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빠알리어-한국어-영어 색인"은 안양에 있는 한국마하시선원(031-474-2841)에서 구입하실 수 있습니다. 혹은 이 게시판에 댓글로 알려주십시오. 책값은 권당 5천원이고 1권일 경우 택배료 4천원이 추가됩니다. |
"빠알리어-한국어-영어 색인" 신간 출판
편저자 : 오원탁
발행처 : 도서출판 대윤
발행일 : 2021년 9월
값 : 5,000원
ISBN : 978-89-86169-25-6
쪽수 152쪽
...........................................
이 색인은 “빠알리어”는 물론, “한국어”나 “영어” 그리고 “빠알리어 한글 표기”로도
찾아 볼 수 있는 간단한 빠알리어 사전입니다.
또한 참고 자료로 빠알리어와 위빳사나 관련 책을 수록하였습니다.
................
목차
일러두기 … 4
머리말 … 5
빠알리어 한글 표기 … 7
빠알리어-한국어-영어 색인
제1부 빠알리어 로마자 표기 순 … 9
제2부 한국어 순 … 39
제3부 빠알리어 한글 표기 순 … 81
제4부 영어 순 … 111
첨부 마음부수 … 141
참고 자료… 145
.................
일러두기
1. 빠알리어 로마자 표기순은 다음 순서로 게재했다.
a ā b c d ḍ e g h i ī
j k l ḷ m ṁ n ṅ ñ ṇ
o p r s t ṭ u ū v y
2. 산스크리트어는 () 속에 ‘sanskrit’, 미얀마어는 () 속에 ‘미얀마어’라고 썼다.
...............
머리말
처음 불교서적을 볼 때 한자로 된 용어 때문에 불교는 어려운 것이라고 생각하고 책을 덮어버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부처님께서는 누구에게나 알아듣기 쉽게 말씀하셨지만 중국을 거쳐서 불교가 전래되었기 때문이라고 하겠습니다. 그러나 위빳사나 혹은 상좌불교에 관한 책을 만나면 쉬운 용어로 되어 있어 쉽게 다가갈 수 있습니다. 그러다가 스님들의 법문 속에 가끔씩 섞여 나오는 빠알리어를 들으면 “저게 무슨 뜻인가?” 생각하다가 문맥을 놓쳐 버리곤 합니다. 또한 펴낸이가 영어로 된 위빳사나 관련 책을 번역하면서 보니 같은 용어를 여러 가지 다른 단어로 영역해 놓았고, 다시 이를 한국어로 번역한 책을 봐도 용어가 통일되어 있지 않아서 애를 먹었습니다. 그래서 상좌불교를 처음 접하는 분들이 빠알리어의 뜻을 쉽게 찾아 볼 수 있도록, 빠알리어 로마자 표기 순, 한국어 순, 빠알리어 한글 표기 순, 영어 순으로 게재한 책 『빨리어-영어-한글 색인』을 2004년에 만들었습니다.
그 후로 17년이 흘러 2021년이 된 지금은 한국빠알리성전협회의 전재성 박사, 초기불전연구원의 대림 스님과 각묵 스님, 한국마하시선원의 일창 스님을 비롯한 여러분들이 상좌불교와 관련된 많은 책들을 출판하여 참고자료도 많아졌습니다. 이런 책들을 참고로 색인을 조금씩 수정해서 인터넷 사이트에 개정판을 올렸습니다. 그런 과정을 거치면서 사람들이 많이 채택하는 빠알리어 한글 표기가 달라진 것을 반영하기도 하고, 빠알리어 단어도 추가하거나 삭제하기도 했더니 표제어가 585개가 되었습니다. 책 이름도 『빠알리어-한국어-영어 색인』으로 바꿔서 다시 출판하고자 합니다. 책을 교정해 주신 분들 특히 빠알리어를 철저하게 교정해 준 오항해님을 비롯한 이종숙님, 이영신님, 최진우님, 김서영님에게 깊이 감사드립니다. 이 책이 불교를 공부하거나 수행을 하는 분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2021년
펴낸이
...................
