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스크랩] 북한봉쇄작전(PSI), 드디어 시동! (4)

작성자sosj|작성시간05.05.15|조회수174 목록 댓글 0
북한봉쇄작전(PSI), 드디어 시동!

외국 언론들은 하루 종일 북핵 문제를 다루고 있다. 미국은 북한의 김계관 외무차관이 지난달, 핵병기를 테러 조직이나 제3국에 이전할 가능성에 언급한 것에 대해 “매우 도발적”이라고 반응했다. 미국은 이 발언을 문제 삼아 북한을 전방위적으로 봉쇄하기 위해 PSI에 긴급히 시동을 걸었다.

미국의 데트라니 한반도 평화 담당 대사는 3일,「악몽의 시나리오는, 핵물질이나 핵병기가 테러 조직에 건너는 것이다」라고 강조했고. 이것을 피하기 위해 다수의 나라가 PSI에 참가해, “강한 태도로 임하고 있다”고 말했다.

"북한이 위기를 고조시키고 있다",

워싱턴 타임즈, UPI  및 교토통신


Japan has another mechanism in place to pressure North Korea. Washington backed by Tokyo has launched the Proliferation Security Initiative (PSI), which allows for the seizure of missiles and other potential components of weapons of mass destruction shipped from North Korea or other countries of concern.

 

출처 : http://cafe.daum.net/systemclub

 

 

워싱턴타임즈, 한국정부 강력 비난




서울 관리들은 북한의 단거리 미사일 발사와 지하 핵실험 징후의 중요성을 희석시키고 있다. 반면 미국 등의 대북 행보가 북한과의 긴장을 고조시킬 것에 대해 걱정하고 있다.

지난 일요일 일본을 향해 날린 미사일은 핵탄두를 장착할 수 없는 것이며, 북핵과는 아무런 연관이 없는 것이라고 그 의미를 희석시킨다. 함경북도의 지하핵실험 움직임에 대해서도 아무 것도 아니라고 일축했다. 북한의 최근 행보는 단지 미국과의 협상력을 높이기 위한 것이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미국은 북한의 행위를 이런 의도로 생각하고 있지 않으며. 북한의 움직임 하나하나를 모두 국제적 명분을 축적하는 데 사용하고 있다.

한국관리들은 일본이 기울어져 가는 북한 경제에 새로운 제재를 가할 것에 대해 매우 염려한다. 미국과 일본은 제5차 6자회담이 결렬된지 만 1년이 되는 6월을 데드라인으로 생각하고 있다.

일본은 UN 안보리 절차 없이 이미 경제봉쇄를 시작했다. 일본은 경제 제재 이외에 또 다른 제제 메커니즘도 동원하고 있다. 미국은 일본의 이러한 협력을 배경으로 해상봉쇄에 들어갔다. 워싱턴타임즈는 한국정부가 계속해서 북한을 감싸고 있다며 사례를 들어 가면서 맹비난하고 있다.
---------------------------------------------------------------

출처 : http://cafe.daum.net/systemclub

http://www.washtimes.com/upi-breaking/20050503-061749-4836r.htm


Analysis: North Korea raises the stakes


By Jong-Heon Lee
UPI Correspondent


Seoul, South Korea, May. 3 (UPI) -- South Korean officials are playing down the significance of North Korea's missile test and signs of its imminent nuclear test, but they are much concerned that the series of moves would further raise nuclear tensions on the peninsula.

The say North Korea's launch of a missile on Sunday was a short-range weapon incapable of carrying a nuclear warhead and not related to Pyongyang's drive for atomic bombs.

Government officials also dismissed on Tuesday reports by a local daily that the North Korea was preparing to conduct an underground nuclear test in one of its northeastern towns.

But the missile test came at an especially worrisome time, with concerns that Pyongyang is moving forward with its nuclear weapons program as it has shut down a nuclear reactor, possibly to harvest more weapons-grade plutonium.

The new report that U.S. intelligence authorities detected signs that North Korea was preparing for an underground nuclear test also was the latest in a string of signs and analysts' predictions that the communist state is moving towards a nuclear test. South Korean officials believe the North's moves are tactics to raise the stakes in the nuclear standoff, hoping for a better deal from the United States. But the Bush administration has ignored the North Korean ploys and apparently used them to muster international support for tougher actions against the Kim Jong Il regime.

The Seoul government is especially concerned that Japan may use the fresh signs to impose sanctions on North Korea, which could worsen its already faltering economy.

Washington has reportedly warned Japan that North Korea might be ready to conduct an underground nuclear test as early as June. News reports have also said that the United States and Japan were considering a deadline of June -- the one-year anniversary of the last round of talks -- for North Korea to return to the multilateral talks.

Tokyo has already been empowered to impose trade sanctions on North Korea under the revised Foreign Exchange and Foreign Trade Law, which was passed in February and removed the restriction that the measure must be accompanied by a U.N. Security Council resolution.

Japan has another mechanism in place to pressure North Korea. Washington backed by Tokyo has launched the Proliferation Security Initiative (PSI), which allows for the seizure of missiles and other potential components of weapons of mass destruction shipped from North Korea or other countries of concern.

Tokyo was alerted on Sunday when North Korea test-fired a missile toward to the Japanese mainland. It was stunned in 1998 when North Korea launched a Taepodong-1 missile over Japan and into the Pacific Ocean.

Japanese Defense Agency Director General Yoshinori Ono played down Sunday's missile test as posing no danger to Japan, but criticized North Korea, saying: "Why would they have to conduct such a test when suspicions over nuclear and missile development have been cast over them?"

Some Japanese diplomats consider the North's missile test as a warning that it could launch longer missiles if Japan imposes a maritime blockade against the isolated communist neighbor.

