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믿거나 말거나

우리 세상이 사실 시뮬레이션이라고? - 시뮬레이션 우주론

작성자코난.카페장(경기)|작성시간22.05.08|조회수601 목록 댓글 1

많은 과학자들이 믿는 가설 혹은 음모론으로 시뮬레이션 우주론이 요새 뜨고 있습니다

매트릭스처럼 우리가 사는 세상이 진짜가 아니며 사실은 컴퓨터속의 게임이나 시뮬레이션이지 않을까하는것

우주천체나 혹은 반대록 극소분야인 양자역학등 많은 과학적 연구를 하다보니 

세상이 너무 우연스런 작용과 환경으로 이뤄져서 마치 누가 고의로 만든것같은데 이상하게도 완벽하게 돌아가고 있다는걸 의심

 

 

오늘 해볼 이야기는


이 세상이 가상현실일 수도 있다는 거야.



알아 알아.


아마도 지금 이 글을 일고 있는 특갤러들은


제목을 읽은 그 순간부터


이런 생각이 절로 들었을 거야.








'ㅉㅉ 완몰가 신자, 허구한 날 완몰가 타령하더니 드디어 미쳐버렸군'






하지만 우리가 사는 세상이 가상현실이라고 주장하는 사람들은


완몰가신자 같은 이~상한 사람만 있는게 아니라


저명한 과학자와 철학자들도 꽤 많이 있다는 거야.



오늘은 이 세상이 가상현실이라고 주장하는 '4가지 근거'에 대해서 소개할 거야.


 
 
그리고 이것이 특이점과 관련하여
 
 
사하는 바가 무엇인가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지도록 하자.



1) 닉 보스트롬의 <모의실험 가설>
 
 
 
"지금 여기가 가상현실일 확률이 아닐 확률보다 높다."
 
닉 보스트롬






이 아저씨는 뭐하는 사람이길레


이런 쌉소리를 근엄진지하게 하고 있는 걸까?


아니 그 전에 이 머머리 아저씨 어디서 본 것 같지 않아?




맞아! 특이점 디스토피아는 정말 불가능할까? 2편에 등장한


인공지능 위협론자 중 한 명이야.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thesingularity&no=4022&s_type=search_all&s_keyword=%EC%99%84%EB%AA%B0%EA%B0%80%EC%8B%A0%EC%9E%90&page=1



이 아저씨는 닉 보스트롬이란 사람인데


옥스퍼드 대학교의 철학과 교수임.


비록 과학/기술 분야의 전문가는 아니지만


특이점 관련 주제에 꽤 자주 인용되는 권위자들 중 한 명이지.


아닌게 아니라 이 아저씨가 학회지에 쓴 논문 주제를 보면






인공지능


정신전송 (마인드 업로딩)
 
인체 냉동 보존
 
나노 기술
 
초지능
 
트랜스휴머니즘
 
모의현실 (가상현실)
 
 
이렇게 특이점하고 뗄래야 뗄 수 없는 것들로 넘쳐나거든.






그리고 무엇보다 이 아저씨는 1998년에


트랜스휴머니스트 협회를 만든 장본인이고


2045년에 특이점이 올 것이라고 보고 있는 특이점주의자야.


(근데 그게 특이점 디스토피아인 것은 함정 ㅅㅂ)


아무튼 특이점 관련해서 꽤 네임드인 아저씨인 건 알겠고


대체 무슨 근거로 이런 허무맹랑한 주장을 하는 걸까?


닉 보스트롬은 '모의실험 가설'을 제시한 걸로 유명해


이 모의실험 가설이란 무엇일까?








상상해보자.


만약 특이점이 왔을 정도로 발달한 문명이라면


인공의식을 갖춘 NPC로 가득한


우주급 스케일의 가상현실을 만들 수 있을 거야.


그런데 만약 이런 우주 스케일급 완몰가를 만든다면


한 두개만 재미 삼아 만들고 끝내버릴까?



천만에!!


지금 여기에 있는 완몰가무새만 해도 몇명인데.


틀림없이 우주 스케일 완몰가는


오락적 목적이든, 학술적 목적이든 간에


인기 상품으로서 대량생산되고 말 거야.






그렇게 생산되는 완몰가는 도대체 몇 개일까?


지금 구글 앱스토어에만 있는 모바일 게임들도 300만개가 넘고


매해 만 개가 넘는 게임들이 업데이트 되는데


특이점이 온 세상에는 완몰가가 몇 백만개씩 되지 않을까?



그리고 만약 특이점이 온 문명이 있다면


쉽게 멸망하지는 않을 거야.


개쩌는 과학기술로 어떻게든 생존을 이어나갈 거니까.


그러니까 아무리 짧아도 몇 만년을 번성한다고 쳐도


그 문명에 생산될 완몰가는


최소 몇십억 개의 가상 현실이 존재할 거라고 예상할 수 있어.






