來如哀反多羅 1 / 이성복 초록을 향해 걸어간다. 내 어머니 초록, 초록 어머니 가다가 심심하면 돼지 오줌보를 공중으로 차올린다. (하늘의 가장 간지러운 곳을 향해 축포 쏘기) 그리고 또 가시나무에 주저앉아 생각한다. 사랑이 눈이었으면 애초에 감아버렸거나 뽑아버렸을 것을! 삶이여, 삶이여. 네가 기어코 원수라면 인사라도 해라. 나는 결코 너에게 해코지하지 않으리라. 來如哀反多羅 2 / 이성복 이 순간은 남의 순간이었던가 봄바람은 낡은 베니어판 위 덜 빠진 못에 걸려 있기도 하고 깊은 숨 들이마시고 불어도 고운 먼지는 날아가지 않는다 깨우지 마라, 고운 잠, 고운 잠 눈 밝으면 벌건 살코기와 오돌토돌한 간처녑을 먹고 싶은 날들 깨우지 마라, 고운 잠, 나는 아무래도 남의 순간을 사는 것만 같다 출처 : <창작과 비평> 2007 여름호 * 來如來如來如 (래여래여래여) 來如哀反多羅 (래여애반다라) 哀反多矣徒良 (애반다의도량) 功德修叱如良來如 (공덕수질여량내여) 오다 오다 오다 오다 서럽다여 서럽다 우리들이여 功德 닦으러 오다 (양주동역) 온다 온다 온다 온다 서러운 이 많아라. 서러운 중생의 무리여 공덕 닦으러 온다 (김완진역) 신라 제27대 선덕여왕(善德女王:재위 632∼647) 때 지은 작자 미상의 4구체(四句體) 향가(鄕歌). 《양지사석가(良志使錫歌)》라고도 한다. 즉, 선덕여왕 때의 명승(名僧) 양지(良志)는 석장(錫杖:승려들의 지팡이) 머리에 포대를
걸어두면 저절로 시주(施主)의 집으로 날아가 포대가 차면 다시 날아 돌아오는 등
신이(神異)함이 많았는데, 그가 영묘사(靈廟寺)의 장륙존상(丈六尊像)을 지을 때
성 안의 남녀가 진흙을 나르는 역사(役事)를 하면서 불렀다는 일종의 불교가요이다.
parent.ContentViewer.parseScript('b_16144134');
다음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