빠알리어 한글 표기 *1
모음: a ā 아 I ī 이 u ū 우 e 에 o 오
자음:
무성 무기음 | 무성 대기음 | 유성 무기음 | 유성 대기음 | 비음① | |
후음 | ka 까 | kha 카 | ga 가 | gha 가 | ṅ ㅇ |
구개음 | ca 짜 | cha 차 | ja 자 | jha 자 | ña 냐 |
권설음 | ṭa 따 | ṭha 타 | ḍa 다 | ḍha다 | ṇa 나 |
치음 | ta 따 | tha 타 | da 다 | dha 다 | na 나 |
순음 | pa 빠 | pha 파 | ba 바 | bha 바 | ma 마 |
반모음 | ya 야② | ra 라 | la ㄹ라③ | va 와⑤ | |
마찰음 | sa 사 | ||||
기식음 | ha 하 | ||||
설측음 | ḷ ㄹ라③ | ||||
억제음 | ṁ ㅇ,ㅁ④ |
① 비음의 예를 들면 다음과 같습니다.
상카라(saṅkhāra. 형성. 行), 산냐(saññā. 인식. 想). 딴하(taṇha. 갈망. 갈애), 나마(nāma. 정신. 마음과 마음부수).
② yu는 ‘유’, ye는 ‘예’, yo는 ‘요’로 표기.
③ 앞의 모음에 ‘ㄹ’을 첨가.
(예: apalokana → 아빨로까나)
④ 대부분의 경우 ‘ㅇ’으로 표기하지만, ‘ㅅ’ 앞에서는 ‘ㅁ’으로 표기.
(예: Saṁyutta → 상윳따, bhivaṁsa → 비왐사)
⑤ 예: vedanā → 웨다나, vīriya → 위리야, vodāna → 오다나
기타 사항
⑴ 동일계통의 자음이 중복될 경우엔 앞의 자음을 받침으로 사용. 단, 받침으로 사용하는 앞의 자음에는
“외래어 표기법”에*2 따라 ‘ㄱ, ㄴ, ㄹ, ㅁ, ㅂ, ㅅ, ㅇ’만을 사용.
(예) buddha → 붇다(X), 붓다(O) sakka → 샄카(X), 삭카(O)
⑵ ‘k, t, p’를 된소리 ‘ㄲ, ㄸ, ㅃ’로 표기하는 것은 “외래어 표기법” 중의
“제3장 표기세칙 제17절 타이어의 표기”로부터 유추해 볼 때 타당하다고 생각됨.
*주1 : 참고 자료
① 비구 일창 담마간다 편역, 『보배경 강설』, 도서출판 불방일, 2020, 238-242쪽
② 전재성, 『법구경-담마파다』, 한국빠알리성전협회, 2016 3판, 818-819쪽.
*주2 : 외래어 표기법 일부 개정안 문화체육관광부 고시 제2017-14호(2017. 3. 28.)
https://kornorms.korean.go.kr//main/main.do 참조
제 1 부 : 빠알리어 로마자 표기 순
빠알리어 로마자 표기를 다음과 같은 순서로 게재했다.
a ā b c d ḍ e g h i ī
j k l ḷ m ṁ n ṅ ñ ṇ
o p r s t ṭ u ū v y
빠알리어 한국어 영어 빠알리어 한글 표기
abhidhamma 아비담마. 논장(論藏) Buddhist philosophy and psychology 아비담마
abhijjhā 탐애(貪愛) covetousness 아빗자
abhiññā 신통지(신통력). 특별지 special knowledge. supernormal power 아빈냐
abyākata 무기(無記). 결정할 수 없는. 비확정 (kammically) indeterminate 아뱌까따
abyāpāda 악의 없음 good will 아뱌빠다
중략
제 2 부 : 한국어 순
한국어 빠알리어 영어 빠알리어 한글 표기
가까운 원인 padaṭṭhāna proximate cause 빠닷타나
가르침. 교법 sāsana teaching. message 사사나
가벼움 lahutā lightness 라후따
갈애(渴愛). 갈망 taṇhā craving 딴하
갈망. 욕구 nikanti attachment 니깐띠
중략
제 3 부 : 빠알리어 한글 표기 순
빠알리어 한글 표기 한국어 빠알리어 영어
가나 코. 비(鼻) ghāna nose
가나야따나 비처(鼻處). 코 감각장소 ghānāyatana organ of smell
가나윈냐나 비식(鼻識). 코 의식 ghānaviññāṇa nose-consciousness
가닌드리야 비근(鼻根). 코 기능 ghānindriya sense of smell
가띠 존재계. 태어날 곳 gati destination (on rebirth)
중략
제 4 부 : 영어 순
영어 한국어 빠알리어 빠알리어 한글 표기
absorption. concentration of mind 선정(禪定) jhāna 자나
absorption, factors of 선정의 요소. 선지(禪支) jhānaṅga 자낭가
abstinence 절제. 금욕. 삼감 virati 위라띠
accusation by others 남으로부터의 비난 parānuvāda 빠라누와다
acquired image. learned sign 익힌 형상. 초기 표상 uggaha nimitta 욱가하 니밋따
중략
.........................