자, 그럼 생각해보자.


우리가 살고 있는 이 현실이
 
 
그 수십억 개의 가상현실이 아닐 확률이
 
 
과연 얼마나 될까?


우리가 그 가상현실의 NPC가 아닐 확률은
 
과연 얼마일까?


이 모의실험 가설의 열렬한 지지자로 알려진 사람들 중에는


우리가 잘 알고 있는


머스크 형이 포함되어 있어.




이런 엘런 머스크 같은 인재 역시 이 이론을 지지한다는 건


그만큼 충격적이고 흡입력이 있는 가설이라는 반증이기도 하지.



아닌게 아니라


이미 지금도 과학실험을 위한 가상현실이 끊임없이 만들어지고 있어.

실제로 올해 8월 에리조나 대학에선


1200만개의 은하를 포함한 800만개의 가상현실 우주


물리실험을 위해 만들어졌어.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thesingularity&no=2151&s_type=search_all&s_keyword=%EC%99%84%EB%AA%B0%EA%B0%80%EC%8B%A0%EC%9E%90&page=2





물론 아직 별 하나를 하나의 파티클로 한 원시적인 가상현실이지만


미래에는 진짜 우주급 스케일의 가상현실이


과학실험이나 다른 용도를 위해 만들어질 수 있다는 거야.


만약 특이점이 온 문명이 있다면


충분히 현실성이 있는 시나리오고


특이점이라는 게 발달한 문명의 보편적 현상이라고 본다면


우리가 가상현실 안에 있을 확률은 매우 높은 거지.








하지만 딱 보면 알겠듯이


'확실한 증거'가 있는 이야기는 아니야.


말 그대로 '이럴 수도 있지 않느냐'


하는 가설에 불과하지.


더군다나 아무리 특이점 관련 권위자라지만


이 사람은 과학자가 아니야.


그렇다면 과학자들 중에서 이런 주장을 하는 사람들도 있는 걸까?


2) 우리는 지금 컴퓨터 안에 살고 있다

 
 
"우주를 구성하는 입자들이 움직이는 법칙(초대칭, 쿼크와 전자의 움직임)을 수식화하는 과정에서
컴퓨터의 오류검출 코드가 있는 것을 발견했다"
- 실베스터 제임스 게이츠
 
 
이번엔 위의 머머리 보스트롬과는 달리


부담스럽게 풍성충인 아재가 등장을 했어.


이 아재는 또 뭔데 이런 허무맹랑한 소리를 하는 걸까?


이 아저씨는 실베스터 제임스 게이츠라는 사람으로


직업은 이론물리학자야.


이 아저씨의 약력을 살펴보자면


매릴랜드 대학교 교수
 
오바마 정부 과학 기술 자문 위원
 
미국 국가 과학상 물리학 부문 수상
 
 
 
등의 굵직한 커리어를 확인해볼 수 있어.




이 아재의 주요 연구 분야는 초대칭, 초끈이론, 수리물리학인데


이 우주와 세상을 가장 수학적으로 바라보는 사람들 중 하나라고 할 수 있지.




그런데 이 아재가 우주를 연구하고 있던 도중에


매우 충격적인 사실을 발견하게 되었어.


쿼크입자, 전자, 초대칭을 표현하는 방정식에서
 
컴퓨터 에러 수정에 사용되는 코드가 발견된 거야.


  
보통 이런 이론물리학자들은


시뮬레이션을 돌린다던가 하는 여러가지 이유로


컴퓨터 코딩에도 나름의 지식을 쌓게 되는데


이 아재가 평소에 자기가 쓰던 브라우저가 작동할 때 나타나는
 
오류 검출/수정 코드가


우리가 사는 세계의 방정식에서 나타난 거야.
 
 
 
 
그런데 놀라운 건 이 뿐만이 아니야.


이 아재는 초대칭에 대해 연구하면 연구할 수록


더욱 많은 컴퓨터 코드를 발견하게 되었는데




아딘크라(adinkra) 초대칭 대수에 기반한 초끈 이론 방정식에서


'디지털의 아버지'라고 불리는 사나이
 
클로드 섀넌이 만든 코드가 포함이 되어 있었던 거야.





이게 뭔 뜻이냐면


이 우주를 표현하는 방정식에
 
클로드 섀넌이 만든 컴퓨터 코드가 포함되어 있다는 거임
 
 
 
이 일을 계기로 제임스 게이츠는


이 세상이 컴퓨터 속 세상이라는 걸 확신하게 되었다고 해.


하지만 다들 알다시피


초끈 이론이라고 한다면


한때는 획기적이었지만


지금은 약팔이 비슷한 이론으로 매도당하는 등


논란이 많은 이론이야.