South Korean officials quickly played down the missile test, saying it involved a short-range weapon unable to reach as far as Japan and with no link to Pyongyang's nuclear programs.

"The missile that North Korea fired is a short-range missile, and is far from the one that can carry a nuclear weapon," Deputy Foreign Minister Song Min-soon told Seoul's official Yonhap News Agency. "This is not a case to be linked to the nuclear dispute," he said.

Other officials said the missile is presumed to be a surface-to-ship guided missile with a range of up to 160 kilometers, but it flew 120 kilometers on Sunday's test, which came at the end of a routine military exercise.

The Defense Ministry, which refused to confirm‎ the North's missile test even after the White House confirmed it, quickly held a news briefing on Tuesday in which it dismissed a new report that North Korea is preparing to conduct an underground nuclear test in one of its northeastern towns.

Earlier that day, South Korea's largest daily Chosun Ilbo, said the United States has detected signs that North Korea may be planning to conduct a nuclear test in Kiljoo in North Hamkyong Province, near the east coast facing Japan.

Chosun Ilbo citied a government source as saying that a U.S. reconnaissance satellite has taken pictures of the movement of trucks, cranes and other equipment in a Kiljoo location and that U.S. authorities gave its satellite pictures and an analysis of the images to South Korea.

But Seoul's Defense Ministry denied it was given U.S. satellite pictures. "We have received no such intelligence from the United States, nor seen any signs of such activity in the area," said the ministry spokesman Shin Hyun-don.

Sou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have been closely watching the area around Kiljoo after detecting signs that massive excavation works have been under way to build a tunnel there since the late 1990s, he said. "Anything unusual concerning a nuclear test has not been detected in Kiljoo," Shin said.

Defense Minister Yoon Kwang-ung also told journalists that the military "has not yet seen any signs" of a nuclear test in the North. The ministry, however, said it did not know the purpose of the tunnel in Kilju.

Some analysts said the truck and other equipment movement at the suspected nuclear site are aimed at drawing U.S. attentions by heightening the stakes in the nuclear impasse. "North Koreans know well such movements would be easily detected by U.S. satellites. Their purpose is to seek to attract U.S. attention for a big deal," said a defense analyst who requesting anonymity.

"The U.S. side knows Pyongyang's tactics as well, and that's why Washington has dismissed North Korea's act of brinkmanship," said Kim Jae-chon, a professor at Seoul's Sogang University. "As North Korea raises the stakes in the nuclear standoff, it becomes easier for the United States to win international support for punitive actions," he said.

출처 : http://cafe.daum.net/systemclub

 

출처 : http://cafe.daum.net/systemclub

 

 

지구촌 저~편에 있는 친구 Vs. 이웃의 적



오늘(2005.5.5) 조선일보 6면의 40%는 "한국의 통일 모델은 독일 아닌 EU"라는 제하에 오스트리아 빈대 빈클러 총장의 인터뷰를 실었다.



                                     “한국의 통일모델은 독일아닌 EU”


오스트리아 빈 대학 빈클러 총장 인터뷰
“獨, 통일비용 지금도 매년 GDP 5~10% 부담 유럽대학, 국내외 대학간 교류로 경쟁력 높여”
이한수기자 hslee@chosun.com

입력 : 2005.05.04 18:52 09' / 수정 : 2005.05.05 04:54 45'




▲ 게오르그 빈클러 총장은“독일은 통일 과정에서 경제적 측면을 간과해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한국은 단계적으로 통합한 유럽연합의 경험에서 더 적절한교훈을 얻을 수 있다”고 말했다/이덕훈기자  

“독일은 갑작스런 통일 과정에서 엄청난 경제적 비용을 지불했습니다. 한국은 유럽 통합처럼 단계적(step by step)으로 통일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독일 통일의 경제적 비용을 연구한 거시경제학자인 오스트리아 빈대 게오르그 빈클러(Georg Winckler) 총장은 “한국은 정치적인 통일은 이루더라도 경제적 통합은 서두르지 말아야 한다”고 충고했다. 독일 통일 직후인 1990년 분데스방크(독일중앙은행)에서 열린 동서독 화폐의 환율 결정 회의에 참여했던 그는 독일 통일보다는 유럽통합을 한국 통일의 모델로 제시했다. 지난달 800여개 유럽 대학의 최고의사결정기구인 유럽대학연맹(EUA) 회장으로 취임한 그는 국제교류재단 초청으로 고려대 100주년 기념행사 참석과 서울대와 학술교류협정 체결을 위해 한국을 처음 방문했다. 4일 그를 만나 한국의 통일과 대학개혁 문제에 대해 이야기를 들었다.

―당신은 독일 통일과정의 비용을 경제학적으로 연구했다. 분단국가로 남아 있는 한국이 독일 통일과정에서 얻을 수 있는 교훈은 무엇인가.

“1989년 베를린 장벽이 무너졌을 때 정치인들은 기뻐한 나머지 경제적 측면은 간과했다. 통일이 그렇게 빨리 올 줄은 몰랐다. 콜 총리는 이번 기회를 놓치면 통일이 어려워진다고 조바심을 냈다. 통일 비용으로 독일은 경제적 어려움을 겪고 있다. 한국은 정치적 통일은 하더라도 경제적 통합은 차근차근 단계를 밟아야 한다.”

―독일 통일의 경제적 비용이 그렇게 막대한가.

“독일은 GDP(국내총생산)의 5~10%를 매년 지불하고 있다. 정치인들은 동독 사람들의 생활수준 향상을 위해 생산성을 앞지르는 단계까지 임금을 인상했다. 그 결과 실업률은 무려 20%까지 치솟았다. 공산주의 사회에서 완전고용을 이뤘던 동독 사람들은 오히려 불만이 커져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다. 통일 이후에도 임금 인상은 생산성을 앞지르지 않도록 해야 한다.”

