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도시 생존법/ 메뉴얼

[라디오 생존법] 산업재해시 안전법

작성자코난.카페장(경기)|작성시간17.10.10|조회수391 목록 댓글 4

1월부터 한 라디오방송에 매주 출연해 '재난시대 생존법'이란 프로를 하고 있습니다

도시에서 일어날수 있는 재난이나 사고등은 물론 범죄와 전쟁까지 다루고 있죠  그주에 특별한 사건이 있다면 주로 그걸 다룹니다


처음엔 매주하는게 큰 짐이라 얼마나 잘할수 있을까 걱정됬는데 다행히 이제 반년이 넘었네요

도시재난에 대해 중요하고 요긴한 정보들을 얘기하니 시간되시면 많은 분들이 라디오 들어주시면 고맙겠습니다

교과서적이거나 뻔하지 않은 정말 실질적이고 생생한 재난대처 정보 및 생존법으로 사람들에게 알리려합니다

다행히 방송국쪽 반응이 좋네요

그간 카페에는 알리지 않았는데 라디오로만하고 끝내기엔 정보가 너무 아까워 지난 대본을 매주(화,금) 카페에도 올려보겠습니다


또 제가 자료를 찾아 저 나름대로 분석해서 대본을 만드는데 혹시 틀리거나 관점이 다를수 있을것입니다
제가 잘못알고 있거나 반론이 있는 부분 혹은 더 더루었으면 하는 정보들이 있으면 아래 댓글로 달아주십시요
회원분들과 같이 한 주제에 대해서 토론하는것도 재미있고 유익할것같습니다


라디오는 매주 화요일 저녁 7시30분부터 10분간 교통방송(95.5mhz)에서 들으실수 있습니다
창원,경남쪽에서 방송되며 다른곳에 있는분들은 라디오 어플로 들으실수 있습니다


                                       저번 라디오방송국에서...




생존21-도시재난연구소 코난 우승엽 소장

전화연결 되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안녕하세요)


조: 얼마전 5월1일 노동절날 거제도 조선소에서 크레인 붕괴 사고로 6명이 사망하고 25명이 부상을 당하는 큰 참사가 있었습니다 창원도 산업단지들이 많은데 오늘은 산업재해에 관해 얘기해주신다구요


-믿기힘들지만 한국 산재 사망률이 OECD회원국가중 1위입니다 유럽의 5배정도 네덜란드의 10배나 되기도합니다 노동계에 따르면, 우리나라에서 지난 15년간 산재 사망 노동자가 3만 6000명이나 발생했고, 부상자는 136만명이었다고합니다. 이는 1년에 2400명, 하루에 7명이 산재로 사망하는 것입니다.




조: 산재사고율이 엄청나네요 이로인한 피해가 만만치 않겠죠


-지난 15년간 산재로 발생한 경제 손실액은 241조원으로 추산되고 있는데.2017년도 국가예산이 400조원정도인걸보면 얼마나 큰 피해액인지 가늠하실수 있을것입니다

하지만 개인적으로는 정말 가정이 붕괴되는 돌이킬수없는 큰 충격입니다. 가장이 산재로 다치면 일을 못해 수입이 없는것은 물론이며 큰 치료비로 가족의 생존 자체가 위험해집니다.

가정의 붕괴를 막기위해 지자체나 국가도 큰 신경을 써야하는 이유죠


조: 한국 산재 사망률이 OECD회원국가중 1위라니 충격입니다. 특히 산재가 더 집중되는 분야가 있습니까


- 소규모 하청 사업장과 건설업입니다 이번 거제 조선소 크레인 사고로 숨진 근로자와 부상자들은 대부분 협력업체 직원들이나 비정규직이었습니다 노동절날 쉬지도 못하고 일하다 사고가 난것이었습니다 비정규직이나 하청은 좀더 위험하거나 열악하고 힘든 업무를 떠맞아 일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자연히 사고가 날 확률이 높은것이죠 아울러 시간에도 쫒기게 되니 더 위험하고...


제조업에서 하청업체의 사고사망률이 원청의 8배에 이른다고합니다 (안전보건공단 자료)




조: 창원내 공단엔 소규모 업체들이 많은데 이런곳은 어떤가요


-근로자 수가 적은 기업일수록 특히 50인 미만 사업장에서 산재 사망자 수가 많습니다 그런데 중소 사업체에서 경미한 사고는 산재 처리 없이 쉬쉬되거나 공상처리로 마무리되는 경우가 많아 실제로는 그 비율이 더 많습니다 노동계에선 아마도 12-30배는 더 높을을것이라 봅니다


