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읽을거리]에피소드(6) -세기의 표절 밴드 비틀즈?-

작성자김계환|작성시간02.06.06|조회수712 목록 댓글 0
무척 무더운 날씨가 계속되는 군요.

10. 작곡의 고통을 한번에 해소할 수 있는 가장 편한 방법은 표절, 즉 도작입니다. Come Together이 척 베리의 You Can't Catch Me를 My Sweet Lord가 시폰즈의 He's So Fine을 베낀건 너무나 유명한 얘기고 그외에도 비틀즈가 가져다 쓴 곡들이 꽤 있지요.

비틀즈가 가장 많이 도용했던 것이 인트로와 엔딩 프레이즈. 1960년대는 아직 다양한 시대라 조금 베끼더라도 너그럽게 넘어가는 형편이었으며, 또한 비틀즈에게 표절당해도 큰 영광이라 여겨지던 풍조가 있어, 소송사건으로 발전하는 케이스는 거의 없었다. 비틀즈 자신들도 가능한한 세간에 알려지지않은 곡들을 골라 도용했던것 같다. 위험한 경우에는 미리 저작권료를 지불해두면 돼기때문에 일은 간단했다.

잘 알려져 있는 것이 죠지의 If I Needed Someone의 인트로가 버즈의 The Bells of Rhymney를 표절한 것. 그러나 그 당시 비틀즈와 버즈는 같이 마리화나 파티를 할 정도로 친한 사이였고 죠지가 미리 비틀즈의 전홍보담당관이자 당시 버즈를 담당하고 있던 데렉 테일러를 통해 작자인 로져 맥귄의 허가를 받아 별 문제는 일어나지 않았다. 여담이지만 실은 버즈도 Artifical Energy라는 곡에 ‘She’s Got a Ticket to Ride’라는 가사를 도용하거나 당초 6 Miles High라는 타이틀이었던 곡을 비틀즈의 Eight Days A Week의 영향을 받아 8 Miles High로 바꾸는 등 비틀즈 신세를 지기도 하였다.

그밖에도 I Feel Fine에서는 미국에서 51위밖에 하지못한 보비 파커의 Watch Your Step의 기타 프레이즈를 표절하고, Lady Madonna에서는 트래드 재즈 밴드인 Humphrey Lyttelton Band의 Bad Penny Blues의 기타 프레이즈를, Drive My Car에서도 오티스 레딩의 Respect의 프레이즈를 가져다 쓴 것을 죠지가 고백한 적이 있다.

가장 압권이었던 것은 All You Need Is Love. 인트로는 프랑스의 국가 ‘라 마르세이에즈’,엔딩에서는 바흐의 ‘브란델베르크 협주곡’, 글렌 밀러의 In The Mood, 영국의 민요 green Sleeves, 그리고 비틀즈 자신의 She Loves You까지 삽입하는 등 초호화판. All You Need Is Love보다는 스케일이 작지만 It’s All Too Much의 엔딩에서는 17~18세기의 작곡가, 제레미어 클라크의 ‘트럼펫 볼란터리’와 비틀즈와도 구면이 있는 리버풀출신의 The Merseys의 곡 Sorrow의 ‘With Your Long Blonde Hair and Your Eyes of Blue’라는 프레이즈를 베끼고 있다. 베끼기를 즐겨했던 죠지는 솔로가 된후에도, 1973년 발표했던 Ding Dong의 인트로 프레이즈를 마일즈 데이비스 퀸텟의 Relaxin’ 앨범의 첫곡인 If I Were a Bell를 베끼고 있다.

표절은 멜로디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가사에서도 많은 표절이 존재한다. Run For Your Life의 ‘I'd rather see you dead, little girl Than to be with another man’의 프레이즈는 프레슬리가 선 레코드 시대에 레코딩 했던 Baby Let’s Play House로부터 도용. 죠지의 Something은 비틀즈가 설립한 애플 레코드로부터 데뷰한 제임스 테일러의 데뷰곡 Something in the Way She Moves를 그대로 도용하고 있다. 죠지는 그 외에도 The Inner Light에서 캠브리지 대학에서 산스크리트를 가르치고 있는 호언 마스카로가 죠지에게 추천한 번역본 Lamps of Fire의 내용을 그대로 도용하고 있다. 존의 Tomorrow Never Knows에서도 2500년전에 쓰여진 불교의 교전인 ’티벳 사자의 서’를 티모시 리어리와 리차드 앨버트라 영역했던 ‘Psychedellic Experience’으로부터 두줄이나 표절했다고 한다.

폴의 경우는 합법적인 방법을 쓰고 있다. 그는 특히 저작권이 소멸해 있는 17세기초에 활약했던 영국의 극작가 토마스 데카가 쓴 시로부터 ‘Golden Slumbers Kiss Your Eyes’에서 ‘And I Will Sing a Lullabye’까지 4행을 거의 그대로 Golden Slumbers에 사용하고 있다.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