―한국은 어느 정도 통일비용이 들 것으로 보나.

“한국은 1990년대 말 경제위기를 겪었지만 이후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한국이 서독 역할을 맡아야 할 것이다. 하지만 북한의 경제 수준은 통독 당시 동독보다 훨씬 떨어진다. 서독 인구는 동독의 4배였지만 한국 인구는 북한의 2배에 불과하다. 한국은 독일보다 더 많은 비용을 지불해야 할 것이다. 독일의 경험보다는 유럽 통합과정에서 교훈을 얻어야 한다. 유럽연합은 한꺼번에 이뤄지지 않았다. 헝가리, 체코, 슬로바키아, 리투아니아, 라트비아 등 동구권 국가들을 단계적으로 통합시켰다.”

―한국이 통일을 위해 준비해야 할 일은.

“북한이 매력적인 투자지가 되도록 해야 한다. 북한의 사회경제적 인프라를 구축하고 경제적 상황이 좋아지도록 해야 한다. 도로건설과 에너지산업, 병원과 학교 등 사회 인프라에 투자할 공공자금(public fund)을 마련하는 일이 중요하다. 그러나 하나의 국가는 이루면서도 당분간 두 개의 경제시스템을 운영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요즘 한국은 대학 경쟁력이 화두다. 노무현 대통령은 ‘대학은 산업이다’라고 말하기도 했다.

“유럽에서도 뜨거운 주제다. 유럽 대학들은 국제적 표준보다는 나라마다 분파적인 시스템을 갖추고 있었다. 관료주의의 그늘에 있었던 것도 사실이다. 유럽 대학은 최근 국가 간, 대학 간 이동성(mobility)을 강화해 국제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빈 대학은 25~30%의 학생이 다른 나라 학생들이다. 연구자들의 이동성도 보장해 분파주의를 극복하면 국제적 압력에서 벗어날 수 있다.”

―한국은 인문학 지원자가 해마다 줄고 있다.

“인문학은 삶을 살아가는 의미를 제공하는 학문이다. 이것이 대학의 역할이기도 하다. 단기적 효과와 이익을 내는 것도 중요하지만 대학은 사회가 어디로 가는지 장기적인 트렌드에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미국은 하나의 언어를 사용하고 있지만 다문화(multi-cultural), 다언어(multi-lingual)인 유럽은 학문 다양성을 통해 국제 경쟁력을 확보하고자 한다.”

―유럽의 한국학 연구 현황은 어떤가.

“일부 대학은 연구가 증진되고 있지만 일부는 감소하고 있다. 결국은 재정문제다. 독일은 재정이 어려워 한국학 연구가 소홀해지고 있다. 빈 대학은 4월 1일자로 한국학 교수를 채용했다.”
====================================================================================

2000.9.4. 필자는 한나라당 야간대학원에 가서 강연한 바 있다. 그 내용 중 일부를 아래 발췌한다. 최근글에서 "유럽식"을 검색하면 아래 내용을 찾을 수 있다.
통일란에 가도 유사한 내용들이 있다.


출처 : http://cafe.daum.net/systemclub
                                                    

 

                                                                  아 래


통일의 모델엔 세 가지가 있다.

(1)통일유럽
(2)미국식 연방국가
(3)독일식 통일국가

(1)통일유럽은 주권을 갖은 독립국가들간의 연합이다.
(2)미국식 연방국가는 지방정부의 자치를 인정하면서 강력한 중앙정부를 갖는 것이다. 바로 고려연방제가 추구하는 모델이다.
(3)이제 북한의 욕심은 한 단계 더 진전했다. 독일식 통일을 꿈꾸고 있는 것이다 최근 돌아가는 상황을 음미해보면 김정일은 남한을 흡수통일 하려고 하며, 정부는 그에 호응하고 있는 것 같다.

우리는 무슨 통일을 바라야 하는가? 필자는 개인적으로 유럽식의 통일을 원한다. 두 개의 주권 국가를 인정하고 남북한이 사이좋은 이웃국가로 공존하는 것이다. 이렇게 하자면 두 가지 시스템이 바뀌어야 한다. 첫째는 휴전선을 국경선으로 바꾸는 것이다. 들째, 남북한이 UN감시 하에 상호군축을 단행하고, 군을 후방으로 철수시키고 총 뿌리를 하늘로 지향하게 해야 한다. 군축 규모는 상대방이 발을 뻗고 잘 수 있도록 충분히 작은 것이어야 한다.

제2, 제3의 모델은 매우 위험한 모델이다. 북한으로 하여금 이에 대한 유혹을 갖지 못하게 하는 방안은 하루빨리 제1의 모델을 선포하는 것이다. "한반도에 한 사람의 대통령을 갖는 통일"을 추구하는 한, "무혈입성"의 길도, "남침"의 길도 열려있다. 이를 막는 길은 "한사람의 대통령을 갖는 통일"을 원천봉쇄 해야 한다.

캐나다와 미국을 보자. 사이좋은 형제국가들이다. 서로를 통일의 대상이라고 생각하면 그들도 남북한처럼 으르렁댈 것이다. 몫이 보장돼 있기 때문에 캐나다와 미국은 사이좋은 형제국으로 자유롭게 왕래하고 있는 것이다. 남북한도 그런 식으로 살 수 있으면 그것이 바로 통일이 아니겠는가?
====================================================================================
출처 : http://cafe.daum.net/systemclub

                                               이선호-배성관 Vs. 빈들러 총장


실로 오랜 만에 필자의 통일론과 정확하게 일치하는 석학을 발견하게 되어 오늘은 그래도 기쁜 날에 속한다.

