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마하시선원에서 강의하고 있는 "아비담맛타상가하" 8장 빳타나가
지난 2023년 4월 11일에 기능 조건에서 대상 조건까지 진행되었습니다.
그 강의 내용 일부를 메모한 것이 7월31일에 책으로 나왔습니다.
필요하신 분은 댓글로 알려주십시오.
.....................
아비담마 법문 491-536강
2021/12/21 ~ 2022/4/11
아비담마 8장(4) 강의 메모
조건의 판별-빳타나(중)
기능/틈이 없는/빈틈없는
비존재/분리/반복/대상
한 국 마 하 시 선 원
법문 ∥ 우 소다나 사야도
통역 ∥ 비구 일창 담마간다
메모 ∥ 향 원
교정 및 편집 ∥ 수뭇따
....................................................
아비담마 8장(4) 강의 메모
조건의 판별-빳타나(중)
목차
일러두기 … 5
제491강–기능 조건1 … 7
제492강–기능 조건2 … 8
제493강–기능 조건3 … 13
제494강–기능 조건4 … 16
제495강–기능 조건5 … 20
제496강–기능 조건6 … 23
제497강–기능 조건7 … 28
제498강–기능 조건8/틈이 없는1 … 33
제499강–틈이 없는 조건2 … 36
제500강–틈이 없는 조건3 … 41
제501강–틈이 없는 조건4 … 44
제502강–틈이 없는 조건5 … 47
제503강–틈이 없는 조건6 … 52
제504강–틈이 없는 조건7 … 56
제505강–틈이 없는 조건7 … 59
제506강–틈이 없는 조건8 … 63
제507강–틈이 없는 조건9 … 70
제508강–빈틈없는 조건 … 75
제509강–비존재 조건 … 79
제510강–비존재 조건2/분리1 … 81
제511강–비존재 조건3/분리2 … 84
제512강–반복 조건1 … 87
제513강–반복 조건2 … 89
제514강–반복 조건3 … 92
제515강–반복 조건4 … 94
제516강–반복 조건5 … 98
제517강–반복 조건6 … 100
제518강–반복 조건7/대상1 … 104
제519강–대상 조건2 … 107
제520강–대상 조건3 … 109
제521강–대상 조건4 … 111
제522강–대상 조건5 … 113
제523강–대상 조건6 … 118
제524강–대상 조건7 … 122
제525강–대상 조건8 … 126
제526강–대상 조건9 … 129
제527강–대상 조건10 … 133
제528강–대상 조건11 … 136
제529강–대상 조건12 … 140
제530강–대상 조건13 … 141
제531강–대상 조건14 … 145
제532강–대상 조건15 … 150
제533강–대상 조건16 … 154
제534강–대상 조건17 … 158
제535강–대상 조건18 … 160
제536강–대상 조건19 … 164
....................
일러두기
1. 이 자료는 한국마하시선원의 우 소다나 사야도께서 강의하신 것을 일창 스님의 통역으로 듣고 그 내용 중 일부만 메모한 것입니다. 스님들의 검증을 받지 않은 것이며, 주석에는 메모자가 다른 책에서 인용한 것도 있습니다. 또한 강의 내용 전체를 기록한 것이 아니며, 강의 시간에 배부된 교재에 있는 내용 모두를 포함한 것도 아닙니다. 그러므로 강의할 때 배부된 교재도 함께 보셔야 이해하기가 쉬울 것입니다. 강의 내용 전체를 보시려면 한국마하시선원 카페 https://cafe.naver.com/koreamahasi/ 에 들어가서 동영상 강의(예 536강 : https://cafe.naver.com/koreamahasi/4509 )를 참조하시면 됩니다.
2. 이것은 제491강부터 메모한 것이니, 이전에 메모하여 이미 배부된 다음 자료를 참고하시면 도움이 될 것입니다.
① 아비담마 1∼4, 6장 강의 메모(제1~151강)과 부록 “아비담마 보조교재 (도표)”,
② 5장 강의 메모(152~213강),
③ 7장(상) 강의 메모(제214~265강),
④ 7장(중) 강의 메모
⑤ (제266~323강), 7장(하) 강의 메모(제324~383강),
⑥ 8장(1) 강의 메모(제384~422강),
⑦ 8장(2) 강의 메모(제423~454강),
⑧ 8장(3) 강의 메모(제455~491강)
3. 경전 표기에 사용된 약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A: 앙굿따라 니까야
D: 디가 니까야
Dhs: 담마상가니(法集論. 법의 갈무리)
DhsA: 앗타살리니(담마상가니 주석서)
M: 맛지마 니까야Sn: 상윳따 니까야
Vbh: 위방가(分別論. 법의 분석)
VbhA: 위방가 앗타까타(위방가 주석서)
5. 참고 자료는 다음과 같습니다.
