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댓글

뒤로

마중지봉(麻中之逢) 근묵자흑(近墨者黑)

작성자태공 엄행렬| 작성시간24.06.18| 조회수0| 댓글 6

댓글 리스트

  • 작성자 베베 김미애 작성시간24.06.18

    마중지봉(麻中之逢)
    근묵자흑(近墨者黑)
    많이 듣는 사자 성어인데
    마상이
    지며리는 못 듣던 고유한
    우리 말인 가 봅니다
    무식이 춤을 추는 순간!
    모르는 게 훨 많은
    자신을 되돌아 봅니다
    오늘도 건승하십시오
    태공 엄행렬 시인님



  • 답댓글 작성자 태공 엄행렬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작성시간24.06.18
    * 마상이
    돛 없는 거룻배처럼 노를 젓게 된 작은 배
    통나무를 파서 만든 작은 배
    * 지며리도 순수한 우리말이네요.

    우리 나라 말이 참 어렵습니다.
    세종대왕께서 누구라도 쉽게 쓰라며 창제한 한글인데~~~~ㅋ

    무식이라니요?~~~><
    제 곁에는 국어사전
    저도 찾아 보고, 인터넷도 뒤져가며 글 쓴답니다.
    회원님들과 같이 배우는 거지요.

    배움의 길은 역시 끝이 없다는 말
    깊이 실감하고 있습니다.
    요즘 사자성어 쓰는 맛
    쏠쏠합니다. ㅎ
    오늘도 파이팅입니다.
    베베 시인님!~~~^0^
  • 작성자 소 담 작성시간24.06.18

    에궁
    아래 뜻풀이가 없으면
    내 맘대로 생각할번 했습니다
    그저 아는 것은 선과 악이 무엇인가 알 뿐입니다 ㅎㅎㅎ

    마중지봉(麻中之逢) 근묵자흑(近墨者黑)
    잘 챙김해놓고 잘 새겨서 배움을 하렵니다
    아침부터 들려주시는 피아노 의 선률이
    행복 을 마구마구 뿌려 주는 군요 ..
    댓글 첨부 이미지 이미지 확대
  • 답댓글 작성자 태공 엄행렬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작성시간24.06.18
    마중지봉의 반의어가 근묵자흑이라
    두 개를 같이 묶어 써 봤습니다.

    살면서 누구를 만나느냐에 따라서
    살 길이 달라지니 매우 중요하지요.

    사무실 개업 초기에 몇 번 접한 사기꾼 녀석들!
    잠시 솔깃해 꾐에 넘어갔지만,
    그래도 피해액은 200만 원 정도여서 다행이었지요.
    20년 전의 일이네요~~~ㅋㅋㅋ
  • 작성자 단미그린비동탄 작성시간24.06.18 지금 젊은 애들은 무슨 이리 어려운 문자들을 가져와 쓰냐고 하겠네요. 그래선지 예전부터 글을 조금 쓰신다 하는 분들은 밑에 이렇게 토를 달아 놓아 이해를 돕고 있더라구요. 수고 많으셨구요. 항상 글에는 뜻과 의미가 있지요. 좋은 사람과 나쁜 사람을 잘 구분하라는 태공 시인님의 사자성어로 된 귀한 말씀... 잘 새겨듣겠습니다... 더워진 날씨 항상 건강 조심 또 건강 조심하시구요. 댓글 첨부 이미지 이미지 확대
  • 답댓글 작성자 태공 엄행렬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작성시간24.06.19
    제 아들은 중학교 때 한문을 가르쳤다 하는데
    두 살 차이 며느리 때는 한문 과목이 없었다고 하더군요.
    사람이 올바르게 살아야 한다는
    중국의 유교사상
    허튼 말 없기에 내칠 일이 아니라고 봅니다.

    시작된 무더위
    오늘 늦은 밤부터 제주도로부터 시작된다는 장마.
    본격전인 여름이군요.
    잘 이기시길 바랍니다.
    동탄 시인님!~~~^0^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
카카오 이모티콘
사용할 수 있는 카페앱에서
댓글을 작성하시겠습니까?
이동시 작성중인 내용은 유지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