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표 4.3 의문인식-본삼매도입정과 32쪽 201127.hwp
의문인식과정(본삼매-도-입정-과-반조)
도표 4.3 (2020/11/27)
대상 | 제한된(욕계의) 속행과정 | |||||||||||||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
선명한 것 | B | < C | U | M | J | J | J | J | J | J | J | T | T > | B |
희미한 것 | B | < C | U | M | J | J | J | J | J | J | J > | B | 여운 마음 없음 |
도표 4.4 본삼매 인식과정(속행과정)
| 인식과정 K : Parikamma (준비), Uc : upacāra (근접) An : Anuloma (수순), G : Gotrabhu (종성), v : vodāna(청백 or 정화) Jh : Jhāna (본삼매), Mg : magga (도), Ph : Phala (과) |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 ||
최초 본삼매 (입정) 인식과정 | 보통 | B | < C | U | M | K | Uc | An | G | Jh > | B | B | B |
예리함 | B | < C | U | M | Uc | An | G | Jh > | B | B | B | B | |
최초 도 인식과정 | 보통 | B | < C | U | M | K | Uc | An | G/v# | Mg | Ph | Ph > | B |
예리함 | B | < C | U | M | Uc | An | G/v | Mg | Ph | Ph | Ph > | B |
두 번째 이후 입정 인식과정 | 보통 | B | < C | U | M | K | Uc | An | G | Jh | 여러번 | Jh > | B |
예리함 | B | < C | U | M | Uc | An | G | Jh | 여러 | 번 | Jh > | B |
두 번째 이후 과 인식과정 | 보통 | B | < C | U | M | Uc | Uc | Uc | An* | Ph | 여러번 | Ph > | B |
예리함 | B | < C | U | M | Uc | Uc | An* | Ph | 여러 | 번 | Ph > | B |
반조 인식과정 | B | <C | U | M | J | J | J | J | J | J | J > | B |
준비/근접/수순/종성 설명(『아비담마 길라잡이 제1권』, 2017, 420-421쪽 참조)
준비(K) : 본삼매가 생기도록 뒤따라오는 근접, 수순, 종성을 준비한다.
근접(Uc) : 본삼매에 가까이 간 경지이다.
수순(An) : 앞의 근접삼매와 뒤의 본삼매를 잘 연결해 준다.
#:종성/청백(G/v) : 선정에 들어갈 때에는 범부 혈통의 마음에서 색계/무색계의 혈통의 마음
으로 바뀌기 때문에 종성(種姓)이라 한다. 초선에서 제2선으로 들어갈 때는 거기서 나와서
형성된 것들을 대상으로 명상한 뒤에 다시 종성의 마음을 거쳐 제2선으로 들어간다.
수다원이 될 때에는 범부 혈통에서 성자의 혈통으로 바뀌기 때문에 종성(種姓)이라 한다.
그러나 사다함, 아나함, 아라한이 될 때에는 이미 성자이므로 종성이라고 하지 않고
‘청백의 경지(정화의 지혜, vodāna)’라고 한다. 한 중생에게 도의 마음과
성자가 될 때의 종성의 마음은 평생 동안 한 번만 생긴다.
형성평온의 지혜, 수순의 지혜, 종성의 지혜: 출현으로 인도(=도에 이르게)하는 위빠사나
준비 표상 : 예를 들어 흙 까시나(두루 채움)일 경우에 흙으로 만든 원반(지름 30cm 정도)
익힌 표상 : 까시나에 이물질이 있는 것이 그대로 나타남. 익힌 표상이 나타나면 장애가
제거되어 근접삼매가 된다.
닮은 표상 : 원반에 이물질이 없이 완전히 둥근 원반 모습이 된다. 닮은 표상이 나타나면
장애가 완전히 제거되고 본삼매에 들어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