생략
...........................................
제491강–기능조건1-20211221
❚개론
Indriya(기능)이란 다스린다는 뜻이니 기능 조건은 다스리는 조건이다. 기능 조건에는 22가지가 있다.
❙기능 22가지 ➪ 『아비담맛타상가하 대역』, pp.190~191 §18
❙기능 22가지의 법체
법체로는
①눈 감성물질이 눈 기능이다. ②귀 감성물질이 귀 기능이다. ③코 감성물질이 코 기능이다.
④혀 감성물질이 혀 기능이다. ⑤몸 감성물질이 몸 기능이다. ⑥여성물질이 여성 기능이다.
⑦남성물질이 남성 기능이다. ⑧생명기능 마음부수와 생명기능 물질이 생명기능이다.
⑨마음 89가지가 맘 기능이다.
⑩행복함과 함께하는 몸 의식에 결합한 느낌 마음부수가 행복함 기능이다.
⑪고통과 함께하는 몸 의식에 결합한 느낌 마음부수가 고통 기능이다.
⑫즐거움과 함께하는 마음 62가지와 결합한 느낌 마음부수가 즐거움 기능이다.
⑬성냄뿌리 두 가지 마음과 결합한 느낌 마음부수가 근심 기능이다.
⑭평온과 함께하는 마음 55가지와 결합한 느낌 마음부수가 평온 기능이다.
⑮아름다운 마음 59가지와 결합한 믿음 마음부수가 믿음 기능이다.
⑯전오식 10가지, 맘 요소 3가지, 조사 3가지를 제외한 (89-16) 73가지 마음과 결합한 정진 마음부수가 정진 기능이다.
⑰아름다운 마음 59가지와 결합한 새김 마음부수가 새김 기능이다.
⑱의심과 함께하는 마음 1, 전오식 10, 맘 요소 3, 조사 3을 제외한 (89-17) 72가지 마음과 결합한 하나됨 마음부수가 삼매 기능이다.
⑲세 가지 원인 마음 47가지와 결합한 통찰지(어리석음없음) 마음부수가 통찰지 기능이다.
⑳수다원도 마음과 결합한 통찰지 마음부수가 구경지 가지려는 기능이다.
㉑그 위의 도 세 가지(=사다함, 아나함, 아라한 도)와 아래 과 세 가지(수다원, 사다함, 아나함 과)와 결합한 통찰지 마음부수가 구경지 기능이다.
㉒아라한과와 결합한 통찰지 마음부수가 구경지 구족 기능이다.
❚만주사까
❙물질 기능
눈 기능 : 눈 기능은 눈 의식(안식) 요소에게, 또한 그 눈 의식 요소와 결합한 법들에게 기능 조건으로 조건이 된다. 쉽게 설명하면 눈 기능이 안식을 다스린다는 뜻이다. 안식이 보아서 아는 역할을 하려면 보는 영역에 있어서는 눈 감성물질이 있어야 볼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런 식으로 귀 기능, 코 기능, 혀 기능, 몸 기능이 각각 이식, 비식, 설식, 신식을 다스린다.
cf. 앞에 생긴 조건에서는 눈 기능(눈 감성물질)이 눈 감각장소(cakkhāyatana)로 표현되어 있다.
물질법과 정신법 두 가지는, 기능이라는 법이 있기 때문에 각 영역에서 다스리는 기능을 하는 법으로부터 완전히 자유로울 수 없고, 그 영향을 받아야 한다. 물질법에도 다스리는 기능을 하는 법이 있고, 정신법에도 다스리는 기능을 하는 법이 있으므로, 그 기능에 의해서 다스림을 당할 수밖에 없다. |
제492강–기능조건2-20220104
여성 기능과 남성 기능
여성 기능과 남성 기능은 ‘기능’에는 해당하지만 ‘기능 조건’에는 해당하지 않는다!
여성 물질과 남성 물질은 물질묶음 단위로 아위닙보가 8원소(地水火風色香味食)와 생명기능과 함께 생기므로 따로 성 물질만 볼 수 없고, 절대성품(빠라맛타)이므로 눈에 보이는 것이 아니다. 형색물질로는 보이지만 그 중 하나만 딱 떼어서 성 물질로 볼 수는 없다.
