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론 부터 말씀드리면 후진이 가능은 합니다.
바로 활주로에 착륙직후 엔진을 역방향으로 추진을 하는 역추진장치가 제트기에는 있습니다.
이를 이용하여 제동거리를 크게 줄여주지요...
아마 착륙하고 나서 약 3초 후면 엄청난 굉음을 들으실 수가 있으실것입니다.
그것이 바로 역추진 때문에 생기는 소음이지요...
엄청남 속도로 앞으로 나가면서 앞으로 엔진의 추진력을 보내니 그 소리는 당연히 엄청나겠지요...
다시 말해서 그 역추진을 이용하면 실제로 후진이 가능합니다.
근데 실제로 그렇게 운용을 하지는 않습니다.
후진을 할 때에는 지상에 특별한 장비(토잉 카)가 있어 비행기를 뒤로 밀어주지요...
보통 이때 조종사는 엔진의 시동을 건답니다(요즘은 거의 푸쉬백(뒤로 밀어주는것)이후에 시동을 건답니다...참고로 알아두세요...
빽미러는 물런 없구요.
혼(크락숑) 또한 없습니다.
대신 주위에 많은 분들이 신호로서 아무것도 없슴을 알려 주지요...
또 한가지 더 알려 드리면...
비행기는 자동차 처럼 바퀴를 엔진의 힘으로 돌리지는 않습니다.
엔진의 추력을 적당히 조절하여 지상에서 움직이게 되는 것이지요...
엔진 뒤쪽에 계시면 당연히 위험하겠죠......
비행기는 앞바퀴를 이용하여 조향(방향전환)을 합니다.
도움이 좀 되셨나요?
바로 활주로에 착륙직후 엔진을 역방향으로 추진을 하는 역추진장치가 제트기에는 있습니다.
이를 이용하여 제동거리를 크게 줄여주지요...
아마 착륙하고 나서 약 3초 후면 엄청난 굉음을 들으실 수가 있으실것입니다.
그것이 바로 역추진 때문에 생기는 소음이지요...
엄청남 속도로 앞으로 나가면서 앞으로 엔진의 추진력을 보내니 그 소리는 당연히 엄청나겠지요...
다시 말해서 그 역추진을 이용하면 실제로 후진이 가능합니다.
근데 실제로 그렇게 운용을 하지는 않습니다.
후진을 할 때에는 지상에 특별한 장비(토잉 카)가 있어 비행기를 뒤로 밀어주지요...
보통 이때 조종사는 엔진의 시동을 건답니다(요즘은 거의 푸쉬백(뒤로 밀어주는것)이후에 시동을 건답니다...참고로 알아두세요...
빽미러는 물런 없구요.
혼(크락숑) 또한 없습니다.
대신 주위에 많은 분들이 신호로서 아무것도 없슴을 알려 주지요...
또 한가지 더 알려 드리면...
비행기는 자동차 처럼 바퀴를 엔진의 힘으로 돌리지는 않습니다.
엔진의 추력을 적당히 조절하여 지상에서 움직이게 되는 것이지요...
엔진 뒤쪽에 계시면 당연히 위험하겠죠......
비행기는 앞바퀴를 이용하여 조향(방향전환)을 합니다.
도움이 좀 되셨나요?
다음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