유럽식 통일은 각기의 나라들이 독립적인 주권을 가지고 자유왕래하고 서로 연대하여 공동의 선을 위해 협력하는 식의 통일을 말한다. 필자의 영구분단통일론이 정확하게 유럽식 통일 모델이다.

필자는 1997년에 "통일의 지름길은 영구분단이다"라는 책을 썼고, 이 책은 당시 거의 모든 언론에 대서특필됐었다. 신사고와 발상전환의 사례를 보여준 신선한 충격이라는 내용으로! 독일식 통일을 버리고 유럽식 통일을 추구하자는 내용이었다.

그런데 두 사람의 대령과 파아란이라는 여성이 필자의 통일방안을 고려연방제로 매도하면서 송사로까지 이어졌다. 이선호 대령(예), 배성관 대령(예) 그리고 파아란이다. 이선호는 한 때 군사평론가로 활약했지만, 지난 해 필자를 서울지검 공안부에 필자의 사상을 검증해 달라는 진정서를 냈다.  영구분단통일론이 고려연방제라는 것이다.

배성관과 파아란 역시 같은 시기에 인터넷을 통해 필자를 빨갱이로 매도했고, 심지어 파아란은 필자를 김대중이 우익진영에 심어놓은 간자라고 표현하면서 공격의 수위를 높이고 집요하게 글을 쓰게에 필자는 이를 멈추게 하기 위해 배성관과 파아란을 묶어 고?峠? 놓고 있는 상태다.    

위 세 사람은 필자가 이 세상에 태어나 받아본 인신공격적 표현 중에서 가장 으뜸적인 표현을 했으며, 이로 인해 세 사람은 지금 민형사상의 재판에 걸려 있다.

오늘 아침에 조선일보에 난, 한국의 통일모델! 빈들러 총장이야 말로 [민족]을 뛰어 넘는 필자의 친구가 아닐 수 없다. 같은 민족이요 같은 나라에서 '목숨바쳐 국가를 지킨다'며 대령까지 했던 사람들은 필자의 글을 곡해하여 정신적 고통을 안겨주는 반면, 지구촌 저~ 켠에서 얼굴 한번 보지 못한 빈들러 총장은 필자에게 이토록 기쁨의 꽃다발을 선사하는 것이다! 민족이라는 것이 얼마나 웃기는 것인가를 읽게 해주는 또 하나의 사례인 것이다.    

출처 : http://cafe.daum.net/systemclub

 

 

 

 

 

북핵, 외교관의 손에서 군인의 손으로!


북에서 누군가가 김정일을 잡아다 비치지 않는 한, 전쟁은 불가피해 보입니다. 한반도에서의 새로운 전쟁에 살아남는 길을 모색하는데 가장 큰 장애물은 사전 예고가 어렵다는 것입니다. 미국은 이미 일본에 비상시기를 대비하라는 메시지를 주었습니다. 그 내용은 알려지지 않고 있습니다.  이처럼 미국은 일본 정부에 정보를 주는데 한국정부에는 정보를 주지 않습니다. 불신입니다. 한국정부가 정보를 모르니 국민이 알 수 없지요. 이게 문제입니다.

약 한달 전, 미국에서는 국무성 사람들과 국방성 사람들 간의 대화가 있었고, 그 대화의 일면을 일본인 친구가 알려주었습니다. 그 일본 친구는 그 자리에 있었던 유일한 일본인 학자였다 합니다. 물론 한국 사람은 그 자리에 없었구요.

“국무부는 빨리 북한을 국방부로 넘겨라. 즉시 해결할 텐데 왜 그렇게 붙들고 꾸물대느냐”

오늘 처음으로 미국방부 부차관이 일본인들과 만났다더군요. 미국과 일본간에 군사분야 사람들이 나타나기 시작하면 여기에서부터는 군인세상이 됩니다. 군사협력에 관한 한, 미국은 6자 중 일본 하나만 필요합니다. 미 국방 차관의 일본 방문은 우리나라 신문에는 보도조차 안 됐습니다만 설사 났다 해도 기자나 일반 독자들은 국방부 차관이 일본에 갔다는 것에 대한 특별한 의미를 건져내기 어려울 것입니다. 저는 이 한 줄의 외신 기사에서 이제 북한은 외교의 장에서 군사의 장으로 넘어갔다는 냄새를 맡습니다.
출처 : http://cafe.daum.net/systemclub

 

 

 

 

 

 

북한공격은 UN안보리와 무관



                                                          UN안보리는 형식절차


한국 언론들은 북핵 문제를 UN안보리로 가져갈 것이라며 수선을 떨고 있다. UN안보리에 회부가 되면 중대국면에 돌입된다는 뜻이다. 그러나 이는 세상 돌아가는 이치를 전혀 모르고 하는 말이다. 북한의 핵은 미국국민의 생명을 직접적으로 위협하는 급성 암이다. 미국은 이를 하루라도 빨리 제거해야 한다.

9.11 테러를 당한 것도 미국이요, 북한 핵으로부터 한 차원 더 높은 대량 살상 테러를 당할 수 있는 국가 역시 미국이다. 이로써 미국은 정당방위 차원에서 북한을 공격할 자격이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미국이 어째서 미국의 운명을 중국이 거부권을 행사할 UN안보리에 내맡기겠는가?  미국이 바보인가? UN 안보리의 결정에 승복해야 할 성격의 것이라면 미국은 미쳤다고 1년 전부터 그 엄청난 예산을 뿌리면서 사상 최대규모의 전투력을 이 지역으로 옮겨왔겠는가?

아프카니스탄, 이라크를 공격할 때에도 미국은 안보리의 결정에 따라 행동하지 않았다. 특히 이라크 공격 당시 프랑스, 중국, 러시아가 얼마나 반대하고 나섰는가?

