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은 삼십냥 (버림받은 하나님 아버지 제1부 5장)

작성자훈독왕|작성시간22.01.29|조회수57 목록 댓글 0

버림받은 하나님 아버지 

 

  5    

 은 삼십냥

 (Thirty Pieces of Silver)

 

  재단의 힘은 무엇이 연구되어질 것이냐를 지시하는 그런 힘은 아니다그것의 힘은 전문적이고 지적인 변수를 한정하는데 있다어떤 환경에서 어떤 주제를 연구하기 위해서 누가 지원금을 받을 것인 가를 결정할 때재단의 힘은 그것이 선호하거나 기꺼이 지원하고자 하는 어떤 형태의 활동을 제안하는데 있다정치 이론가이며 경제학자인하롤드 라스키(Harold Laski)는 다음과 같이 언급했다“재단들은 단지 그 용어의 직접적이며 단순한 의미에서그들이 그렇게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통제하지 않는다그들은 세계 전부가 지적인 범위의 각도로 끌려가는 것을 항상 의미했다는 것을 찾아내기 위해서 단지 전체 세계를 위해서 그들 마음의 직접적인 방향을 나타내기만 하면된다.  

    로버트 아노베(Robert Arnove). 『철학과 문화제국주의』. 1980.

 

  미국에서 웰하우젠과 그의 제자들의 성경비평은 록펠러 2세의 재정 지원을 받았다. 세계주의자로 알려진 록펠러는 1차 세계대전 중에 인류를 하나의 세계정부 아래 통합하겠다는 단일 세계종교의 개념에 매료되었다. 젊은 록펠러는 재계의 거물인 앤드루 카네기(Carnegie)의 영향을 받았다. 카네기가 그의 철강회사를 제 피 모건(Morgan)에게 4억8천만 달러(그 당시 단일 사업으론 최고의 가격)에 매각한 후, 그는 현 시가로 4천만의 달러 거대한 자본을 들여 ‘영구적인 중재 재판소’를 건립하기 위해 네덜란드 헤이그 평화궁전 건설에 그 돈을 쏟아 부었다.① 이 재판소의 임무는 국가간의 분쟁을 해결하고 ‘완전한 전쟁 추방’을 성사시키기 위한 것이었다.② 평화궁전의 건설은 세계적인 사법권 아래서 국가의 주권과 국가의 법률을 녹여서 없애는 최초의 시도로 나타났다. 건물이 완성됐을 때, 카네기는 그것을 ‘세상에서 가장 신성한 건물’이라 불렀다.③

 

카네기 13)  재단

 

  카네기는 ‘평화연합’ 혹은 ‘국가연합’을 만들기 위해서 일종의 십자군에 승선했다. 그 연합은 선두 제국주의 국가들의 결성체를 구성하여, 국제경찰로 그 연합체를 완성시키는 것이었다.④ 그는 심지어 ‘국가연합’이란 제목의 짧은 기사를 통해 그의 제안을 1907년 5월 25일 ‘전망 Outlook’ 잡지의 여러 쪽에 발표했다.⑤ 그런 조직의 창설은 미국의 교육과 정치단체들의 통제를 요구할 수 있을 것이라고 카네기는 깨달았다. 자선단체 재단에서 들어오는 막대한 현금 지원만으로도 이뤄질 수 있는 통제를 실감했다. 이런 교육 및 정치 기관들은 그들이 지속적으로 존재하기 위해서 이런 금전적 혜택에 의존하게 될 것이며, 그래서 재단의 이사들은 그들의 활동에 관한 통제를 취하게 될 것이다. ‘국제평화 카네기 기부재단’은 1910년에 미국 수도 워싱턴에 본부를 설치했다.  