첨부
마음부수
㉮ 공통 마음부수 – 열세 가지
1) 공통 반드시들 - 일곱 가지
1. 접촉(phassa. 촉觸)
2. 느낌(vedanā. 수受)
① 즐거움(sukha. 육체적 즐거움)
② 고통(dukkha. 육체적 고통)
③ 행복(somanassa. 정신적 즐거움. 기쁨) -> 들뜸과 후회(오타 수정) 억제
④ 불만족(domanassa. 정신적 고통. 근심)
⑤ 평온(upekkhā. 덤덤한 느낌)
3. 인식(saññā. 상想)
4. 의도(cetanā. 사思) -> 업(의 원인)
5. 집중(ekaggatā. 하나됨. 삼매. 심일경心一境. 정정正定) -> 감각욕망 억제
6. 생명기능(jīvitindriya. 명근命根)
7. 마음기울임(manasikāra. 마음에 잡도리함. 작의作意)
2) 공통 때때로들 ― 여섯 가지
8. 사유(vitakka. 일으킨 생각. 정사유正思惟. 마음을 대상으로 데리고 가는 것) -> 해태와 혼침 억제
9. 고찰(vicāra. 지속적 고찰. 마음을 대상에 머물러 계속 조사하게 하는 것) -> 의심 억제
10. 결심(adhimokkha. 승해勝解)
11. 정진(vīriya. 노력. 정정진正精進)
12. 희열(pīti. 喜悅) -> 악의 억제
13. 열의(chanda. 바람. 의욕. 원함)
㉯ 불선 마음부수 – 열네 가지
1) 불선 반드시들 – 네 가지
14. 어리석음(moha. 치痴)
15. 부끄러움없음(ahirika. 양심없음. 무참無慚)
16. 두려움없음(anottappa. 수치심없음. 무괴無愧)
17. 들뜸(uddhacca. 도거掉擧)
2) 불선 때때로들 – 열 가지
탐욕 관련 세 가지
18. 탐욕(lobha. 탐貪. 갈애taṇhā. 탐애abhijjhā. 집착upādāna. 감각욕망. 색계 집착. 무색계 집착)
19. 사견(diṭṭhi. 邪見)
20. 자만(māna. 만慢)
성냄 관련 네 가지
21. 성냄(dosa. 슬픔. 비탄. 두려움. 악의. 적의. 못마땅해 함. 싫어함. 불만족. 정신적 고통. 짜증냄. 신경질 냄.
마음 상함. 마음 불편함. 지겨워함. 원망. 진瞋)
22. 질투(issā. 질嫉)
23. 인색(macchariya. 간慳)
24. 후회(kukkucca. 악작惡作)
해태 관련 두 가지
25. 해태(thīna. 마음의 몽롱함. 懈怠)
26. 혼침(middha. 마음부수의 몽롱함. 昏沈)
의심 한 가지
27. 의심(vicikicchā. 의疑)
㉰ 아름다운 마음부수 ― 스물다섯 가지
1) 아름다운 반드시들 ― 열아홉 가지
28. 믿음(saddhā. 확신. 신信)
29. 사띠(sati. 관찰. 새김. 주시. 알아차림. 마음챙김. 마음 깨어 있음.