북한은 핵물질을 계속해서 생산하고 또 이를 테러들에게 넘겨줄 수 있다고 협박했다. 협상력을 높이려는 술수였겠지만 미국은 이를 대북봉쇄 및 무력사용에 대한 명분으로 아주 잘 이용하고 있다. 이미!

지난 2005.3.24. 필자는 최근글에 "UN 안보리 회부를 크게 부각시키는 것은 북한을 속이기 위한 양동작전일 수 있다. 성동격서!"라는 글을 쓴 적이 있다. UN안보리 절차는 남는 시간을 이용한 명분축적과 양동작전의 일환일 것이다. 세계인들이 UN안보리 절차에 눈을 돌리고 있는 사이에 기습공격을 하는 것이다.  


북한공격 여부에 대한 의사결정은 UN으로 가져간다면 중국은 비토권을 행사할 것이다. 물론 러시아까지 북한 제제에 동의를 한 상태에서 중국 혼자만 거부권을 행사하면 중국은 국제사회에서 눈총을 받게 될 것이고, 이는 향후 중국의 행보에 상당한 부담이 될 것이다. 또한 현재로서는 북한 인권문제가 워낙 악성적으로 국제사회에 부각돼 있어서 중국 역시 끝까지 거부권을 행사하기가 어려운 상황이긴 하다. 미국은 이렇게 유리한 입장에 서있긴 하지만 그래도 미국은 미국의 운명을 UN 안보리에 의탁하지는 않는다.



                                            좌익은 신조에 따라, 조선-동아는 얼간이 생각에 따라!


오늘(5.6) 아침 조선일보가 사설에서 시국에 한참 뒤떨어지는 글을 썼다. 미국 국가정보위원회(NIC) 데이비드 고든 위원장의 발언 및 반기문 장관의 발언, 딱 두개를 가지고 “북핵이 중대국면”, “한국안보가 거덜날 수 있는 국면”이라며 정부의 대책을 촉구하는 글을 쓴 것이다.

그리고 이렇게 끝을 맺었다. “정부의 그런 태도는 북한으로 하여금 문제 해결을 위한 결단을 내리게 하기보다 오히려 ‘한국은 우리 편’이라는 생각으로 위험한 게임을 계속하도록 부추기는 듯한 결과밖에 가져오지 못했다. 대북 경제 지원을 핵문제와 連繫연계하는 방안도 구체적으로 검토해 보아야 한다. 그런 성의 있는 태도가 동맹국 사이에서 한국의 발언권을 존중하는 분위기도 만들어 줄 것이다. 정책과 행동은 시기를 놓치면 효과가 없다.”

조선일보의 이 사설 역시 어제 동아일보 사설과 똑같은 내용을 담고 있다. 뒤늦게나마 시국이 좀 이상하게 돌아간다는 것을 어렴풋이 인지한 것으로는 보인다. 시국이 이렇게 돌아간다면 앞으로 한반도의 운명은 미-일-영 등 미국의 연합국들에 달려있다. 그렇다면 조금 전까지도 좌익들이 펴놓은 멍석에서 반미-반일의 굿판을 벌이도록 부추긴 조선과 동아의 행동은 그야말로 한국의 무덤을 파는 행위가 아니었는가?

오늘 아침 조선일보의 사설에 조선일보는 정부를 꾸짖었다. 정부가 "남한은 북한 편”이라는 메시지를 북에 주는 행동을 했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조선과 동아는 북에 이런 메시지를 주지 않았는가? 조선과 동아가 미선이-효순이를 더 띄웠고, 독도-역사왜곡-한승조 교수 때리기에  누구보다 앞장섰으며, 반미-반일운동의 선봉에 섰던 매체들이다. 또한 최근에는 정보를 독자적으로 취재하지 않고, 정부가 주는 보도자료만 그대로 베껴 신문이라고 내놓지 않았는가? 신문 스스로도 앵무새였으면서 방송더러 앵무새라 비난한 것도 조선과 동아였다.

좌익 빨갱이들은 ‘위대한 수령동지’(우수김동) 김일성의 명령이라 반미-반일을 한다 하지만, 조선과 동아는 무엇 때문에 반미-반일에 그토록 앞장서 왔는가?

반미-반일 기조를 유지해야 장사가 잘 된다는 생각,

그래야 유식하다는 평가를 받을 것이라는 생각,

그래야 민족정신과 애국심이 있어 보인다는 생각,

이런 생각들 때문에 한 것이 아닌가?

좌익들은 빨갱이 세상을 만들어야 하겠다는 뚜렷한 신조 때문에 했다. 하지만 조선과 동아는 무슨 신조를 가지고 5분전까지 반미-반일에 열을 올렸는가? 이렇게 보면 좌익들보다 더 얼간이 같은 사람들이 조선과 동아에 살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  

출처 : http://cafe.daum.net/systemclub

 

 

 

 

뉴욕타임즈 1면 톱기사(2005.5.6)



아래는 뉴욕 타임즈 기사를 발췌 번역한 것입니다. 지금 미국에서는 핵실험 뉴스가 반복적으로 다뤄지고 있습니다.


한마디로 요약하자면 함경북도 길주에서는 분명히 지하핵실험 준비가 굉장한 속도로 진행되고 있으며, 이는 북한이 인도 및 파키스탄과 같은 케이스로 핵회원국이 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는 내용입니다.

인도나 파키스탄은 미국을 적대시 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북한은 미국을 적대시하는 테러지원국입니다. 미국은 결코 북한 핵실험을 용납하지 않을 것으로 봅니다.


                              

                                                  뉴욕타임즈(번역)



백악관과 펜타곤은 인공위성 사진을 매우 심도 있게 분석하여 북한이 지하핵실험 준비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고위 손님들에게 브리핑을 할 수 있는 자리들까지 건설해 놓았다.

