지 바르게움직이고 활동(活動)하도록 설계(設計) 되어 있습니다.


편안(便安)함에 길들어서 몸의 각 부분이 퇴화(退化)하여 능력(能力)을 발휘(發揮)하지 못하고 억지로 늙어버립니다.

 

사람의 몸은 참으로 정교(精巧)하여  설계대로만 바르게 사용(使用)한다면 삶을 마치는 시간까지 큰 불편(不便)이 없이 사용 가능한 것이 정상(正常)입니다.


나이가 많아질수록 섭생(攝生)에 주의(注意)하며, 너무 기름지게 먹지 말며,고운마음을 가지고 부지런히 움직이고 적당(適當)한 일을 즐겨야 합니다.


나이에 관계(關係)없이 일을 즐기며 낙천적(樂天的)으로 살아야 합니다. 일은 저주(咀呪)가 아니고 늙지 않게 하는 묘약(妙藥)이고  축복(祝福)이기에 즐겁게 일하며 활동하여 억지로는  늙지는 말아야 합니다.


삶을 즐기며 원망(怨望)이나 슬픔을 철저(徹底)히 배격(排擊)하며 외로움이나 어려움마저도 슬기롭게 승화(昇華)하고  늙음을 자초하지 않는 노년(老年)의 삶은 한층 멋지고 아름답습니다.


나이 들어가면서도 사회(社會)와 자식(子息)에게 짐이 되지않고 당당(堂堂)히 독립적(獨立的)으로 살아가는 노년의 모습은 참으로 아름답습니다.


사람이 억지로 늙지 않는 비밀(秘密)은 현명(賢明)하게 나이먹는 것입니다. 현명하게 나이 먹는 비결(祕訣)은


주어진 삶과 일을 철저히 즐기며 시간을 가치 있고  보람차게 최대(最大)한 슬기롭게 잘 활용(活用)하는 것입니다.


바르게 열심(熱心)히 사는 노년의 당당한 모습은 차원(次元)높은 하나님의 작품(作品)입니다.<다래골 著>


 [노년(老年)은 또 하나의 삶]


노년은 새로 전개되는 제3의 삶이다.  나이와 화해를 배우며 불편과 소외에 적응하고 감사와 사랑에 익숙해야한다. 기대수치를 최대로 줄이고  현실에 적응하는 슬기는 제3의 삶을 편하게 한다.


건강과 절제와 경제력이 준비가 되어있다면 제3의 삶은 생활의 멋을알아가는 기회다. 삶의 전 과정은 노년을 위한 준비라고 할 수도 있다.

 

특별한 경우가 아니라면  건강이나 경제적 문제도 노년이 되기 전에 준비하지 않으면 필연적으로 병고와 궁핍을 피할 수 없다.


노년이라는 제3의 삶을 완숙되고 아름답게 살기위해서 힘과 여유가 조금이라도 남아 있을 때 준비하는 것이 현명하다.


노후를 소홀히 하면 큰 불행을 만나게 된다. 노년은 일찍 죽지 않는 한 누구나 만나는 인생의 소중한 과정이다.


당당하고 멋진 노년이 되느냐? 지탄받고 짐이 되는 인생으로 살 것이냐? 하는 것은 자기하기 나름이다.


길어진 제3의 삶을 생각하지 않고 있는 대로 낭비하며  노년의 건강을 생각하지 않고 질펀하게 먹고 마신 결과는 노후의 병고와 가난이라는 복병을 피할 수 없다.


젊어서부터 생활은 간결하고 소박하게 하여  낭비에 물들지 말고  농부처럼 부지런 하고 종교인처럼 성실하며 철학자처럼 지혜롭게 사는 것에 익숙해야한다.

 

노년에게 주어진 제3의 삶을 사랑과 감사로 즐기는 것은 또 하나의 새로운 삶이다.


[저혈압(低血壓)은 어떤 문제(問題)가?]
 
고혈압이 중증 심뇌혈관질환의 원인이 된다는 사실은 많이 알고 있다. 하지만 저혈압의 위험성에 대해서는 모르는 사람이 많다.


저혈압은 수축기 혈압이 90mmHg, 이완기 혈압이 60mmHg 이하인 경우다.


저혈압을 방치하면 어지럼증이 생기는 것은 물론이고, 뇌, 심장, 콩팥등 중요 장기에 혈액 공급이 원활히 이뤄지지 않을 수 있어 사망 위험도 높아진다.


저혈압은  원인이 분명하지 않은  1)'본태성 저혈압'과 2)심장질환, 폐질환, 위장병 등 원인에 의해 생기는 '속발성 저혈압'으로 나뉜다.

 

일반적인  저혈압 증상으로는  피로, 현기증, 손발냉증, 집중력· 지구력 감소, 두통, 어지러움, 이명증, 불면증, 호흡곤란, 식욕 감퇴, 변비, 설사, 복통 등이 있다.


