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전쟁기념관 박경석 시비 '서시''조국'
-2016년 1월 2일 탐방-
2016년 1월 2일. 아내와 함께 서울 용산 전쟁기념관을 찾았다. 이곳은 내가 현역 시절 육군본부 인사참모부 차장직으로 근무하던 육군본부 자리이기에 각별한 인연이 있었던 장소였다. 특히 12.12군란으로 정치군인과 함께 할 수 없어 피눈물을 흘리며 군복을 벗어야 했던 한 맺힌 곳이기도 하다.
그러나 육군본부가 계룡산 자락에 옮긴 후 새롭게 들어선 잰쟁기념관은 나에게 유서 깊은 장소로 다가왔다.
바로 내 시비 '서시' '조국'이 세워졌기 때문이었다. 정치군인에게 짓눌렸던 내 명예가 비로소 다시 일어서는 계기가 되었다.
서울을 떠나 대전으로 귀향한지 3년 6개월만에 전쟁기념관에 들어섰다.
전쟁기념관 서쪽 회랑 중앙에 건립된 박경석 시비 '조국' 이다. 시비 뒤 배경이 완전히 달라졌다. 고층 건물이 들어선 것이다. 이 시비 건립에는 많은 사연이 있었다.
내 작품 '조국' 에 대한 심의,검토과정 중 정치군인 일각에서 반대하고 나선 것이다. 그러나 대안을 시도해 많은 원로 시인의 시를 검토했으나 너무 추상적인 내용이라 선별에서 제외돼 다시 내 시 '조국'으로 돌아왔다. 이 과정에서 한국전쟁과 월남전쟁, 두 전역 전투 지휘관 경력의 무공(을지무공훈장,충무무공훈장,화랑무공훈장 수훈)이 높이 평가되어 최종 확정 작품으로 선정되었다.
아내 김혜린 화가와 함께 자랑스러운 시비 '조국' 앞에 섰다.
이 시비의 시 '조국' 은 한국의 명시로 선정되어 대학교 시문학 교재에 게재됐다. 그러나 시보다 글씨가 더 유명하다. 글씨를 쓴 원곡(原谷) 김기승 서예가는 당대 최고의 필체로 독특한 예술성의 극치를 이루고 있었다. 더구나 이 시의 글씨가 김기승 서예가의 마지막 작품이다. 김기승 서예가의 이 시비의 글씨체가 '원곡체(原谷體)' 로 명명되어 문화재급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 글씨를 쓴 후, 2년만인 2000년 8월. 92세의 나이로 별세했다. 김기승 서예가는 은관문화훈장을 국가로부터 받았다. 김기승 서예가는 김구 선생과 함께 한 독립운동가이기도 하다. 즉 이 시비 '조국'의 참여 예술가는 경력에 흠집이 없어야 심사 대상이었다.
전쟁기념관 본관 앞에서의 나.
아내와 함께.
전쟁기념관의 역사적 의미와 향후 세대에 교훈을 남기기 위한 전쟁기념관 '서시'. 박경석 시비. 한때 이 시비에는 시 제목 '서시'와 '지은이 박경석' 글씨가 빠져 있었다. 정치군인 일각에서 박경석의 이름을 두 곳에 새길 수 없다는 주장 때문이었다. 그러다가 각계의 반론이 제기되자 2004년 김석원 전쟁기념관장이 이사회를 소집, 토의를 거쳐 건립 훨씬 뒷날인 10여 년 후, 제목'서시'와 '지은이 박경석' 이름이 새겨졌다.
6.25전쟁을 기념하기 위해 건립된 상징탑
대전으로 귀향 후 3년 6개월만에 다시 찾은 전쟁기념에 뜻밖의 조형물을 보고 놀랐다. 대한민국을 비롯하여 미국을 위시한 한국전쟁 참전국을 기리기 위한 국가별 조형물이 새로 건립된 것이다. 각 국가별로 참전 개요가 간략하게 조각돼 있다. 그 조형물 뒤에는 해당 국가의 국기가 휘날리고 있었다(첫 사진 참조). 누구의 발상인지 참으로 탁월한 결정의 결과물로 평가하고 싶다. 왜 진작 이런 착상을 못했을까....., 뒤늦은 감은 있었으나 다행이라고 생각했다. 참전 해당국 관광객이 자기 국가의 조형물 앞에서 기념촬영을 하는 모습을 보고 관광 명소로 더 각광 받을 것으로 전망했다.
시비 '조국'이 있는 전쟁기념관 서쪽 회랑에서.
시비 '조국' 에 이어 줄지여 양쪽이 있는 비석에는 한국전쟁에서의 전사자 명단이 빼곡히 조각돼 있다.
전쟁기념관 동쪽 광장에 한국전쟁에 사용되었던 각종 무기를 비롯해 일부 현대 무기까지 정연하게 배치돼 있다. 3년 6개월 전보다 더 발전된 모습이었다. 청소년들에게 조국의 의미와 함께 군대에 대한 호기심을 느끼게 하는 좋은 교육장이 될 수 있다고 생각했다.
근래 외국인 관광객에 대한 한 여론조사에 의하면 전쟁기념관이 경복궁을 제치고 관광 명소 1위 자리로 올라섰다고 한다. 무료로 입장할 수 있고 볼거리가 많아진 탓으로 분석 할 수 있겠다.
노태우 대통령에 의해 건설되고 완공 무렵 김영삼 대통령에 의해 없앨려고 했던 전쟁기념관인데 지금에 와서 관광 효자노릇을 하니 결국 노태우의 결정에 박수를 보내지 않을 수 없다.
김영삼 대통령은 조선총독부 건물을 헐면서 거기에 있던 국립중앙박물관을 완공 직전의 전쟁기념관 건물로 옮기려 했다. 나는 그 놀라운 결정에 앞장서서 반대했다. 당시 나는 군사평론가협회 회장직을 맡고 있었기 때문에 어느 정도 영향력이 미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었다. 그무렵 청와대에는 좌파성향의 비서관이 있었는데 그가 앞장섰다는 말을 듣고 직접 만나 단판을 벌였다. 예편 이후 가장 치열한 투쟁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