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댓글

뒤로

전쟁시 생산직은 일할수있는가?

작성자화랑(천안)| 작성시간22.10.05| 조회수425| 댓글 8

댓글 리스트

  • 작성자 잘생긴김씨(전주) 작성시간22.10.05 공장에 포탄 날라들어서 터지지 않는 한에는 생산직 당연히 일합니다.
    예비군 소집하고 젊은 사람들 중심으로 징집들어가기는 합니다만 대체적으로 30대 중후반 넘는 분들은 여전히 하던 일 계속 할 가능성이 높죠.
    다만 생산품이 좀 바뀔 가능성은 있습니다.
    대다수 공장들은 전시생산체제로 바껴서 군수물자를 생산해야 하니까요.
  • 작성자 오두막(경기 성남) 작성시간22.10.05 공장에 포탄 떨어져 피해 발생하면 누가 치우고 복구하겠어요. 공장 직원들이지…
  • 답댓글 작성자 Terminator 작성시간22.10.05 댓글 첨부 이미지 이미지 확대
  • 작성자 지피지기(경북) 작성시간22.10.05 전쟁나도 생산직 사무직 모두 일할수는 있겠지만 전쟁상황이 여의치 않다면 작업장폐쇄도 늘 염두에 둬야겠죠
  • 작성자 민국(부산) 작성시간22.10.05 정전대비를 우선하고 비상구 확보 대피준비 해야지요
  • 작성자 코난.카페장(경기) 작성시간22.10.05 후방의 공장은 당연히 일하고 전시관련 물자들 생산해야죠 그래서 직장민방위라고 지키는 조직도 따로 만든거구요 ㅎ
  • 작성자 조영환(김해) 작성시간22.10.05 회사별로 전시 생산품목 정해져 있는 걸로 알아요.
    군수 물자 생산. 의복. 식품 등등
  • 작성자 멀더요원 (경기) 작성시간22.10.05 전쟁나면 생산직 일할수 없을것 같은데요 우크라이나 전쟁을 봐도 모든게 파괴 됩니다 무엇보다 생산을 할수 있는 재료들 공장에
    들어오지 못하고 생산을 해도 도로가 차단되어 공급을 못할것 같네요 중요 생필품도 해외 물자 지원으로 들어오지 않을까 생각 됩니다 그리고 직장내 생산직도 맡은 임부 분야가 다양할텐데 이중에 많은 사람들이 피난을 간다면 생산라인 자체가 멈추지 않을까요?? 물류만 멈춰도 생산하는 의미가 없어지고요 물류 이동용 기름도 구하기 쉽지 않고 전쟁 초기에는 방송국, 이동통신회사, 발전소, 가스 ,유류저장 시설,상수도 시설 첫번째 타격 목표 입니다 우크라이나 전쟁에서도 봤지만 전기,수도,방송 전부 끊기고 파괴 되었습니다
    전기 ,수도, 유류 저장 시설 만 끊겨도 생산을 못하겠죠 대한민국은 땅덩어리가 작은 국가고 3면이 바다라 미사일로 전후방 중요시설 전쟁 시작과 동시에 타격 될것 같습니다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
카카오 이모티콘
사용할 수 있는 카페앱에서
댓글을 작성하시겠습니까?
이동시 작성중인 내용은 유지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