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멘토요청]]대한민국 대기업에 아직도 학벌이 작용하는지 아는 노훌분들이 없으신가요-0-?.... 학벌!!!

작성자앵구|작성시간09.12.18|조회수533 목록 댓글 6

HOF 게시판도 많이 읽고, 원서를 쓰는 시점에서 고민하고 있는 부분입니다.

 

대한민국. 학벌사회라고 하는... 특히 문과.

학벌 학벌 그러는데 도대체 어떻게 되는 양상인지 이해가 안가네요. 여러 생각을 해보았고,

우선 학벌을 SKY라 생각하고 질문하겠습니다. 참고로 하고 싶은 건 돈 굴리는 직업이나 마케팅 쪽이에요.

 

1. 대학시절

SKY의 비SKY보다 좋은 환경. 많은 기회. 3,4학년 선배들의 훌륭한 사회 진출을 통한 여러 조언. 여기까진 괜찮네요 그런데

구체적으로 뭐 인턴 하고 싶을 때 해당 기업에 근무하는 학교 선배의 추천으로 쉽게 한다거나 이런 거. 객관적인 경쟁을 거치지 않고. 요즘에도 쉽게 존재하는 건가요?

 

 

2. 대학 졸업 후

이게 가장 궁금한데, 아직도 대한민국 대기업에서 사람 뽑을 때 자기 대학 후배라고 예쁘게 봐줘서 뽑아주고 비SKY 능력 있는 인간 떨구고 그러나요? 혹은 더 심하게 SKY아니면 면접 서류를 보지도 않는 대기업도 있다고 들은 거 같네요.

제 친구 아버지가 한 우리나라 10대 기업에 속하는 기업에 근무 하고 계시고(보면 진짜 졸 잘사는..) 사원 뽑을 때 참관 자주 하신다고 하더라구요

그래서 물어보니까 이 친구는 요즘 그런 게 어딨냐고 아버지가 다른 대기업 인사과 분들도 아시는데 이런식으로 뽑는 곳 없다고 하네요 이게 맞는 말인가요?

 

마찬가지로 승진할 때도, 자기 대학 후배라고 승진시키고, 비SKY라고 떨구고 그러나요?

실적이나 인성 성실성 등등을 객관적으로 평가하지 않고?

현재 대기업들 임원이 대부분 sky인 것은

sky분들이 sky를 들어온 저력으로 노력을 해서 자연스럽게 그렇게 형성된 것이 아닌

(노력도 했겠지만) 위에서 끌어준 부분도 큰건가요.

 

과연 2010인 현재도 이렇게 대기업 윗 분들이 융통성 없는 폐쇄적인 마인드를 갖고 있는지 궁금 합니다

개방적이고 객관적이지 못하고 자기 대학으로 사람 채우기에 급급한지...

더불어 제가 취업하게 되는 2016~2020 즈음에도..

 

왠만하면 SKY가라 하는게 1번 때문인가요 아님 1+2? 솔직히 1번은 이해가도 2번은 이해가 가질 않네요.

너무 비합리적이기 때문에.... 

 

솔직히 가군 고자냐 성글경이냐에서 나온 질문이었습니다. (나군 설사범 서강경 고민도 포함)

집은 찢어지게 가난하고, 고대를 가면 학자금 대출해서 내가 갚아야 되는게 뻔하고.

대학가서 공부나 다른 대외활동도 충분히 하지 못한 채 과외와 알바로 돈 벌기에 급급할 게 뻔한 데도 SKY를 가야하는 것인가요.

돈 문제로 부모님과의 지속된 마찰과 스트레스도 있겠죠. 그만큼 SKY가 가치가 있나요.

 

아니면 4년이면 4천만~5천만의 지원을 받으면서 돈 걱정 덜고 공부와 대외활동 열심히 하면서 능력을 키우고.

하지만 SKY는 아닌. 비SKY를 가도 괜찮은 건가요.

 

요즘은 서울대 or 비서울대로 나눈다는 소리도 있고(즉 서울대 아래면 다 능력이라는) 

아무튼 

현실을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ㅉㅉ..어린것이 사회를 나와서 고생해봐야 알지 or 닥 sky← 이런 근거 없는 소리 하지 마시고

경험 많고 능력 있는 노훌로서 보고 듣고 느낀 것을 말씀해주세요.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 작성자앵구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 작성시간 09.12.19 대기업에 근무하는 노훌이 없어서 그런가 답이 없네요~~ 이건 뭐... 다짜고짜 걍 기업에 전화해서 물어볼까-0-
  • 작성자草上飛 | 작성시간 09.12.20 1. ~~ 객관적인 경쟁을 거치지 않고. 요즘에도 쉽게 존재하는 ~~ ; 없음.
    2. 자기 대학 후배라고 예쁘게 봐줘서 뽑아주고 비SKY 능력 있는 인간 떨구고 그러나요? ; 없음
    3. SKY 아니면 면접 서류를 보지도 않는 대기업도 있다고 들은 거 같네요 ; 학벌 보는 회사 있음.
    4. 승진할 때도, 자기 대학 후배라고 승진시키고.. : 없음
    5. 임원들 대부분 sky ~~ ; 대부분은 아님. 많은 정도임.
    6. 임원이 sky가 많은 것이 노력인가? 끌어준 부분인가? ; 내가 봐서는 노력 : 학벌 = 8:2 정도..
    7. 대기업 윗 분들이 융통성 없는 폐쇄적인 마인드를 가지는 지 ; 이런 폐쇄적 마인드 없음. 일도 못하는 데 후배라고 봐주는 회사 없음.
  • 작성자草上飛 | 작성시간 09.12.20 학벌은 존재합니다. 대한민국에서는 어느 사회이건
    하지만 위에 적은 바와 같이 일도 못하고 능력도 없는데 후배라고 진급시키고 그러지 않습니다. 그럴 수도 없습니다.
    지금은 어느 기업이나 글로벌 경쟁에 처해 있습니다. 능력이 우선이죠.
    물론 사람인 이상 무엇이라도 자기랑 연결되는 고리가 있으면 좋아하겠지요. 학교든 지역이든.

    질문이 이거 맞습니까?
    고자 ; 성글 + 학자금 . 현 상황, 몹시 가난함....
    저는 다른 글에서도 언급하였습니다만, 대학이 제공하는 특전을 보지 말고 대학만 보라는 사람입니다. (단 집안이 몹시 가난할 경우 제외.)
  • 작성자草上飛 | 작성시간 09.12.20 님의 집안이 몹시 가난하다는 가정하에.
    과외와 알바로 돈 벌기에 급급한 고자 ; 4천만~5천만의 지원을 받으면서 돈 걱정 덜고 공부와 대외활동 열심히 하면서 능력을 키우는 성글경 이라면
    저는 후자를 추천합니다.
    님 집안 상황을 잘 모르기에 위에 적은 글만 가지고 답변드립니다.
  • 작성자몽환 | 작성시간 09.12.21 아 잘 안읽어 봣는데 내가 알기로는 입사시엔 크리티컬하게 고려되고 입사후엔 걍 참고정도만 한다고 들었다
댓글 전체보기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