실제로 생기고 있는 현상을 잘 알도록 대상으로 마음을 기울임. 정념正念)
30. 부끄러움(hirī. hiri. 양심. 참懺)
31. 두려움(ottappa. 수치심. 괴愧)
32. 탐욕없음(alobha. 보시. 관용. 출리出離. 무탐無貪)
33. 성냄없음(adosa. 용서. 자애. 인욕. 인내. 무진無瞋)
34. 중립(tatramajjhattatā. 평온. 사捨)
35. 마음부수의*3 편안함(kāya-passaddhi) 36. 마음의 편안함(citta-passaddhi)
37. 마음부수의 가벼움(kāya-lahutā) 38. 마음의 가벼움(citta-lahutā)
39. 마음부수의 부드러움(kāya-mudutā) 40. 마음의 부드러움(citta-mudutā)
41. 마음부수의 적합함(kāya-kammaññatā) 42. 마음의 적합함(citta-kammaññatā)
43. 마음부수의 능숙함(kāya-pāguññatā) 44. 마음의 능숙함(citta-pāguññatā)
45. 마음부수의 올곧음(kāya-ujukatā) 46. 마음의 올곧음(citta-ujukatā)
*주3: 마음부수는 빠알리어로 “kāya”인데 여기서는 마음부수를 의미한다.
2) 아름다운 때때로들 ― 여섯 가지
절제(virati) 세 가지
47. 바른 말(sammā-vācā. 정어正語)
48. 바른 행위(sammā-kammanta. 정업正業)
49. 바른 생계(sammā ājīva. 정명正命)
무량(appamaññā) 두 가지
50. 연민(karuṇā. 비悲)
51. 같이 기뻐함(muditā. 희喜)
어리석음없음(amoha) 한 가지
52. 통찰지의 기능(paññindriya. 지혜. 바른 견해. 바른 이해. 검증. 무치無痴. 혜근慧根. 정견正見)
참고 자료
<국내 참고 자료>
각묵 스님 옮김, 『네 가지 마음 챙기는 공부(대념처경과 그 주석서)』, 초기불전연구원, 2003.
각묵 스님 옮김, 『담마상가니 1,2』, 초기불전연구원, 2016.
각묵 스님 옮김, 『디가 니까야 1~3』, 초기불전연구원, 2006.
각묵 스님 지음, 『부처님의 마지막 발자취 대반열반경』, 초기불전연구원, 2007.
각묵 스님 지음, 『초기불교 이해』, 초기불전연구원, 2010.
각묵 스님 지음, 『초기불교 입문』, 이솔, 2014.
강종미 편역, 『불교 입문 Ⅰ, Ⅱ』, 도다가 마을, 2014.
강종미 편역, 『아비담마 해설서 Ⅰ, Ⅱ』, 도다가 마을, 2009.
강종미 번역, 『앙굿따라 니까야 Ⅰ, Ⅱ』, 호두마을선원, 2009.
곽철환 편저, 『시공 불교사전』, 시공사, 2003,
김재성 옮김, 냐나틸로카 지음, 『붓다의 말씀』, 고요한소리, 2006. (원서: The Word of The Buddha)
김종수 옮김, 아누룻다 지음, 빅쿠 보디 해설, 『아비담마 종합 해설』, 불광출판사, 2019.
(원서: 『A Comprehensive Manual of Abhidhamma By Bhikkhu Bodhi』, 1999 Buddhist Publication Society.)
김종수 옮김, 멤 틴 몬 지음, 『체계적으로 배우는 붓다아비담마』, 불광출판사, 2016.
(원서: Mehm Tin Mon, Dr. 『The Essence of Buddha Abhidhamma』, Mya Mon Yadanar Literature
(Tel. 01-385261), Yangon, Myanmar, 2015)
김한상 옮김, 마하시 아가마하 빤디따 지음, 『마하시 사야도의 12연기』, 행복한 숲, 2014.
김한상 옮김, 마하시 아가마하 빤디따 지음, 『초전법륜경』, 행복한 숲, 2011.
대림 스님 옮김, 『앙굿따라 니까야 1~6』, 초기불전연구원, 2006~7.
대림 스님 옮김, 『맛지마 니까야 1~4』, 초기불전연구원, 2012.
대림 스님 옮김, 『청정도론 1~3』, 초기불전연구원, 2004.
대림 스님·각묵 스님 옮김, 『아비담마 길라잡이 제1, 2권』, 초기불전연구원, 2017.
마나삐까, 식카와디, 『예경독송문』, 빤디따라마 서울 위빳싸나 명상센터, 2008.
