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댓글

뒤로

집짓기

작성자칸츄리꼬꼬(미국)| 작성시간20.04.21| 조회수378| 댓글 14

댓글 리스트

  • 작성자 돌망치(서울) 작성시간20.04.21 해당 토지의 "통행로" "상,하수도" "전기" 문제 먼저 알 아 보세요.
  • 작성자 유신(경남) 작성시간20.04.21 1. 지목이 대지면 건축설계사무소에서 설계를 해야하고,
    전,답,임 등의 지목이면 토목설계사무소에서도 검토 후 관청에 허가를 받아야 합니다.
    2. 허가 후 시공할 건축업자를 선정합니다.
    3. 시공이 완료되면 준공받으면 됩니다.

    목조,철골구조, 컨테이너 주택, 흙집 등 소규모 주택은 자기가 직접 지을 수는 있지만,
    아무자재나 사용해서는 준공받을 수는 없습니다.
    단열에 대한 규정도 있고 정화조 등 건축법이 정하는 규정에 적합하여야
    준공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시공업자를 통해서 시공하시는게 시행착오를 줄일거 같네요.
    모든 것은 건축설계사무소를 통해서 문의하시고 진행하시는게 ...
  • 답댓글 작성자 칸츄리꼬꼬(미국)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작성시간20.04.21 미국에선 코드라 하는데요,
    한국에선 뭐라고 하나요?
    관련 규격,규정사항은 해당 관공서 건축과에 가면 알 수 있지 않을까요?
    설계도는 본인 직접 그려서 제출하면 안될까요?
    자재도 캐나다나 미국에서 가져다 사용해도 되나요?
    실내에 전기는 120V만을 깔아도 되나요?
  • 답댓글 작성자 유신(경남) 작성시간20.04.22 칸츄리꼬꼬(미국) 건축허가를 받기 위해서는 세움터라는 온라인 시스템으로 허가.신고가 접수되어야 합니다. 도면도 캐드로 그려진걸 제출하는데 PDF 형태로 그려진걸 제출해도 되는지는 모르겠습니다. 그렇게 제출 하는걸 본적이나 들은 적이 없어서..
    건축허가건은 건축사가 날인해야 접수가 가능합니다. 건축신고에 해당하는 것은 소규모 주택의 경우인데 도시지역이냐 비도시지역이냐에 따라서 신고의 규모가 다릅니다.
    건축과에서 문의해서 될 사항은 아닌 것 같습니다. 제품 마다 품질에 따라 성능이나 등급이 다르기 때문에...시험 성적표를 준공시 제출해야 되는데 캐나다 제품에 그런 것을 제출할 수 있으면 가능하겠지만 없으면 준공받기 힘들 수도
  • 답댓글 작성자 유신(경남) 작성시간20.04.22 유신(경남) 있습니다. 보통의 경우는 자기가 간단한 계획도면으로 건축설게사무소에 이런 집으로 그려달라고 의뢰를 하면 기준에 맞추어 그려줍니다. 설비도면이 제출되어야 하는 경우도 있고 내진설계가 이루어 진다면 개인이 할 수 있는 영역을 벗어나게 됩니다. 한국의 시스템은 작은 소규모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라이센스를 가진 전문가가 모든 일을 하게되어 있습니다.설계비가 그렇게 비싸지 않으니까 건축설계 사무소에 의뢰해서 자기가 원하는 집을 직접 짓는게 맞는 선택인거 같습니다
  • 작성자 코난.카페장(경기) 작성시간20.04.21 집짓는건 일반인들은 거의 다 모르고 헤메기 쉽죠 제일 쉬운건 건축관련 회사들 홈페이지 보시고 실적 좋은데 찾아서 연락하는거죠 건축박람회 가면 엄청 많은 회사들이 팜플렛 뿌리는데 회사마다 주력 타입과 특성이 다 다르니 발품 팔아야합니다 역시 제일 빠르고 쉬운건 목조주택이나 판넬이죠
  • 답댓글 작성자 칸츄리꼬꼬(미국)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작성시간20.04.21 관련 코드만 알면 빌딩도 지을 수 있어요,
    공사중 중간 감리만 없다면요,
    미국엔 분야별로 1.2차 검사가 있어서요,
    빠르면 6개월이나 걸립니다,
    크기에 따라 다르지만요,
    보통의 목조주택은 보름정도면 끝.
  • 답댓글 작성자 유신(경남) 작성시간20.04.22 칸츄리꼬꼬(미국) 한국에서는 신고건은 준공시 업무대행이라고 해서 지정해주는 건축설계사무소에서 검사를 받아야 하고, 허가건에 대해서 허가가 나면 감리가 선정됩니다.
  • 작성자 카카로트(부산) 작성시간20.04.21 섣불리 집 짓지 마십시오 ..
    종착 단계의 가장 마지막에 , 확인과 확신을 거듭 한 후에 할 일입니다.
    여기서 개인이 자기 설계도에 의해 자기 손으로 자재 구입하여 직접 건축한다는 것은 하지 않는게 낫습니다.
  • 답댓글 작성자 칸츄리꼬꼬(미국)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작성시간20.04.21 저는 황토만 빼고 나머지는 미국에서 가져갈까 하는데요.
  • 답댓글 작성자 카카로트(부산) 작성시간20.04.22 칸츄리꼬꼬(미국) 어떤 계획이신지 몰라서 .... 저는 여기까지만 ...
  • 작성자 SR 서울 작성시간20.04.21 제가 지금 집을 짓고 있는데
    전체를 다 설명드릴려면 너무 내용이 많아서 ....

    일단 설계도는 있어야 됩니다. 관청에 건축허가를 받기위해서 도면이 없으면 승인 불가함니다.

    자기집은 자기가 짓을 수 있습니다.
    단 평수 제한이 있습니다.

    형태는 목조,콘크리트, 뭐든 본인이 원하는 대로 지을 수 있습니다.

    생각하시는 것 보다 훨씬 더 많이 비용이 들고 추가되는 항목이 많습니다.

  • 답댓글 작성자 칸츄리꼬꼬(미국)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작성시간20.04.21 내가 살집을 내가 짓는다는게 재미 있을것 같아요,
    요약해서 말씀해주시면 다 알아 들을것 같아요.
  • 작성자 칸츄리꼬꼬(미국)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작성시간20.04.22 유신(경남)님,
    좋은정보 고맙습니다.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
카카오 이모티콘
사용할 수 있는 카페앱에서
댓글을 작성하시겠습니까?
이동시 작성중인 내용은 유지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