 

통제받는 교육

 

  세계정부의 발생은 사회공학을 필요로 한다는 것을 인식하면서 1905년에 설립된 카네기 교육진흥재단(CFAT)은 미국 교육시스템을 통제했다. 그 재단의 본래의 목적은 인종, 성, 신앙 혹은 피부색에 관계없이 종합대학, 단과대학, 기술학교 등의 교육자들에게 퇴직 연금을 지원하는 것이었다.⑥ 그 재단은 또한 재단이 제시한 장학금 기준과 입학 기준을 준수하는 교육기관에 기부금을 제공했다. 1909년까지 카네기 교육진흥재단은 단과대학과 종합대학을 대상으로 국가적인 비공식 승인 대행기관이 되었다.⑦ 이 단체는 교육과정을 만들고, 교수진을 감독하고 행정업무를 총감독하는 힘을 소유하게 됐다.

 

 카네기는 널리 알려진 사회주의자이며 불가지론자(不可知論: 경험현상을 넘어서는 어떤 것의 존재도 알 수 없다는 학설로 신의 존재를 의심함), 세계주의자 그리고 로즈(Rhodes) 장학협회 회원이었기 때문에, 미국 전역의 대학들은 그의 이념과 믿음을 반영하기 시작했다. 리스위원회 특별고문인 리네 움저(Rene Wormser)는 그의 책 『재단들: 그들의 힘과 영향력』에서 다음과 같이 썼다.

 

  교육계에 급속도로 침투하기 시작하면서 증가하는 급진주의는 결코 풀뿌리 운동이 아니었다. 아론 사전트(Aron Sargent)는 사회주의는 대중들에게서 발생된 것이 아니라 지식인들에 의해 선동되었다고 루드윅 본 마이제(Ludwig Von Mises) 교수의 말을 인용했다. 마이제 교수는 “그 지식인들은 그들을 하나의 파벌을 형성하고 내부에서 구멍을 뚫어 그 방식을 운영한다”고 했다. 그것은 결코 대중들의 운동이 아니다. 그것은 대중들이 도달하고 싶어하는 어떤 목표점을 향해 나아가도록 대중들의 감정과 동정심에 대한 일종의 자본주의화 현상이다.⑧  

 

다모클레스의 검 14)  

 

  카네기 교육진흥재단의 기금은 다모클레스 검과 같은 그 나라의 고등교육 기관들을 농락했다. 재단 이사들의 요구에 순응하는 사람들은 막대한 혜택을 받았으며, 응하지 않는 사람들은 받지못했다. 새로운 연구주제들 즉 인류학, 비교종교학과 사회과학 과목들이 대학 교과 과정에 강요되었는데, 이들 학문 모두는 문화적 관행과 이념의 상대성을 강조하는 역할을 했다. 그들 학과목을 소개해야 할 필요성은 세계적인 갈등의 도래로 인해 발생되었다. 학생들은 그들의 부모와 선조들이 유럽 땅에서 발생한 전쟁에 관여하기를 요구받기 이전에 전 세대가 취한 ‘고립주의자’ 노선을 버리도록 길들어졌다.    

  미국내 종교대학에 관한 카네기 재단의 영향력은 뉴욕시 교육부 장관인 토마스 더블루 처칠(Thomas W. Churchill)이 1914년 6월 14일에 행한 연설에서 다음과 같이 혹독하게 비난받았다.

 

 카네기씨의 노력은 미국대학에서 대학들의 특성을 깨트리고 있으며 공공분야 서비스에 대한 그들의 기여도를 줄이고 있다. 카네기 재단은 의도적이며 눈에 띄게 종교대학들에서 영향력을 행사했는데, 특히 이런 현상은 미비한 시설이지만 탁월한 정신으로 대단한 사마리아적인 자선적인 일을 하는 소규모 신학대학들에서 두드러졌다. 그 결과 차례차례 많은 종교대학들은 다른 곳에는 없지만 학내에서 마땅히 발견되었어야 했던 독립성을 포기하고 그들의 설립자의 믿음을 버리도록 막대한 돈으로 유혹받고 있다. 이 세대에서, 이 공화국에서 어떤 사람들이 막대한 부를 갖고 거대한 권력을 아주 격렬하게 이용하고 있다. 나로서는 그 권력이 종교의 폐기를 돈으로 사는 것을 허용한다고 생각하니 부끄러워 속이 메스껍다. ⑨