망갈라상가, 『빨리어 예불독송집』, 망갈라상가, 2017.
무념·웅진 역, 『법구경 이야기 1~3』, 옛길, 2008.
비구 일창 담마간다, 『가르침을 배우다』, 도서출판 불방일, 2017.
비구 일창 담마간다 옮김, 마하시 사야도 지음, 『마하사띠빳타나숫따 대역』, 도서출판 불방일, 2016.
비구 일창 담마간다 옮김, 『마하시 사야도의 담마짝까 법문-초전법륜경 해설』, 도서출판 불방일, 2019.
비구 일창 담마간다 옮김, 『마하시 사야도의 위빳사나 수행방법론 1,2』, 이솔, 2013.
비구 일창 담마간다 편역, 『법회의식집』, 한국마하시선원, 2018.
비구 일창 담마간다, 『부처님을 만나다』, 도서출판 불방일, 2018.
비구 일창 담마간다 편역, 『빳타나-조건의 개요와 상설』, 도서출판 불방일, 2018.
비구 일창 담마간다, 『수행독송집』, 한국마하시선원, 2014.
비구 일창 담마간다 통역, 우 소다나 사야도 법문, “한국마하시선원의 아비담마 강의”,
2008년 5월 20일~2021년 8월 3일 현재 계속 중.
제1강 (20080520) : https://cafe.naver.com/koreamahasi/332
제475강(20210803) : https://cafe.naver.com/koreamahasi/2342
비구 일창 담마간다, 우 소다나 사야도 법문, 『어려운 것 네 가지』, 도서출판 불방일, 2017.
비구 일창 담마간다 편역, 마하시 사야도 법문, 『위빳사나 백문백답』, 이솔, 2014.
비구 일창 담마간다 번역, 마하시 사야도 법문, 우 소다나 사야도 감수, 『헤마와따숫따 법문』, 도서출판 불방일, 2020.
비구 일창 담마간다 번역, 『우 소다나 사야도의 아비담마 강설1』, 도서출판 불방일, 2021.
비구 일창 담마간다 번역, 마하시 사야도 법문, 우 소다나 사야도 감수, 『아낫따락카나숫따 법문(무아특성경 해설)』, 도서출판 불방일, 2021.
서광 편역, William Hart 옮김, 고엔카의 가르침, 『그냥 바라만 볼 뿐이다』, 불광출판부, 2002.
(원서: The Art of Living - Vipassana Meditation)
손혜숙 옮김, 구나라타나 지음, 『가장 손쉬운 깨달음의 길, 위빠사나 명상』, 아름드리미디어, 2007.
(원서: Mindfulness in Plain English)
심준보 번역, 우 실라난다 스님 지음, 『네 가지 알아차림의 확립-사념처』, 보리수선원, 2004.
(원서: The Four Foundations of Mindfulness)
아난타 옮김, 반테 헤네폴라 구나라타나 지음, 『선정』, 보리수선원, 2005.
(원서: The Jhānas in Theravāda Buddhist Meditation)
오원탁 번역, 묘원 주해, 아신 자띨라 사야도의 법문, 『큰 스승의 가르침』, 행복한 숲, 2004.
(원서: Dhamma Discourses by Venerable Sayadaw Ashin Jatila)
오원탁 옮김, 헤네폴라 구나라타나 스님 지음, 『부처의 길, 팔정도』, 아름드리미디어, 2006.
(원서: Eight Mindful Steps to Happiness: Walking the Buddha's Path)
오원탁 번역, 냐나포니카 테라 영역, 『마하시 스님의 칠청정을 통한 지혜의 향상』, 경서원(010-3245-7121), 2007.
[원서: The Progress of Insight(Visuddhiñānakathā) by The Venerable Mahāsi Sayādaw]
오원탁 엮음, 『법구경_하루를 살더라도』, 불교시대사, 2020.
오원탁 옮김, 니나 반 고르콤 지음, 『위빠사나 수행과 24조건』, 보리수선원, 2015.
(원서: Nina van Gorkom, 『The Conditionality of Life-An Outline of the 24 Conditions as taught in the Abhidhamma』,
Zolag, London, 2010)
유미경 옮김, 삐야닷시 테라 지음, 『붓다의 옛길』, 달물, 2015.