물론 제임스 게이츠가 계산한 수학적 모델은


매우 고차원적이고 정교하다는 것에 있어선


의심의 여지가 없지만


근간 이론이 논란의 여지가 있는 만큼 쉽게 받아들이기도 힘들지.


그렇다면 과연 이 현실이 가상현실이라고 주장하는 과학이론은


초끈 이론 하나 뿐일까?


3) 양자역학에서 시뮬레이션을 보는 사람들




MIT 물리학자인 Zohreh Davoudi를 비롯한 몇 명의 저명한 물리학자들이


2016년 미국에서 열린 아이작 아시모프 기념토론회에서


시뮬레이션 우주론에 대한 토론을 한 적이 있어.


토론의 핵심 내용을 요약하자면


양자역학에서 보이는 기이한 양상들이


이 세계가 컴퓨터 게임속이라고 가정한다면
 
상당 부분 맞아 떨어진다는 거야.
 
 
 
모두 알다시피 양자역학은 지금 이 시대의 가장 진보된 학문이자


가장 이해하기 난해한 학문인데


오죽하면 네임드 물리학자 리처드 파인만이




'누군가가 양자역학을 이해했다고 한다면 그 사람은 잘못 이해한 거임 ㅇㅇ'




이라고 말했을 정도야.


그만큼 양자라는 놈들이 벌이는 기행이


괴상하다는 거야.


그런데 21세기 들어


정교한 컴퓨터 게임이 만들어지면서


이 괴상한 양자의 행동이 직관적으로 와닿는 대목들이 생긴 거야.


양자역학에서 시뮬레이션 우주론의 근거를 찾는 사람들은 크게 3가지에서 그 근거를 찾아.


1) 이중 슬릿 실험


2) 양자도약 (우주의 불연속성)


3) 양자얽힘



대체 뭔소린지 하나 하나씩 조져보자.




1) 이중 슬릿 실험


과학 이야기를 하기 전에 게임 이야기부터 해보자.


너희들 GTA 해본 적 있어?


GTA를 한 사람은 알 거야.


너의 캐릭터가 저 멀리 도시 건물을 바라봐.


근데 엄~청 자세히 보면 건물의 창문틀 같은게 없어.


디테일 같은게 구현되어있지 않아.




그런데 주인공이 충분히 가까이 다가가잖아?


그제서야 창문이나 그 건물 속의 인테리어 같은게 구현이 됨




이건 컴퓨터가 무리하지 않도록 성능에 맞춰 최적화를 하기 위해 일어나는 현상이야.


컴퓨터 메모리 리소스는 한정되어 있으니까


게임속 세상을 표현할 때는 관측 당하는 것만 나타내는 거야.
 

즉, 너가 보지 않으면 디테일은 존재하지 않다가


너가 보는 순간 디테일이 나타나도록
 
게임 속 오브젝트들을 만들었다는 거지
 
 
 
그런데 이게 우리가 사는 현실에서
 
똑같이 일어나고 있다면???



이걸 시사하는게 바로 이중 슬릿 실험이야


https://youtu.be/rsuOap06JhI




이걸 일일이 글로 설명하기엔 너무 기니까 영상을 참고하면 좋을 것 같아.


하지만 간략히 요약해볼게.


전자는 파동이 아닌 입자야.


근데 이중 슬릿 실험을 해보니


슬릿을 통과한 전자가 파동처럼 작용했어.


이걸 도저히 이해할 수 없었던 과학자들은


슬릿을 통과하는 전자를 '관측하기로 했어.


대체 왜 얘들이 파동처럼 행동하는 지를 알기 위해서






그런데 과학자들이 얘들을 관측하니까
 
거짓말 같이 얘들이 입자처럼 행동했다는 거야.


마치 과학자들을 의식하는 것 처럼...
 
 
 
 
관측을 안 하면 파동이고, 관측을 하면 입자다... ㅅㅂ


이게 너무 황당하고 허무맹랑해서


아인슈타인은 양자역학을 디스하려고


양자역학 찬성론자였던 닐스 보어한테 이렇게 말했다지





야이 쒸뽈뇬아!!! 그게 말이 돼?
 
ㅅㅂ 그럼 내가 달을 안 보고 있으면 달이 없고,
 
달을 보고 있으면 달이 있다는 얘기임?!?'




ㅇㅇ 그런 거임








느금.....



'신은 주사위를 던지지 않는다'라는 명언과 함께


아인슈타인이 닐스보어와 벌였던


양자역학 찬반논쟁 중 하나인


'EPR 역설'




아인슈타인은 죽기 직전까지 평생 양자역학을 반박하기 위한 연구를 했지만


역설적으로 아인슈타인의 연구는 양자역학이 맞다는 결과만을 나타냈지...


아인슈타인의 흑역사로 꼽히는 사건 중 하나 ㅇㅇ


 
물론 여기서 오해하면 안되는 게


당연히 양자는 의지 같은 게 없어.


