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탁구이야기

부산세계탁구대회가 일주일 앞으로 다가왔습니다!

작성자정다운|작성시간24.02.09|조회수33 목록 댓글 0

군함조 카페 회원 여러분 안녕하세요?!

군함조  카페의 열혈팬인 정다운입니다.

 

오늘은 양력으로는 2월 9일이고 금요일인데

오늘부터 설 명절 연휴가 시작되는 날입니다.

그러니까 음력으로는 12월 30일이고 올해의 마지막 날입니다.

그래서 내일은 명실공히 신, 구정 모두 포함해서 푸른용의 해인 새해가 됩니다.

암쪼록 올해 마무리 잘 하시고 희망찬 새해를 맞이하시기를 바랍니다.

 

각설하고 이제 부산세계탁구선수권대회가 일주일 앞으로 닥아왔습니다.

우리나라는 역대 세계탁구선수권대회에서 그래도 쏠쏠한 성적을 거두었었습니다.

그러나 이번 대회에서는 결코 녹녹치 않고 험난한 길이 예상됩니다.

그러나 우리 안방에서 벌어지는 대회이니만큼 열심히 최선을 다해서 경기에 임해서

좋은 성적을 거두어 주시기를 간절히 바랍니다.

 

울 카페에 올라오는 글들을 볼라치면 꽤 많은 회원님들께서 바쁘신데도 불구하고

그 비싼 입장료까지 지불하며 직관을 하시겠다 하시니 그저 고맙고 감사할 따름입니다.

직관을 하시던 방송으로 시청을 하시던 울 나라 선수들이 경기를 하거들랑

우리 모두 열심히 글구 열열히 응원하자구요!

 

여러분 모두 새해에도 항상 건강하시고 설명절 연휴 잘들 보내세요!

글구, 즐탁은 건강과 운동차원에서라도 필수이니 열탁하세요!

 

 

아래는 역대 세계선수권대회와 관련된 기사가 있어서

울 회원 여러분들과 공유하고자 가져왔으니 참고하세요!

 

[서울=뉴시스] 1973년 사라예보에서 한국 구기스포츠 사상 첫 세계제패의 쾌거를 달성했다. 2024.02.08. (사진=부산세계탁구선수권 조직위원회 제공)

 

 

'BNK부산은행 2024 부산세계탁구선수권대회'가 일주일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사라예보와 지바에서 일궜던 기적을 재연할지 탁구팬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이번 대회는 오는 16일 벡스코 특설경기장에서 막을 올린다. 한국 탁구 사상 처음으로 개최하는 세계탁구선수권대회다.

이번 대회는 단체전만 치러지는 팀 선수권대회다. 국제탁구연맹(ITTF)은 홀수 해에 개인전, 짝수 해엔 단체전을 여는 방식으로 세계선수권대회를 개최하고 있다. 지난해 남아공 더반 대회에서는 개인전이 열린 바 있다.

사진 삭제

 

 

[서울=뉴시스]남북단일팀 ‘코리아’가 일궈낸 1991년 지바 대회 여자단체전의 감격도 잊을 수 없는 전적이다.

2024.02.08. (사진=부산세계탁구선수권 조직위원회 제공)

 

 

한국 탁구대표팀은 남자 이상수(34·삼성생명), 장우진(29), 임종훈(27·한국거래소), 안재현(25·한국거래소), 박규현(19·미래에셋증권), 여자 전지희(32·미래에셋증권), 이은혜(29·대한항공), 이시온(28·삼성생명), 윤효빈(26·미래에셋증권), 신유빈(20·대한항공)으로 구성됐다. 주세혁, 오광헌 감독이 남녀대표팀을 이끌고 있다.

1956년 제23회 도쿄세계선수권대회부터 세계를 향한 도전을 시작한 한국 탁구는 지금까지 단체전에서 남녀를 합해 모두 28회 시상대에 올랐다. 여자가 금메달 2개, 은메달 7개, 동메달 8개 등 모두 17개, 남자가 은메달 2개, 동메달 9개 등 11개 메달을 따냈다.