조: 아파트같은 건설현장은 보기만해도 위험한데 그곳도 산업재해가 많겠죠


-우리나라 산재의 27%가 건설업에서 발생하고 있다. 그리고 절반 이상이 ‘추락사고’입니다.2016년 건설현장에서 산재사망자는 총 499명이며, 이 중 추락 사망자가 281명으로 절반이 넘습니다.(고용노동부 자료) 추락 사고를 특히 주의하고 작업자 스스로도 안전수칙을 지키는게 아주 중요한거죠


현장에선 꼭 안전모와 안전고리를 생활화하고 비계, 사다리, 간이 발판이 흔들리거나 빠지지 않았는지 수시로 점검해야합니다 판자나 각목에 못이 나온 부분은 꼭 바닥으로 향하거나 뽑거나 휘어놓아야하구요




조: 그럼 산업재해를 예방할수 있는 좋은 방법들이 있나요


-무엇보다 현장에선 안전화와 안전모등 보호장구를 항시 착용해야합니다 또 장비들은 사용전 미리 점검해서 이상유무를 확인해야합니다


-작업장이 어지러울수록 사고율이 높아집니다. 작업전 10분 작업후 10분씩 현장을 정리해야합니다


-일하는중 휴대폰 사용을하면 주의력이 분산되니 금해야합니다


-시끄럽거나 시야가 않좋은곳에선 신호수를 배치하고 수신호도 수시로 확인해야합니다


-마찬가지로 위험한곳에선 2인1조 근무해야합니다 일에 집중하다보면 주위 위험을 파악하기 힘들어지죠


-높은곳 일할때 안전고리를 꼭 착용합니다


-휴식시간이나 식사때 술은 절대 안됨니다


-우리말이 서툰 외국인 근로자들에게도 위험한것이나 공구 사용법을 자세히 설명하고 알려줘야합니다


-일을 서두르거나 빨리빨리하라고 다그쳐선 안됩니다.


조: 힘들면 쉬는것도 중요하겠지요


- 맞습니다 중요한건 과로하지 않는것입니다 너무 힘들게 오래 작업을하면 피곤해져 신체반응이 늦어지고 눈도 침침해지고 주의력이 분산되 사고가 납니다 반드시 휴식시간을 지키고 과도한 잔업은 말아야합니다 잠이 부족해도 마찬가지이니 전날 과로하거나 과음, 혹은 밤새워 노는것도 자제해야죠

우리나라 노동자는 다른나라보다 과도한 야간잔업과 특근으로 노동시간이 세계 최고수준인데 이도 산재발생에 큰 영향을 미치는것이죠



조: 산재를 경험하신분들이 주의해야할게 있나요


-산재를 겪었거나 동료들이 간과하는게 마음의 상처 즉 외상후 스트레스장애입니다 사고로 후유증이 크거나 끔찍한 사고현장을 직간접적으로 경험한 사람들이 공포스런 기억이 계속 회상되고 과도한 반응을 하게되는거죠 이를 마음이 나약하다고 간과하거나 비난해선 안됩니다 또 시간이 흐르면 자연히 나아질거다라고나 별것 아니다라고 가볍게 취급해서도 안됩니다


업무로인한 외상후 스트레스장애도 산업재해로 인정되니 문제가 있으면 적극 치료해야합니다 회사도 이를 잘 교육해야구요


조: 산업재해도 잘 아시는것같은데 소장님도 혹시 산재를 겪었거나 보신적이 있으신가요


-저도 전에 자동차 금형회사에서 12년넘게 일했습니다 사무직이었지만 현장에 수시로 달려가 일을 돕고 미끄러운 기계위에도 올라가 수리하거나 밤새 금형사출을 하기도했습니다 그와중에 회사 동료들이 기계에 손가락을 잘리거나 신체를 다치는것도 봤고 또 죽는것도 지켜봤습니다

저도 높은 설비위에서 일하다 떨어져 병원에 간적도 있고 전기일을하다 손화상을 입기도 했었습니다 전 운이 좋았지만 산재는 누구에게나 닥칠수 있는것이죠


조: 네, 좋은정보 감명깊게 들었습니다. 말씀 감사합니다.

지금까지 도시재난연구소 우승엽 소장과 함께 했습니다.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 작성자백두산 조의선사(동이12족) | 작성시간 17.10.10 산재사망률1위
  • 작성자얼쑤(제주) | 작성시간 17.10.10 유럽에선 산재 발생시 파산할수도 있다네요
  • 작성자행복이(대구) | 작성시간 17.10.10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oid=001&aid=0009594694&sid1=001
    오늘도 발생했군요..
  • 작성자10056 mari(경기) | 작성시간 17.10.10 크레인 사고가 발생했네요.
    산업현장에서는 머리위에 물체가 있으면 100%떨어진다고 생각해야 합니다.
    안전모와 안전화도 필수지만 장갑도 작업환경에 따라서 종류를 달리해야 안전에 도움이 될것입니다.
댓글 전체보기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