부시행정부 관리들은 북한의 함경북도 핵실험 의혹을 받고 있는 지역에서 발생한 폭발에 대한 질문을 받았을 때, 인공위성은 김정일의 의도를 찍을 수는 없다는 것을 상기시켰고, 또한 김정일은 인공위성에 찍히라고 의도적으로 그런 시설은 만들어 놓았을 수도 있다고 말했다. 북한은 어려운 경제상황을 타개하기 위한 보다 높은 보상을 얻어내려고 부시행정부에 압력을 가할 수 있다. 북한은 억지를 협상 도구로 사용하는 방법을 잘 알고 있다. 그러나 우리는 북한이 확실하게 무엇을 하고 있는지 말해 줄 수 없다  

그렇지만 미국 관리들은 일본과 한국에게 충분히 경보했고, 핵실험의 정치적 의미에 대해서도 경고를 한 바 있다. 목요일 아침, 부시는 김정일을 사실상 대변하는 중국의 후진타오와 오랫동안 의논했다. 새로운 증거들에 대해서도 이야기를 나누었느냐는 질문에 대해 부시는 대답해 주지 않으면서 그 대신에 북한을 6자회담에 복귀시키려는 의지를 표명했다.  

지난 몇 해 동안 미국 정보 당국들은 북한의 기술 능력과 핵연료를 무기로 전환했는지에 대해 토론을 벌여왔다. 그 토론은 북한이 지난 2.10. 핵보유를 공식적으로 선언한 이래 더욱 격렬해졌다.  

북한의 최근 활동들은 세 미국인들에 의해 알려졌다. 이 세 사람은 인공위성 사진을 직접 분석했거나 사진을 해석한 리포트를 분석한 사람들이다. 이들은 외국 관리들에게 이 정보를 설명해 주었지만 그들 국가들은 이러한 자료를 해석할 수 있는 독자적인 능력이 없었다고 강조했다. 미국의 어느 한 정보국에서 일하는 관리들에 말에 의하면 그 나라는 이런 새로운 활동이 진전되고 있는지에 대해서도 모르고 있더라 했다.  

미 관리의 말이다. “지난 10월 이후 미국은 특히 함경북도 길주에서 지하핵실험 준비로 추정되는 활동을 계속해 온 것을 관찰했지만 요사이 그 준비가 매우 빠르게 진전되고 있다”.
길주의 터널은 1998년 파키스탄 핵실험 용 턴널과 유사한 것이며, 작업속도는 전례가 없을만큼 빠르게 이루어지고 있다. 북한에 핵기술을 전했다는 칸 박사는 자주 북한을 방문했다고 털어놓았다. 미국관리는 한마디로 길주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작업은 핵실험을 하기 위한 것으로 밖에는 생각하기 어렵다.

(중 략)

결론적으로 북한은 지금 인도나 파키스탄 이스라엘 등의 모델을 추구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인도와 파키스탄이 핵실험을 했을 때, 미국은 경제적 봉쇄를 취했다. 그러나 2001. 9.11 테러 이후에 미국은 파키스탄의 도움이 필요해지자 봉쇄를 풀었다.  

------------------------------------------------------------------------------------------

                                                          북한의 반응

"美 선제공격 징후 보이면 北 먼저 핵공격"<김명철 박사>
[연합뉴스 2005.05.06 16:15:46]

문관현 기자 = "미군이 선제공격을 독점하는 시기는 이미 지났다. 우리에게도 선제공격 카드가 있다. 우리는 전면전에는 전면전으로, 핵에는 핵으로 대응한다."미국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서 대북제재 결의안을 채택할 가능성이 다각도로 점쳐지는 가운데 '김정일의 비공식 대변인'으로 알려진 김명철 박사가 최근 자신의 저서에서 북한측의 핵전쟁 시나리오를 언급해 관심을 모으고 있다.

미국이 단독으로 혹은 유엔을 통해 대북제재를 가하면, 북한은 그것을 사활이 걸린 문제로 인식할 뿐만 아니라 선전포고로 간주하게 될 것이라고 수 차례 경고한 바 있기 때문이다.

김 박사는 자신의 저서 '김정일 한(恨)의 핵전략'이라는 저서에서 "김정일은 어떠한 상황에서도 미군의 선제 핵공격을 용인하지 않을 것"이라면서 "김정일은 미국이 대북 선제 핵공격을 고려하는 징후가 보이면 미 본토에 대해서 분명히 선제 핵공격을 가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그날을 위한 준비는 이미 끝났다"고 언급했다.

혹시라도 미국의 선제 핵공격을 허용할 수는 있지만 북한의 핵보복 능력은 여전히 존재할 것이며 북한은 미 본토에 가차 없이 보복 공격을 퍼부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미국이 원자폭탄보다 위력적인 대형 수폭을 떨어뜨린다 해도, 지하관통무기 핵벙커버스터를 투하해도, 북한의 암반은 강고한 화강암으로 이뤄져 8천여개에 달하는 북한의 지하시설은 끄떡도 하지 않을 것이라는 것.

김 박사는 미국이 ▲단독으로 혹은 유엔 안보리를 통해 대북제재를 가하는 경우 ▲북한을 오가는 항공기 또는 선박을 임검ㆍ나포ㆍ격침시키는 경우 ▲한반도 주변에 미해군 병력 10만명을 집결시킬 경우를 미국의 대북 선제공격 징후로 진단했다.

이같은 징후가 보이면 북한이 먼저 미국에 핵공격을 한다는 게 김 박사의 주장이다.

