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행시 작품방

[스크랩] 조선시대 4대 사화 / 1. 무오사화(戊午史禍)

작성자태공 엄행렬|작성시간24.08.13|조회수50 목록 댓글 2

 

 

<무오사화(戊午史禍)> * 1498년(연산군 4년)

 

1.조선 초기 사림파와 훈구파의 정치적 대립

 세조가 왕위에 오르면서 조선은 중앙집권과 부국강병을 지나치게 추구하는 정책을 펼쳤다. 그에 따라 훈구 대신들이 권세가 높아지고 재산을 모으면서 부정부패와 폐단이 일어 성종 때 김종직(金宗直)을 중심으로 한 사림파는 새로운 정치세력으로 등장, 정계로 진출하였다. 사림파는 3사(三司:司諫院 ·司憲府 ·弘文館)의 언론직(言論職) 및 사관직(史官職)을 차지하면서 훈구 대신의 비행을 폭로·규탄하고, 연산군의 향락을 비판하면서 왕권의 전제화를 반대하였다.

 한편 훈구파는 사림파를 야생귀족(野生貴族)으로 보고, 사림이 붕당을 만들어 정치를 어지럽게 한다고 비난하여 연산군 이후 그 대립이 표면화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김종직과 유자광은 일찍이 개인감정이 있었고, 김종직의 제자 김일손이 성종 때 춘추관(春秋館)의 사관(史官)으로 있으면서 훈구파 이극돈(李克墩,광주이씨)의 비행과 세조의 찬탈을 사초에 기록한 일로 김일손과 이극돈 사이에도 반목이 생기게 되었다. 유자광·이극돈은 김종직 일파를 증오하여 보복에 착수하였다.

2.무오사화의 원인

 1498년 《성종실록》을 편찬하자, 실록청(實錄廳) 당상관(堂上官)이 된 이극돈은, 김일손이 사초에 삽입한 김종직의 조의제문(弔義帝文)이 세조가 단종으로부터 왕위를 빼앗은 일을 비방한 것이라 하고, 이를 문제삼아 사림파를 싫어하는 연산군에게 고하였다. 연산군은 김일손 등을 심문하고 이와 같은 죄악은 김종직이 선동한 것이라 하여, 이미 죽은 김종직의 관을 파헤쳐 그 시체의 목을 베었다.

3.화(禍)를 입은 사림파

 사림파 김일손·권오복(權五福)·이목(李穆)·허반(許盤)·권경유(權景裕) 등은 선왕(先王)을 무록(誣錄)한 죄를 씌워 죽이고, 정여창(鄭汝昌)·강겸(姜謙)·이수공(李守恭)·정승조(鄭承祖)·홍한(洪澣)·정희랑(鄭希良) 등은 난을 고하지 않은 죄로, 김굉필(金宏弼)·이종준(李宗準)·이주(李胄)·박한주(朴漢柱)·임희재(任熙載)·강백진(康伯珍) 등은 김종직의 제자로서 붕당을 이루어 조의제문의 삽입을 방조한 죄로 귀양보냈다.

 한편, 이극돈·유순(柳洵)·윤효손(尹孝孫)·어세겸(魚世謙) 등은 수사관(修史官)으로서 문제의 사초를 보고하지 않은 죄로 파면되었다. 이로써 사화 발단에 단서가 된 이극돈이 파면된 뒤 유자광은 그 위세가 더해진 반면, 많은 사림파 인사들이 희생되었다. 사초(史草) 때문에 일어난 사화(士禍)라고 하여 ‘사화(史禍)’라고도 한다.

4. 연산군의 실정

[출처]이덕일의 한국통사

 

1) 연산군의 결점

 

-준비된 국왕의 면모를 보여주지 못했다.

-호색가였고, 호문가였지만 왕위에 오른 후로는 학문을 등힌시했다.

- 조정의 역학관계를 무시했다(공신세력과 사림세력과의 관계)

 

2) 사화의 시작: 연산군 4년(1498년), 윤필상,한치영,유자광 등의 훈구 대신들이 국왕거처의 차비문으로 와서 "비사"를 아뢰겠다고 청한 것이 사화의 시작이었다.

 

(1) 김종직의 조의제문:정축년(세조3년) 10월, 답계역에서 잘 때 꿈에 초나라 의제가 나타나

"서초패왕(항우)에게 살해되어 빈강에 잠겼다."라고 하소연해서 꿈에서 깨어나

의제에게 조문했다는 내용의 글이다.

정축년10월은 단종이 세조에게 살해당한 달이므로 의제는 단종을 뜻하는 것이었다.

(2) 술주시:중국 남북조 때 송나라 유유가 동진 공제의 왕위를 빼앗고 죽인 것을 비난한 시

-세조가 단종을 찬시(임금을 죽이고 자리를 빼엇음)했다고 은유한 시이다.

3) 사림의 희생: 김일손,권오복,이목,허반 등은 능지처참,김종직은 부관참시(참시),김굉필 등 김종직 제자들은 귀양갔다.

4) 연산군은 사림을 대거 제거해서 왕권은 크게 강화되었지만, 이는 훈구라는 바다에 떠 있는 조각배에 불과하다는 사실을 인지하지 못했다.

- 사림이 왕권강화와 훈구세력 약화에 도움이 되는 세력이라는 사실

........................................................................................................................................................................................................................

 

무오사화

 

태공 엄행렬

 

 

무소불위無所不爲 유혹에 빠져 한때 권세 누릴 때는 

오들오들 떨 때 생각

꿈이라도 꿨겠나

 

사곡邪曲함은 반드시 끝이 좋지 않는 법

화왕지절火旺之節 곧이어 북풍한설 맞는 것을 

 

* 무소불위 : 못할 일이 없음

* 사곡하다 : 요사스럽고 바르지 못하다

* 화왕지절 : 오행五行에서, 화기火氣가 왕성한 절기(여름)

(오행 = 목화토금수木火土金水)

-20240809-

다음검색
스크랩 원문 : 비공개카페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댓글

댓글 리스트
  • 작성자베베 김미애 | 작성시간 24.08.13

    역사는 지난 족적을
    낱낱이 헤쳐
    事候에 심판 받을 일
    좋은 시절에
    좋은 씨앗을 심기란
    역사적으로 쉽지 않았나 봅니다
    계속 역사에 대해서만 쓰실 것인지요?
    그냥 궁금해서 여쭈어 봅니다



    댓글 첨부 이미지 이미지 확대
  • 답댓글 작성자태공 엄행렬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 작성시간 24.08.13
    4대 사화만 마치고
    저도 다른 시제로 머리 좀 식힐 생각입니다.
    그 때까지만 참으소서. ^^

    연산군의 폭정을 안 장옥정(장희빈)의 이들 경종(숙종 아들)은,
    그러한 보복 않고
    오히려 무수리 출신의 아들 이복동생(후일 영조)을 세제로 봉하는 너그러움 보였으나,
    왕위는 겨우 4년밖에, 병으로 돌아가셨다고 합니다.

    우여곡절 많은 세상살이
    그치지 않고 지금도 이어지니 섭리 가혹하네요~~~~~ㅠㅠ
댓글 전체보기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