 

수백만 달러 더미 속에서의 목욕

 

 동시에 미국 교육부의 대학 행정국장인 어네스트 빅터 홀리스(Ernest Victor Hollis)도 카네기 교육진흥재단의 사악한 영향력에 반대하는 목소리를 냈다. 그는 기부금으로 사용되는 방법은 일반적이며 비논쟁적인 목적을 통해서 간접적으로 행해졌다. 예를 들면, 홀리스는 대학교수에게 연금을 주는 것이나 혹은 그 대학의 전반적인 기부금에 얼마의 금액을 제공하는 것과 입학 자격요건, 재정적인 관행 그리고 그 대학의 장학금 기준을 개혁하는 행위 사이에는 거의 연관성이 없다고 상세하게 언급했다. 그러나 어떤 것 하나는 다른 어떤 것에 묶여져 있다고 그는 강하게 주장했다. 그것은 순응의 문제이지 결코 보조금은 아니었다. 순응하는 것은 수백만 달러의 흐름 속에서 목욕하는 것으로  의미될 때, 단과대학이나 종합대학들의 행정관들이나 교수진들은 순응하는 경향을 띄게 되었다. ⑩

 

록펠러 재단 15)

 

 록펠러 재단은 1913년 존 디 록펠러 2세가 처음에 1000억원 기부금으로 ‘전세계 인류의 행복’을 도모하기위해 설립됐다.⑪ 그 때까지는 록펠러 2세는 카네기와 친밀한 관계를 발전시켜왔으며, 그는 카네기를 삼촌같은 애정으로 대했다그는 매년 여름 스키보(Skibo)에서 여러 주일을 보냈으며 그들의 재단이 공동의 세계적인 목적을 향해서 그들의 자원이 사용되도록 해야한다고 카네기와 의견을 같이했다.⑫ 카네기가 마지막으로 공개된 자리에서 모습을 드러낸 것은 뉴욕 5번가 침례교회에서 록펠러 2세의 성경수업 모임에서였다. 그 출현은 카네기가 록펠러 2세에게 그의 종교상의 근본주의를 버리도록 설득한 점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카네기가 성경수업에서 연설한 직후에 록펠러 2세는 ‘예수의 도덕적인 정신을 표명하는 사람은 누구든지 그들이 비록 기독교 교리를 부인하더라도 천국으로 들어갈 자격이 있다’라는 그의 신념을 그 모임에서 발표했다.⑬  

 

  록펠러 2세의 세계주의는 그의 변호사이며 조언자인 레이먼드 비 포스딕(Raymond B. Fosdick)과의 우정으로 인해 더욱 더 고조되었다. 포스딕은 윌슨 대통령이 주창한 국제연맹의 국장직을 수행하도록 임명되었다.⑭ 포스딕이 긍적적인 측면을 강조하며 쓴 전기 『존 디 록펠러 2세: 자화상』에서 그는 다음과 같이 썼다. “더욱 더 록펠러 2세는 세계적인 관점에서 생각하기 시작했다. 그는 국제연맹이 처음 제안됐을 때 그것을 지지하지 않았던 것은 사실이다. 그것은 마치 그가 그의 아버지로부터 교회 가입을 권유받았을 때와 같이, 그렇게 정치적인 충성심은 비슷하게 물려받았다. 그는 민주당 윌슨 대통령에 반대하며 공화당을 지지했다. 그러나 그의 견해는 변함없이 관용이란 의미로 표시되었으며, 강직함이 그의 성격의 일부는 아니었다.⑮

 

포스딕과 라쿠첸부시

 