김 박사는 북한의 핵전력이 동해와 서해ㆍ태평양상의 미함대와 항공모함 전투그룹, 주일미군과 일본 내 원자력발전소, 도쿄ㆍ오사카(大阪)ㆍ후쿠오카(福岡)ㆍ삿포로(札幌) 등 대도시, 하와이ㆍ괌과 미국내 뉴욕ㆍ워싱턴ㆍ시카고ㆍ로스앤젤레스ㆍ샌프란시스코 등 미 본토를 강타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
출처 : http://cafe.daum.net/systemclub

 



May 6, 2005
U.S. Cites Signs of Korean Steps to Nuclear Test
By DAVID E. SANGER and WILLIAM J. BROAD
WASHINGTON, May 5 - White House and Pentagon officials are closely monitoring a recent stream of satellite photographs of North Korea that appear to show rapid, extensive preparations for a nuclear weapons test, including the construction of a reviewing stand, presumably for dignitaries, according to American and foreign officials who have been briefed on the imagery.

North Korea has never tested a nuclear weapon.

Bush administration officials, when asked Thursday about the burst of activity at a suspected test site in the northeastern part of the country, cautioned that satellites could not divine the intentions of Kim Jong Il, North Korea's leader, and said it was possible that he was putting on a show for American spy satellites. They said the North Koreans might be trying to put pressure on President Bush to offer a improved package of economic and diplomatic incentives to the desperately poor country in exchange for curtailing its nuclear activities.

"The North Koreans have learned how to use irrationality as a bargaining tool," a senior American official said Thursday evening. "We can't tell what they are doing."

Nonetheless, American officials have been sufficiently alarmed that they have extensively briefed their Japanese and South Korean allies and warned them to be prepared for the political implications of a test.

On Thursday morning, Mr. Bush spoke at length about North Korea with President Hu Jintao of China, who has been his main interlocutor to Mr. Kim's government. The White House refused to say whether the two men had discussed the new evidence, focusing instead on what officials said was Mr. Bush's determination to get North Korea back to the negotiating table in six-nation talks.

American intelligence agencies have debated for years over the extent of North Korea's technical abilities, and whether it has successfully turned its stockpile of nuclear fuel into warheads. That debate has become particularly fevered since Feb. 10, when the North publicly boasted that it had manufactured weapons.

The accounts of North Korea's activities have come from three American officials who have reviewed either the imagery or the intelligence reports interpreting them. They were confirmed by two foreign officials who have been briefed by the Americans, but who cautioned that their countries had no independent way of interpreting the data.

Officials at one American intelligence agency said they were unaware of the new activity.

Since October, American officials have periodically seen activity suggesting preparations for a nuclear test, chiefly at the site in the northeast part of the country, near an area variously called Kilchu or Kilju. But in recent weeks, that activity appears to have accelerated.

Several officials said they had never before seen Korean preparations as advanced as those detected in recent days, including the digging of a tunnel. That tunnel resembles the one used in Pakistan for nuclear tests in 1998.

One of the creators of Pakistan's program, Abdul Qadeer Khan, traveled to North Korea repeatedly and has admitted to Pakistani interrogators that he supplied nuclear technology to the North, American intelligence officials said.

But officials said Thursday that they had not seen any evidence that North Korea was getting outside help with its current activity. "What we're seeing is everything you need to test," said a senior intelligence official who has reviewed the evidence. "We've never seen this level of activity."

Asked if the intelligence agencies, which have often been sharply divided about North Korea's nuclear abilities, had differences of opinion about the satellite photographs, the official said: " This looks like the real thing. There is wide agreement in the community."

But another American intelligence expert noted that so far, intelligence agencies had not seen the telltale signs of electronic equipment that is often used to monitor the size and success of a test, leading to "some debate about whether this is the real deal."

The intelligence official who reviewed the imagery, and others familiar with the evidence, said it was entirely possible that the activity was an elaborate ruse by Mr. Kim, to strengthen his bargaining position with the five other nations in the talks that he has boycotted: the United States, China, Russia, Japan and South Korea.

Mr. Kim is considered skilled at the art of escalating a crisis, and a senior diplomat said Thursday that the United States had not raised a public alarm "because we don't want to play his game."

In late 2002 and early 2003, North Korea threw out international inspectors and said it was preparing to reprocess 8,000 spent nuclear fuel rods into bomb fuel, the C.I.A. and other intelligence agencies have told Congress. In recent months, they have said that they believe all 8,000 rods were turned into bomb fuel.

The head of the Defense Intelligence Agency, Vice Adm. Lowell E. Jacoby, went further last week, telling the Senate Armed Services Committee that North Korea was believed to have the "capability" to mount a warhead on one of its long-range missiles.

Particular interest and concern was aroused in the White House by the construction of the reviewing stand, which appears luxurious by North Korean standards, several miles from the suspected test site.

An American official who confirmed that the images showed the reviewing stand recalled that in 1998, after Western intelligence was surprised by a North Korean missile launching, analysts went back over satellite imagery and other data to see if they had missed anything.

"What was interesting is they had built a reviewing stand for that launch, but that wasn't noticed," he said. "They had visitors from other countries in. We had seen movement, but we didn't know what for. The idea was that they invited other people to watch this other thing."

While satellite imagery is often hard to interpret, nuclear arms experts say it is easy to distinguish tunneling for a nuclear test site from, say, a mine. While both require the removal of vast quantities of rock, only a test site puts the rock and other sealing materials back into the hole after the weapon is installed deeply inside. The goal is to create a impenetrable barrier that keeps the powerful blast and radioactivity locked up tight inside the earth.

In this case, a senior intelligence official who specializes in nuclear analysis and has seen the images said, "you see them stemming the tunnel, taking material back into the mine to plug it up."

"There's grout and concrete that goes into the hole, and normally you don't see that in a mine. A mine you want as open as possible."

"There's a lot of activity," he added, "taking stuff in as opposed to taking it out."

He described the site as isolated and rugged, with enough of a mountain extending above the hole to contain a weapon equal in force to the bomb that destroyed Hiroshima.