첫 입상은 1959년 도르트문트 세계선수권대회 여자단체전에서 따낸 은메달이다. 조경자, 최경자, 황율자로 구성된 여자팀이 단체전 결선리그에서 중국을 이겼지만 일본에 져 준우승했다. 고교생이 주축을 이룬 대표팀은 당시 약소국 한국을 세계에 알리는 데 공헌했다.

 

 

 

[서울=뉴시스]2018년 할름스타드에서 또 한 번 코리아의 감동을 연출했다. 2024.02.08.

(사진=부산세계탁구선수권 조직위원회 제공)

 

 

첫 금메달은 유명한 사라예보에서 수확했다. 1973년 유고(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사라예보세계선수권대회에서 이경호 감독, 천영석 코치가 이끈 여자대표팀이 세계를 제패했다. 정현숙, 박미라, 이에리사, 김순옥, 나인숙은 예선리그는 물론 중국, 일본, 헝가리와 펼친 결선리그도 전승으로 장식하며 우승을 일궜다. 한국 구기 사상 첫 세계 제패 위업을 달성한 대표팀은 귀국 후 대대적인 환영을 받았다.

남북단일팀으로 일궈낸 1991년 지바 대회 여자 단체전 감격도 잊을 수 없는 전적이다. 남북한 선수들은 개막 1개월 전부터 합동 훈련을 거친 뒤 본 무대에서 선전을 펼쳤다. 예선리그를 7전 전승으로 통과한 뒤 구 소련과 헝가리를 8강, 4강에서 연파하고 결승에 진출했다. 결승전에서 덩야핑의 중국과 접전 끝에 우승했다.

사라예보와 지바 대회 이후 한국 탁구는 세계 선수권 정상에 다시 서지 못했다. 70~80년대 전성기를 누린 여자 탁구는 결승전에 꾸준히 진출했지만 번번이 중국 벽에 막혔다.

 

 

[서울=뉴시스]세계탁구선수권 단체전 입상 기록. 2024.02.08. (사진=부산세계탁구선수권 조직위원회 제공)

 

 

1995년 중국 톈진 대회 동메달로 물꼬를 튼 남자 탁구는 오상은, 주세혁, 유승민 3인방 활약을 앞세워 2006년 브레멘, 2008년 광저우 대회에서 연속으로 결승에 진출했지만 역시 중국을 넘지 못해 끝내 금메달을 따지 못했다.

최근 단체전 대회였던 2022년 청두 대회에서 한국은 남자대표팀이 4강에 올라 동메달을 땄다. 2016년 쿠알라룸푸르 대회 이후부터 연속 3회 동메달이다. 현 대표팀에서는 장우진이 최근 3연속 동메달에 모두 기여했다. 이상수는 2016년과 2018년 대표였다. 왼손 에이스 임종훈은 2018년 대표로 활약한 뒤 이번 대회 대표팀에 다시 복귀했다. 안재현은 2022년 대회에 이은 연속 출전이다. 신예 박규현은 이번이 첫 번째 단체전 출전이다.

여자 탁구는 2010년대 이후 성적이 만족스럽지 못했다. 2012년 도르트문트 대회 동메달 이후 2014년 대회와 2016년 대회는 연속으로 16강을 넘지 못했다. 2018년 할름스타드 대회에서 남북단일팀을 이뤄 4강에 올랐지만 직전 대회였던 2022년 청두에서는 다시 16강에 머물렀다.

 

 

[서울=뉴시스]여자팀은 최근 부진했다. 부산에서 ‘새 역사’를 목표한다. 여자대표팀 에이스 신유빈. 2024.02.08. (사진=부산세계탁구선수권 조직위원회 제공)

 

 

이번 대회 한국 여자대표팀 중에는 전지희와 이시온, 윤효빈이 단체전 경험이 있지만 2018년에 동메달을 딴 전지희 외에는 승리한 기억이 없다. 에이스 신유빈도 세계선수권 단체전 출전은 이번이 처음이다.

대한탁구협회는 "2024 부산세계탁구선수권대회는 한국탁구가 새로운 출발점, 혹은 분기점으로 삼을 수 있는 기회의 장"이라며 "안방에서 대회를 치르는 선수들이 성적에서도 목표한 성과를 낼 수 있다면 한국탁구는 부산에서 또 다른 전성기를 꿈꿀 수 있게 될 것"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