방치하면 치명적인 질환을 유발하기도 한다.  저혈압이 심혈관질환 사망 위험을 최대 2.54배 높인다는 국내 연구가 있다.

 

연세대 보건대학원 지선하 교수팀은 1992년과 1995년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시행하는 건강검진을 받은 30세 이상 120만명을 20년간 추적 조사했다.


연구팀은 수축기 혈압이 90㎜Hg 미만인 사람을 저혈압으로 구분하고  혈압이 정상 범위(90~99㎜Hg)인 일반인과 사망 위험도를 비교했다.


그 결과, 저혈압 환자는 심장에 혈액을 공급하는 관상동맥이 좁아지거나 막혀 발생하는 허혈성심장질환에 의한 사망 위험이 일반인보다 2.54배로 높았다.


저혈압 환자의 사망 위험은 정상인보다 1.18배로 높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저혈압은 시신경에 혈액을 충분히 공급하지 못해 시력 장애를 유발하기도 한다. 노인은 저혈압으로 실신하면 뼈가 부러지기 쉬운데,


이로 인해 활동을 못 하게 되면서 심폐기능이 떨어지고 폐렴등이 생겨 사망까지 이어질 수 있다.


저혈압을 막으려면 원인이 되는 질환을 치료하는 것이 우선이다. 특정 질환탓이 아니라면 비타민B와 엽산을 충분히 보충하는 게 도움이 된다.


<저혈압에 예방에 좋은 식품과 방법>

 

1)비타민B와 엽산은 정상적인 혈압을 유지해주는 데 도움을 주고 혈액순환을 촉진한다. 비타민B12는 치즈, 우유, 요구르트와 같은 유제품과 생선에 많다.


2)엽산은  브로콜리, 시금치 같은 짙은 녹색의 채소에 많다. 이들 식품을 꾸준히 먹거나, 영양제 등으로 보충하면 저혈압 예방에 효과적이다.


3)콩·견과류도 좋다. 콩은 고단백, 저칼로리 식품으로 필수아미노산도 풍부하게 함유돼 있다. 혈압 조절에 좋은 효과가 있다.


두부, 콩밥, 청국장, 낫토, 비지 등 콩이 들어간 식품을 자주 섭취하면  저혈압 예방에 도움이 된다. 또한 견과류는 비타민E가 풍부하게 함유된 식품이다.


4)비타민E는  혈액 순환을 원활하게 해주는 기능을 한다.  녹황색 야채류도 좋은데, 호박과 당근에는 베타카로틴이 풍부하게 함유돼 있다.


베타카로틴은 체내에 들어오면 비타민A로 바뀌어 면역력 향상은 물론이고  혈액순환도 원활하게 돕는다.  저혈압의 증상 중 하나인 냉증이나 어깨 결림 등 완화에 좋다.


5)부추와 쑥갓은 신진대사와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한다.


6)운동도 혈압 상승, 혈액 순환, 신진대사를 촉진시켜 저혈압을 완화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하지만 초기부터 심한 운동을 하게 되면 탈진하거나 졸도할 위험도있어


맨손 체조 등의 가벼운 운동부터 점차적으로 강도를 늘려야 한다. 운동을 시작하기 전에 전문의와 상의하는 것이 안전하다.


7)저혈압은 심리 상태와도 관련이 있으므로 취미에 몰두하거나 기분전환의 기회를 많이 갖는 것도 좋다.


8)목욕은 혈액 순환을 촉진시켜 혈압 상승에 도움을 주고  정신적 스트레스 해소에도 좋다.<출처: 이해나 헬스조선 기자>


<저혈압 증상 예방에 도움 되는 생활습관 9가지>


1.하루에 수분 2~2.5리터 정도를 섭취한다.
2.규칙적으로 식사를 하며 영양소와 비타민, 미네랄도 충분히 섭취한다.
3.저혈압을 일으킬 수 있는  이뇨제, 혈관 확장제, 안정제 등의 약물 복용을 가능한 먹지 않는다.
4.술은 혈관을 확장시켜 혈압을 떨어뜨릴 수 있으므로 자제한다.
5.잠을 잘 때 머리를 15~20도 이상 올린 상태로 잠을 잔다.


6.아침에 갑작스럽게 일어나지 않도록 하며, 잠에서 깬 후 잠시 휴식을취하고 일어난다.
7.뜨거운 물로 오랫동안 샤워를 하거나 장시간 서 있지 않는다.
8.규칙적으로 꾸준한 운동을 하되 과격하거나 심한 운동은 피하는 것이 좋다.
9.저혈압 증상이 나타날 때에는 누워서 휴식을 취하는 것이 도움 된다.


-   孫英蘭~ 배상   -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