Beyond the technical debate over North Korea's nuclear abilities and what kind of help it got from Dr. Khan's network and other suppliers over the years, the United States government has also debated whether Mr. Kim would determine a test to be in his interest.

Many in the intelligence agencies, along with outside experts, long assumed that Mr. Kim benefited by keeping the world guessing. The absence of a test proving North Korea's weapons ability has allowed China, North Korea's major supplier of food and fuel, to argue that the country may simply be boasting, that there was still time to work out the problem, and that sanctions or quarantines of the country would only drive it into a corner.

But that thinking has begun to shift. A senior European diplomat deeply involved in the issue said this week that he suspected that North Korea was "now pursuing the Pakistani model."

Pakistan and India were both condemned and subjected to economic sanctions after their 1998 tests. But all of those were lifted after the United States determined it needed Pakistan's help immediately after the Sept. 11, 2001, attacks.

"The North Koreans may be thinking that in two or three years, it too may be regarded as just another nuclear power, outside of the Nonproliferation Treaty, the way we now view Pakistan and India and Israel," the official said.

Thom Shanker contributed reporting for this article.



Copyright 2005 The New York Times Company Home Privacy Policy Search Corrections RSS Help Contact Us Back to Top

출처 : http://cafe.daum.net/systemclub

 

 

 

전쟁,서울에서 맞는다면, 방독면 필요





현정부는 국민에게 대피령을 내리지 않을 것입니다. 아이들이 아직도 학교에 다니거나 직장을 다니는 시민들은 고스란히 앉아서 밤중에 날아오는 포탄을 맞게 됩니다. 직격탄에 맞는 것도 문제이지만 가스폭발, 상-하수도, 화학무기들이 큰일입니다. 학교가 미리 휴교령을 내리고 직장이 이에 따른다면 서울은 거의 공동상태에 이를지 모릅니다. 그 때에는 도둑들, 포악한 부랑패와 빨갱이들이 세상 만났다고 돌아다니며 악행을 하고 불을 지르겠지요.

이래저래 대부분의 시민들은 서울에 앉아서 사태를 맞게 될 확률이 많습니다. 돈 가진 사람들! 이들은 평소에 뒷전에서 김대중-노무현 욕만 해대고, 앞에도 나서지 않았습니다. 몇 안되는 우익활동에 돈도 대지 않았습니다. 세상 사는 방법에 이골이 난 그들은 누구보다 먼저 외국으로 나갔거나 나가려 합니다. 애국운동 하는 사람에게 방독면 값이라도 주고 가면 좋으련만.

사태가 이 지경에 이른 것은 순전히 김정일에게 돈을 대준 김대중과 386주사파들 때문입니다. 우리는 누구 때문에 이런 비참한 지경에 이른 것인지에 대해서 알고 죽어야 합니다. 죽기 전에 이들의 정강이라도 한번 걷어차고 죽어야 할 것입니다. 현대상선도 마찬가지입니다.

방독면은 적어도 10만원 대의 것이어야 하며 현재 군과 정부기관에 납품되는 것에 대해서는 제 자신이 불신감을 가지고 있습니다. 보다 나은 제품을 알고 있지만 우선은 팀을 구성하여 회사를 방문케 한 후, 여러분들에게 알려드리겠습니다. 단체로 사면 좀 싸겠지만 틈만 나면 저를 공격하는 사람들이 너무 많으니 제가 방독면 장사했다는 소리는 듣기 싫거든요.

그 회사는 방독면을 만들긴 하지만 해독제(신경제, 피부제)는 팔지 않습니다. 이는 또 다른 회사들을 알아보고 있습니다. 회원님의 정보로 한 회사를 알고 있지만 아마 물양이 적어서 산다 해도 극히 소량일 것 같습니다. 우리 회원들에게 만이라도 돌아갈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우선은 우리 청년팀을 보내 알아보겠습니다.

제가 보기엔 한국인들은 세계에서 가장 안전을 생각하지 않는 사람들입니다. 지금도 그 안전불감증 때문에 아주 편안한 삶을 삽니다. 아니 게으른 삶을!  “나 혼자 죽어? 다 죽는데 억울할 게 뭐 있어!” 누구로 인해 죽는지 생각도 하지 않습니다. “앉아서 죽게 되면 죽는 거지 뭐, 아이 생각하기 복잡해” "설마!"  

이웃에 말해주면 겉으로 드러내지는 않아도 “어쩌다 그렇게 불쌍하게 돌았냐” 하는 눈초리를 받습니다. 심지어는 동기간들 사이에도 비웃습니다. 동기간 중에도 본 홈페이지를 자주 방문하는 사람은 금방 알아듣고 채비를 합니다. 그러니 주위로부터 “취급” 받지 마시고 가족을 살릴 궁리만 하시기 바랍니다.

“식구 중에 부모가 다 죽으면 너는 어디로 가라”. “어느 땅이 우리 것이다. 땅문서는 어디에 묻어 둔다.  보험증은 이것이고  ”, “시장도 보아야지. 랜턴, 초, 라이터, 에프킬러, 쌀, 고체알콜, 식수. 비상약. . . 배낭 4개, . .운동화.  . .” 다행이 이런 것들에 대해 의논하실 이웃이나 동지가 있으면 더 좋은 아이디어가 나올 것입니다.  

오늘 낮에는 사무실에 나가는 대로 왜 전쟁이 빨리 날 확률이 높은지에 대해 다시 정리해 드릴 예정입니다. 그 자료들을 기초로 여러분 각자가 판단해 보시고 본 홈페이지에서 좋은 의견 나누시기 바랍니다.

출처 : http://cafe.daum.net/systemclub   자료 많음

다음검색
스크랩 원문 : 지만원의 시스템클럽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