(원서: The Buddha's Ancient Path)
전병재 옮김, 비구 보디 지음, 『팔정도』, 고요한 소리, 2011.
(원서: Bodhi, Bhikkhu, 『The Noble Eightfold Path : way to the end of suffering』, BPS Pariyatti Edition, 3rd. printing,
Onalaska, Washington, USA, 2008)
전재성 역주, 『숫타니파타』, 한국빠알리성전협회, 2004.
전재성 편저, 『빠알리어사전』, 한국불교대학 출판부, 1994.
전재성 편저, 『빠알리어사전-빠알리-한글사전/한글/빠알리사전』, 한국빠알리성전협회, 2012.
전재성 역주, 『청정도론-비쑷디막가』, 한국빠알리성전협회, 2018.
정명 편역, 『열반 닙바나 니르바나』, 푸른 향기, 2014.
정명 스님 옮김, 니나 판 고르콤 지음, 『쩨따시까 상권 하권』, 푸른 향기, 2011.
최봉수 역주, 밍군 사야도 저, 『大佛傳經 Ⅰ~Ⅹ』, 한언, 2009.
케마 옮김, 찬메 세야도 아쉰 자나까비왐사 법문, 『위빳사나 수행 28일』, 한국빠알리성전협회, 2004.
<해외 참고 자료>
Bodhi, Bhikkhu, 『A Comprehensive Manual of Abhidhamma』, BPS Pariyatti Edition. Onalaska, Washington, USA, 2010.
Bodhi, Bhikkhu, 『The Noble Eightfold Path : way to the end of suffering』, BPS Pariyatti Edition, 3rd printing, Onalaska,
Washington, USA, 2008.
Khemavamsa, Bhikkhu, 『CONTEMPLATION OF THE MIND : Practising Cittānupassanā』, Inward Path, Penang,
Malaysia, 2004.
Ledi Sayadaw, 『The Manual of Buddhism』, Department of Religious Affairs, Yangon, Myanmar, 1981.
Mahasi Sayadaw, Translated by Maung Tha Noe, 『Fundamentals of Vipassana Meditation,
3rd ed』, Buddha Sasana Nuggaha Organization, Myanmar, 1996.
Ministry of Religious Affairs, 『A Dictionary of Buddhist Terms』, Yangon, Myanmar, 2006.
Mahasi Sayadaw, Translated by U Ko Lay, 『The Wheel of Dhamma (Dhammacakkappavattana Sutta), 2nd ed』,
Buddha Sasana Nuggaha Organization, Myanmar, 1995.
Mahasi Sayadaw, Translated by U Htin Fat, 『To Nibbana via The Noble Eightfold Path』,
Buddha Sasana Nuggaha Organization, Myanmar, 1980.
Mehm Tin Mon, Dr. 『The Essence of Buddha Abhidhamma』, Mya Mon Yadanar Literature
(Tel. 01-385261), Yangon, Myanmar, 2015.
Nanamoli, Bhikkhu, 『The Path of Purification, 5th ed』, BPS, 1991.
Nyanatiloka, 『Buddhist Dictionary』, http://www.buddhanet.net
Ryth Davids, T, W, and W, Stede, 『Pali-English Dictionary』, PTS, London, 1986.
水野弘元(Kogen Mizuno, Ph, D,) 著, 『パーリ語辭典 <二訂版>』, 春秋社, 2001.
...........................
편저자: 오원탁(Won-Tag Oh, 香圓)
서울대학교를 졸업한 화공기술사.
삼성 엔지니어링(주) 프로젝트 매니저.
한국가스안전공사 연구소장.
수덕사 부설 무불선학대학원 수료.
인터넷 사이트 : http://cafe.daum.net/satisamadhi
역서 :
아신 자띨라 사야도, 『큰 스승의 가르침』, 행복한 숲, 2005.
구나라타나 스님, 『부처의 길, 팔정도』, 아름드리미디어, 2014.
냐나포니카 테라 영역, 『마하시 스님의 칠청정을 통한 지혜의 향상』, 경서원, 2021.
니나 반 고르콤, 『위빠사나 수행과 24조건』, 보리수선원, 2015.
저서 :
『법구경_하루를 살더라도』, 불교시대사,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