여성 기능과 남성 기능: 신체부분(liṅga)이나 모습(saṇṭhāna), (콧수염 등의) 표상(nimitta), 인형 또는 자동차를 가지고 노는 등의 행동(kutta), 걸어가는 모습 등의 자세(ākappa)를 보고 마음(눈이 아니라)으로 여성 물질이나 남성 물질이 있음을 안다.
재생연결 때에는 여자로 태어난 사람이, 업으로 인하여 살아가는 도중에 성 물질이 바뀌기 때문에 남자로 바뀌기도 한다. 그 반대인 경우도 있다.
성 물질은 바뀔 수 있다
❖성 물질은 바뀔 수 있다는 것을 다음의 소레이야(Soreyya) 장로 일화(『담마빠다』 게송 43)를 보면 알 수 있다.
남자에서 여자가 된 소레이야 장로
사왓티의 소레이야 장자는 친구들과 함께 수레를 타고 교외로 목욕하러 갔다가 돌아오는 길에 마하깟짜야나 장로가 탁발을 하려고 시 내로 들어오는 것을 보았다. 그는 그때 ‘아, 희고 고우면서도 빛나는 살결을 가진 저 비구가 나의 아내가 된다면!’하는 생각이 들었다.(이 생각은 10가지 악행 중의 탐애에 해당) 그 생각은 매우 강렬했는데, 이상하게도 그 순간 그의 몸은 여자로 변해가고 있었다. 그는 자기 모습에 소스라치게 놀라 수레에서 뛰어내린 다음 한참동안 숲속을 해매고 돌아다녔는데 그 사이에 완전히 여자로 바뀌어 버렸다.
여인이 된 그는 우연히 만난 상인들을 따라 딱까실라로 향하는 수레를 탔다. 상인들은 딱까실라에 사는 장자의 아들에게 소레이야를 소개시켰는데, 그는 그녀의 눈부시게 아름다운 모습에 첫눈에 반해 그녀와 결혼했다. 그녀는 두 아들을 낳아서 사왓티에 있는 두 아들을 합해 모두 네 아들의 어버이가 되었다. 어느 날 장사를 하려고 딱까실라에 온 소레이야의 친구가 그의 정체를 알아보았다. 그는 소레이야가 마하깟짜야나 장로를 보고 내 아내가 되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해서 여자로 바뀐 거라며, 장로에게 가서 용서를 구하라고 권했다. 친구의 조언대로 소레이야는 장로에게 가서 용서를 구했고, 장로가 용서하자 소레이야의 몸은 곧 남자로 회복되었다.
처음에는 남자였다가 여자로 바뀌고, 다시 남자가 된 소레이야는 마하깟짜야나 장로에게 출가하여 비구가 되었다. 장로는 그와 함께 사왓티로 갔고, 거기서 그는 소레이야 비구로 불리었다. 사람들은 그를 신기하게 생각하여 질문했다. “스님은 처음에는 두 아들의 아버지였고, 그 다음에는 다른 두 아들의 어머니였군요. 그중 어느 쪽의 아들에게 더 애정이 느껴지던가요?” 소레이야는 “두 쪽 다 애정이 가지만, 굳이 구분한다면 어머니였을 적의 아들에게 더 애정이 갑니다.”라고 대답했다. 얼마 후 수행이 깊어져서 사무애해를 갖춘 아라한이 된 소레이야는 사람들의 질문에 “나는 어느 쪽의 아들에게도 애정이 가지 않습니다.”라고 대답했다.
소레이야 비구의 대답이 전과 달라지자 비구들이 부처님께 그가 진실을 말하지 않는다고 말씀드렸다. 그러자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나의 아들 소레이야는 거짓말하고 있는 것이 아니다. 그는 바른 마음으로 도와 과를 성취한 후부터 자식에 대한 애정이 끊어졌다. 부모도 아라한을 성취하는데 도움을 줄 수 없다. 바른 길에 들어선 마음만이 아라한을 성취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이어서 부처님께서 게송을 읊으셨다.
어머니도 아버지도 해 주지 못한다.
또한 다른 그 밖의 친척들도 못한다.
바로 올바르게 향한 마음이,
그를 더욱 수승하게 만든다.
