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사군자를 활용한 작명과 풍수

작성자안병관|작성시간13.10.28|조회수16 목록 댓글 0

   사군자를 활용한 작명과 풍수

 사군자(四君子)란 식물의 특성을 군자(君子)가 가지고 있는 성품으로 각기 구별하여 나눈 것입니다. 사군자에는 매(매화), (난초), (대나무), (국화)이 있는데 선비가 본받아야 할 인(), (), (), () 네 가지 상징물입니다.

매화(): 겨울이 지나 이른 입춘 절기에 최고 먼저 피는 꽃입니다. 이른 봄 눈 속에서 피는 꽃이므로 인()을 상징하므로 덕을 지닌 의지를 선비가 본받고자 하였습니다.

난초(): 가냘픈 잎에서 길게 뻗은 꽃의 기세와 향기에서 변하지 않는 절개인 의()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대나무(): 추운 겨울에도 잎이 푸름과 좌우로 휘지 않고 위로 뻗어 가는 기계를 상징 하는데 이것은 선비의 예()를 지키는 충성심과 절개를 상징합니다.

국화(): 초겨울 추위를 이겨내는 지혜()에서 지조를 습득하고자 하였습니다.

선비는 사군자를 서예나 화폭의 그림으로 간직하여 그 정신을 마음에 새기며 인성을 갈고 닦는 수단으로 생각하였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사군자를 이름이나 풍수로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예로부터 사군자 이름은 금하였으나 사주나 관상의 격이 크고 많이 배운 기생들은 간혹 사용하기도 하였습니다. 기생은 조선말이나 초기 일제 강점기에만 해도 수많은 경쟁을 물리치고 뽑힌 후 다시 2~3년 동안 교육을 받고서야 현장에 겨우 나갈 수 있었던 직업입니다.

 사군자는 남자에게 의지하지 않는 직업과 선비 같은 학식을 가지고 있어야 흉하지 않습니다. 예전의 유명한 기생들은 선비와 같은 배움과 지조 그리고 충절이 있었다고 합니다. 그러나 뚜렷한 직업을 가지고 있으며 독신으로 살 것이 아니면 사용하지 할 수 없습니다.

이름에 사용하면 부모 형제의 인연은 부족하여 외로우나 이성에 인기를 독차지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좋은 남자를 만나기 어렵고 결혼한 부부는 이별 운을 조심하여야 합니다. 활동성이 있어 결혼 후에 직장생활은 좋으나 자유분방함의 기질이 있어서 한 직장에 장기간 근무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그러나 창의력이 있어 학식이 있는 예술가나 예능인(연예인, 가수, 모델, 디자이너 등)으로 나가면 능력을 발휘하며 귀인을 만나 출세할 수도 있습니다. (), () 두 글자는 사람의 이름보다는 건물의 각 내실에 사용하면 좋은 글자입니다.

()는 파자로 나누면 (나무)+ (언제나)으로 계절이 오면 항시 피어난다는 뜻입니다. 풍수에서 말하는 포태법(胞胎法)으로 죽음() 뒤 다음에 오는 의 글자()이므로 겨울에 죽어 봄에 다시 꽃 피우는 희망의 상징이나 한편으로는 육친의 아버지를 상하게 합니다.

()은 타고난 성질은 이나 으로 활용됩니다. (풀초, 초두)+()+(분석)은 문을 통해 세상을 구별한다는 뜻입니다. 봄을 지나서 왕기(旺氣)의 시기이므로 청년기입니다. 성격이 급하고 참을성이 약하여 모친을 상하게 할 수 있습니다.

풍수가 발달한 조선 시대에는 옷고름이나 베개 등에 문자나 기호, 전통문양으로 사용하였는데 부(), (), (), (), 봉황 새, 소나무, 원숭이, 박쥐같은 그림이나 글을 풍수나 민간신앙으로 사용하였습니다.

유가에서는 풍수에서 사군자를 많이 사용하였는데, 오늘날 예술이나 예능계 계통 또는 호텔이나 요정, 식당 같은 서비스업을 하는 건물 내실에 잘 활용하면 손님을 끌어 오는 매력적인 기운의 득을 볼 수 있을 것입니다.

풍수에서 사용하고자 할 때 매()는 남성이며 잉태입니다. 동쪽 좌청룡 자락에 있는 건물이 부실하거나 아들을 원할 때, 동쪽 태실(胎室)에 사용합니다. 그러나 청룡이 막히지 않고 생을 받아야 길합니다.

 조선시대에는 베개풍수로 많이 사용하였는데 잉태를 바라는 산모나 의기소침한 젊은 사람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라는 글자는 국()과 함께 노인의 베개에 사용하지 않습니다(특히 할머니). ()은 꿈자리가 좋지 않고 근심이 떠나지 않는 사람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은 신혼에 사용하면 애정 운이 좋을 수 있으나 허니문이 지난 부부가 사용할 경우 불화를 주의하여야 합니다.

뜻글자는 소리()에 영혼이 실려 있다고 해서 음령(音靈)이라고 합니다. 사군자에 해당하는 글자는 길흉이 있으므로 쓰임새에 맞게 사용하여야 합니다.

   

 

 

 

 

 

 

 

 

 

 

 

 

 
//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