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박사모 산악회

중년 여성 괴롭히는 '족저근막염'…발병 원인은

작성자곡우 조순배|작성시간22.06.09|조회수8 목록 댓글 0

중년 여성 괴롭히는 '족저근막염'…발병 원인은

 

↑ 사진=게티이미지뱅크

50대 여성이 족저근막염으로 가장 많이 진료받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족저근막은 발바닥에 넓게 퍼져있는 단단한 섬유성 결합조직 구조물로 걸어 다닐 때 발을 올려주며,

발의 아치를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이 부위에 염증이 생겨 통증을 일으키는 질환이 족저근막염입니다.

이 질병에 걸리면 오랫동안 앉아 있거나 누워 있다가 갑자기 발을 디딜 때 뒤꿈치 주변부 발바닥에

찢어지는 듯한 날카로운 통증을 느낍니다.

달리기나 장시간 걷기 등의 운동, 평발, 종아리(아킬레스) 근육 단축, 체중 증가, 족부 관절염, 서

있는 시간 증가, 불편한 신발(하이힐) 등이 원인입니다.

오늘(17일) 건강보험공단이 건강보험 진료데이터를 활용해 2014~2018년간 `족저근막염(M72.2)`

환자를 분석한 결과, 족저근막염 진료 인원은 2014년 17만9천명에서 2018년 25만8천명으로 44%

(연평균 9.6%) 증가했습니다.

성별로는 남성은 2014년 7만6천명에서 2018년 10만9천명으로 45.2%(연평균 9.8%), 여성은 10만3천

명에서 14만8천명으로 43.2%(연평균 9.4%) 증가했습니다.

2018년 족저근막염 진료환자를 성별로 보면 여성 14만8천125명(57.4%), 남성 10만9천804명(42.6%)

으로 여성이 남성보다 1.3배 많았습니다.

2018년 연령대별 전체 진료 현황을 보면, 50대 환자가 6만7천317명(26.1%)으로 가장 많았습니다.

이어 40대 5만4천904명(21.3%), 60대 4만859명(15.8%), 30대 4만54명(15.5%) 등 순이었습니다.

박민정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정형외과 교수는 "족저근막염은 보통 40∼60대 여성에게 많이

발생하는데 이 연령대 여성의 사회 진출이 증가하면서 서 있는 시간이 늘어난 것을 질환 증가의

한 가지 원인으로 추정해 볼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여성은 50대가 4만5천709명(30.9%)으로 가장 많았고, 40대 3만1천186명(21.1%), 60대 2만5천624명

(17%) 등 순으로 족저근막염 진료를 받은 것으로 나왔습니다.

남성은 40대 2만3천718명(21.6%), 30대 2만1천942명(20%), 50대 2만1천608명(19.7%)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족저근막염 환자 건강보험 진료비는 2014년 161억원에서 2018년 263억원으로 101억원이 늘어

연평균 13% 증가했습니다.

장시간 서 있거나 운동을 하는 경우에 수시로 발바닥 부위 스트레칭과 마사지 등을 하며, 적절하게

체중을 조절하고, 발바닥 부위에 쿠션이 있는 편한 신발을 신는 것이 족저근막염 예방에 중요합니다.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