눈 감성물질이라는 눈 기능은 기능이기도 하고 기능 조건에도 해당된다. 눈 감성물질이 있어야 안식이 생긴다. 나이가 들어서 눈 감성물질의 힘이 약해지면 눈이 침침해져서 잘 못 본다. 반대로 눈 감성물질이 좋으면 선명하게 잘 본다. 눈 감성물질은 업의 과보로만 생기는 것이어서, 눈 감성물질이 완전히 무너져버린 사람은 아무리 현대의학 기술이 좋아도 치료할 수 없다. 눈 감성물질이 안식을 다스린다고 할 때는 이렇게 진실로 다스린다. 그래서 눈 감성물질은 기능 조건이 된다.
반면에 여성 물질이 기능이므로 어떤 분야는 다스린다. 즉 여성으로서의 신체부분이나 모습, 콧수염이 없는 등의 표상 정도만 다스린다. 눈 감성물질이 안식을 다스리는 것은 확실하게 다스린다. 눈 감성물질이 없으면 안식이 절대로 생기지 못한다. 그러므로 눈 감성물질은 안식에게 확실하게 기능 조건이 된다. 조건이 된다는 것은 생기도록 도움을 준다는 것, 그리고 생긴 것이 계속 유지되도록 도움을 주는 것을 말한다. 그러나 여성 물질이 업 때문에 생기는 것은 동일하고 다스리기는 하지만, 다스리는 것이 확실한 것이 아니라 여성으로서의 외부의 어떤 신체부분, 콧수염이 없고, 인형을 갖고 논다든지, 걸어갈 때의 자세 정도만 다스린다는 뜻이다.
마찬가지로 남성 물질도 다스리기는 다스린다. 남성으로서의 모습, 콧수염이 있는 표상, 자동차나 칼싸움을 하는 행동, 걸어갈 때 거칠게 걸어가는 자세 정도만 다스린다.
또한 성 물질은 진행과정 때 남성의 생에서 여성의 생으로, 여성에서 남성으로 바뀔 수도 있다. 바뀌기 때문에 확실하게 도움을 준다고 말하지 못한다. 눈 감성물질이 갑자기 귀 감성물질로 바뀌지는 않는다. 혹은 다른 것이 눈 감성물질의 역할을 대신하지도 않는다. 그래서 눈 감성물질은 확실하게 다스린다고 하고, 눈 감성물질은 기능 조건이 된다고 한다. 눈 이식수술을 한다고 해도, 눈 이식수술을 받은 사람에게 눈 감성물질을 생기게 하는 업이 있어야 눈이 제 기능을 하는 것이지, 그렇지 않으면 이식수술을 해도 보이지 않을 것이다.
남자가 여자로 변한 율장의 사례
남자로서 출가한 띳사 비구가 법랍이 10년이 되었을 때 몸이 갑자기 여자의 몸으로 바뀌었다. 그를 부처님께 데리고 가자 부처님께서 그를 법랍 10년이 된 비구니로 인정해 주라고 하셨다. 그래서 그는 신참 비구니가 된 셈이지만, 그보다 법랍이 적은 비구니로부터 예경을 받을 수 있게 되었다.
이런 식으로 남자에서 여자, 여자에서 남자로 바뀌는 사례가 있었기 때문에 계율까지 제정되었던 것이다.
이상은 만주사까의 설명이다.
▶ 여성 기능과 남성 기능은 ‘기능 조건’에는 해당하지 않는다!
기능 22가지에는 여성 기능과 남성 기능이 포함되어 있지만 빳타나의 기능 조건에는 성 기능이 언급되어 있지 않다. 왜 그런가?
조건이 되려면 다음 세 가지 요건이 갖춰져야 한다.
① 생산능력(janakasatti)으로 생기게 하는 것(신체부분 등이 생기게 하는 것은 과거의 업)
② 지지능력(upatthambhakasatti)으로 지지하는 것
③ 보호능력(anupālanasatti)으로 보호하는 것.
이 세 가지 중 어느 한 가지로라도 도움을 주는 것을 조건이라고 한다. 여성 물질과 남성 물질은 세 가지 중에 한 가지도 갖추지 못했다.
여성의 존재상속에서 여성의 신체부분인 손이 가늘고 긴 모습, 수염이 없고, 인형을 갖고 노는 행동이 나타나는 것은 여성 물질이 생기게 하는 것이 아니라 이전에 행한 업이 그런 것들을 생기게 하는 것이다. 남성도 유사하게 설명될 수 있다. 그러므로 여성 물질과 남성 물질은 생산능력으로 도움을 준다고 할 수 없다.