  레이먼드의 형인 헤리 에머슨 포스딕(Harry Emerson Fosdick) 목사의 영향 아래, 록펠러 2세는 기금을 출현하여 교회연합 운동을 진두지휘하였는데, 이 교회연합 운동은 신교들의 활동을 통제하게 될 주식회사와 같은 구조로 신교들을 통합하는 것을 추구했다.⑯ 교회연합운동의 이념은 미국의 유니언 신학교 교수인 찰스 브리거(Charles Briggs)가 쓴 웰하우젠의 ‘고등 비평’(성서의 문학적, 역사적 연구)에서 세뇌되어진 포스딕 목사의 설교에서 나왔다. 포스딕은 기독교는 신화성을 없애야 하며 처녀 탄생, 예수의 기적들과 부활 등을 포함한 성경에 나타난 모든 부착물을 제거해야 한다고 믿었다. 그래야만 세계 도처의 종교들이 통합에 대해서 어떤 꺼림칙한 부분들을 표출하지 않을 것이다. ⑰

 

  남부 맨허튼 지역의 젊은 목사인 포스딕은 월터 라쿠젠부시(Walter Rauschenbusch) 목사의 사회복음주의를 접하게 되었다. 라쿠젠부시는 기독교는 본질적으로 혁명적인 종교이며, 예수는 십자가 상에서 속죄 행위를 하지 않았으며, 천국은 하늘로 올라가는 문제가 아니라 지상 생활을 하늘의 조화 속으로 변형시키는 것이라고 가르쳤다.⑱ 이것이 모든 인류를 통합시킬 수 있는 메시지라고 포스딕은 믿었다. 그 메시지는 록펠러 2세와 마음이 통하여 포스딕은 1917년 침례교인 사회연합에서 행한 연설에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 “새롭게 통합된 교회는 법령, 의식, 교리 등은 하나님의 왕국 혹은 하나님의 교회로 들어가기 위한 ‘비본질적인 요소’라고 선언할 것이다.”⑲

 

교리 근본주의자들은 승리할 것인가?

 

 해리 에머슨 포스딕과 록펠러 2세는 포스딕이 뉴욕 제일 장로교회에서 ‘교리 근본주의자들은 승리할 것인가?’라는 설교를 한 후에 서로 하나로 연대했다. 그 설교에서 포스딕 목사는 예수 생애의 초자연적인 측면을 유지시켰던 성경해석을 ‘편협한 것’으로 맹렬히 비판했다.⑳ 그러자 신자들이 그들의 목사로서 포스딕의 축출을 요구함으로써 그 설교에 대응했을 때, 록펠러 2세는 포스딕 지지 집회를 개최하고 전국에 걸쳐 목사들과 신학교 학생들에게 설교 복사본을 배부했다.㉑ 게다가, 록펠러 2세는 포스딕 목사가 록펠러 재단이 40억 원에 건축한 남부 맨허튼 지역의 리버사이드 교회의 수석목사로서 선출되어야 한다는 계획을 세웠다.㉒

 

  그의 편에 선 두명의 포스딕 형제와 같이, 록펠러 2세는 성서의 고등비평(성서의 문학적, 역사적 연구)의 지시 사항들과 신구약의 오류를 밝히는 것에 순응하는 신학교에 자금을 지원하는 어떤 정책을 착수했다. 부활 이야기와 예수의 신성을 믿지 않는 새로운 부류의 목사들이 미국사람들에게 부각되었다. 의심의 씨앗과 회의론이 대서양에서 태평양에 이르기까지 널리 번지게 될 것이며 종래의 깊이 자리잡은 신앙심이 종교상의 신앙 무차별론으로 인해 굴복되어질 것이다.

       

  신구약의 오류를 밝히는 행위를 정당하게 한 후에, 기독교 목사들은 히브리 민족의 신을 숭배의 대상으로 지탱할 수 없었다. 그리고 새로운 신은 현대인들에게 모두를 사랑하고, 모두를 배려하고, 모두를 용서하는 존재로 제시되었고, 그 신은 모든 생활 형태와 모든 종교적 표현의 수단들을 인정하는 존재로 제시되었다. 이 신은 마르키온의 이단설과 프리메이슨의 전통에서 유래된 신성한 존재다. 그래서 오늘날의 일부 기독교인과 유대인은 석판에 기록된 것들을 무시하게 되었다.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