과학자들을 의식했다는 건 비유야.


엄밀히 말하자면 인간이 '관측'해서 결과가 바뀐게 아니라


'관측'으로 인해 일어난 물리적인 상호작용이


결과를 변화시킨 거야.



즉, 전자는 물리적인 상호작용이 없다면
 
파동이 되고
 
물리적인 상호작용이 있다면
 
입자가 됨
 
 
 
근데 이게 양자나 전자 같이 엄청 작은 애들만 이런 줄 알았는데


1999년에 시행된 풀러렌 이중 슬릿 실험으로 인해


복잡하고 커다란 분자조차 관측되지 않으면 파동이 된다는 사실을 확인했어.




이게 뭔 말이냐고?



이 글을 읽는 너희들도


아무런 물리적 상호작용을 받지 않으면


물질이 아니라 파동으로 존재한다는 이야기임






그리고 파동으로 존재하다가


물리적 상호작용을 받으면


너희들은 다시 입자가 됨



이게 핵심이야.



물론 우리 같이 커다란 물체는


물리적 상호작용을 안 받는게 불가능하지만


가상의 상황에서 조건만 맞다면 그렇다는 이야기야.


아니 근데 이게 도대체 가상현실이랑 무슨 상관이냐고?


위의 GTA와 이중 슬릿 실험을 비교해보자.



GTA - 게임 속 디테일들은 관찰을 안 당할때는 구현되지 않는다


-> 관측당하면 구현된다
 
현실 -> 현실의 물질은 관측 안당하면 파동으로 얼버무려져서 존재한다
 
-> 관측당하고 나서야 입자로 존재한다.




더 소름인 건 이 글 스크롤 길이임 ㅅㅂ


원래 1편에 끝낼랬는데 생각보다 분량이 너무 길어서 2편으로 나눠야 될 듯


양자도약, 양자얽힘, 그리고 나머지 이야기는 다음 시간에~~ ^오^






(이 글을 쓰는데 영향을 받은 자료들 출처도 다음 글에 올릴게)






3줄 요약
 
1) 닉 보스트롬에 따르면 확률적으로 이 세계가 가상현실일 가능성이 아닌 가능성보다 더 높다
 
2) 이론물리학자 제임스 게이츠가 우리 우주를 표현한 방정식에서 컴퓨터 코드와 같은 수식을 발견했다.
 
3) 우리는 관측 당할 땐 입자고 관측 당하지 않을 땐 파동이다. 이건 게임속 오브젝트가 메모리 최적화를 위해 디테일이 생략되는 것과 양상이 비슷하다.






P.S 딱보면 알겠지만 시뮬레이션 우주론은 흥미로운 가설일 뿐, 증명되거나 검증된 사실이 아님. 그냥 이런 주장도 있다 정도로 읽으셈




P.S 특이점 디스토피아 4편은 개인적으로 너무 어려워서 아직 쓸 엄두를 못내겠다... 언젠간 마무리 할게 ^오^
출처: *여성시대* 차분한 20대들의 알흠다운 공간 원문보기 글쓴이: 별자리여행가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 작성자아론(경기) | 작성시간 22.05.08 이중 슬릿은 입자가 두 슬릿중 하나만 통과 할텐데 두 슬릿중 한쪽만 관측해서 양자가 관측이 됐다면 관측됐다는 어떤 모종의 정보가 관측 슬릿에서 관측되지 않은 슬릿으로 순식간에 전달이 되어야 다른 한쪽에 양자가 출현되지 않는다, 즉 두 슬릿 사이의 거리가 우주 양 끝에 있어도 관측 됐다는 정보는 관측 슬릿에서 관측 되지 않는 슬릿으로 동시각에 전달 되어야 한다. 그런데 우주 양끝 거리를 빛의 속도 이상으로 정보가 전달 되는게 말이 되느냐? 의 문제인데 얼마전 실험으로는 우주 양 끝 이라도 관측 정보는 한 슬릿에서 다른 슬릿으로 전달 된것 처럼 보인다 (양자는 한곳에서만 출현했다 그리고 그 정보는 다른 슬릿으로 같은 시각에 전달 된걸로 보인다) 하지만 무엇이 어떻게 해서 그렇게 되는지는 모른다 라는게 현재 물리학의 입장 입니다. 즉 어디까지나 실험 결과만 있을뿐 모든게 검증되지 않은 상상속 가설이라 너무 믿지 마시기 바랍니다. 아인슈타인은 빛의 속도 이상으로 정보가 전달되는건 불가능하다고 생각해 양자 역학에 회의적이었습니다. 그리고 이런 이야기를 하는 이유는 몇년전 학생이 비슷한 가설을 믿고 아파트 옥상에서 친구들 앞에서 뛰어내렸다가 사망한 기사가 있어서입니다
댓글 전체보기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