여성의 신체부분 등은 실재(빠라맛타)가 아니라 실재에 의지해서 생긴 것을 표현하기 위한 모습의 개념(빤냣띠)일 뿐이다. (빳타나의 24가지 조건 중에서 조건생성된 법이 되는 개념은 없다. 개념은 조건법이 될 수는 있다.) 따라서 ②와 ③으로도 도움을 줄 수 없다.
따라서 여성 물질과 남성 물질은 여성(남성)의 신체부분, 모습, 콧수염 등의 표상, (인형 또는 자동차를 가지고 노는 등의) 행동, (걸어가는 모습 등의) 자세에게 조건의 능력 세 가지 중 어느 것 한 가지로도 도움을 줄 수 없기 때문에 기능 조건에 해당하지 않는다.
성 물질과 비유하기 위해서 생명기능 물질을 예로 들면, 생명기능 물질은 보호능력으로 도움을 준다. “물질 생명기능은 업 때문에 생긴 물질들에게 기능 조건으로 조건이 된다.”
음식 물질은 이종(異種) 물질 묶음에 지지능력으로 도움을 준다. 그러나 성 물질은 동종(同種) 물질 묶음이나 이종 물질 묶음에게 기능 조건으로 도움을 주지 못한다. 왜냐하면 다스리는 조건이 없기 때문이다. (동종 물질 묶음이나 이종 물질 묶음은 아비담마 490강 참조)
이렇게 두 가지 성 물질은 빳타나 방법에 따라 기능 조건에는 해당하지 않지만 기능에는 해당한다. 왜냐하면 두 가지 성 물질은 여성의 모습이나 표상, 남성의 모습이나 표상에게, 자연적 강한 의지조건(자연적 의존 조건)으로는 도움을 주기 때문이다.
과거 업에 의해서 여성으로 태어날 중생의 물질 연속에는 재생연결의 찰나부터, 중생의 물질에 함께 포함되어 동시에 여성 물질이 생긴다. 처음부터 여성의 모습이 분명한 것은 아니지만 나중에 그 여성 물질의 힘 때문에만 여성의 모습, 여성의 표상이 드러나는 시기에 분명하게 드러나게 된다. 남성인 중생의 물질 연속에도 남성 물질의 힘 때문에만 남성의 모습, 남성의 표상이 드러나는 시기에 분명하게 드러나게 된다.
그와 같이 두 가지 성 물질이 모습과 표상이 드러나는 정도로는 다스리기 때문에 기능에는 포함된다.
물질 기능
눈 기능 : 눈 기능은 눈 의식 요소에게, 또한 그 눈 의식 요소와 결합한 법들에게 기능 조건으로 조건이 된다.(눈 기능=눈 감성물질, 눈 의식 요소=안식 2가지, 결합한 법들=공통, 반드시 마음부수 7가지)
▶ 눈 기능, 귀 기능, 코 기능, 혀 기능, 몸 기능 다섯 가지에서
❘조건법은 눈 감성물질, 귀, 코, 혀, 몸 감성물질 - 물질
❘조건생성된 법은 안식, 이식, 비식, 설식, 신식(전오식 10가지)과 그 마음부수들[觸受想思一命作] - 정신
물질이 정신에게 조건이 되는 기능 조건이다.
물질 생명기능
“물질 생명기능은 업 때문에 생긴 물질들에게 기능 조건으로 조건이 된다.
(Rūpajīvitindriyaṃ kaṭattārūpānaṃ indriyapaccayena paccayo.)”
❘조건법은 물질 생명기능 – 물질
❘조건생성된 법은 업 때문에 생긴 물질들 – 물질
안이비설신은 물질이 정신에게, 물질 생명기능은 물질이 물질에게 기능 조건이 되는 것이어서 빳타나에서 따로 설명한 것이다.
물질 생명기능은 묶음으로 보면 업 생성물질 묶음 9가지이다. 이것은 마음이나 온도나 음식 때문에 생긴 것이 아니라 오직 업 때문에만 생기는 물질이다.
이것은 눈 10원소 물질묶음, 귀 10원소 물질묶음, 코 10원소 물질묶음, 혀 10원소 물질묶음, 몸 10원소 물질묶음마다 순수 8원소와 함께 항상 포함되어 있다.
이렇게 물질 생명기능이 업 때문에 생기는 물질묶음마다 포함되어 있으면서 기능 조건으로 도움을 주고 있기 때문에, 그 업 때문에 생기는 물질묶음이 생명을 유지하고 있는 것이다.
이하 생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