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tasika 마음부수(附隨). 심소(心所). 마음의 작용. mental concomitant. mental factor.
아비담마에 의하면 궁극적 실재(빠라맛타 담마)에는 마음, 마음부수, 물질, 열반 모두 네 가지가 있다. 마음은 대상을 아는 것이며, 마음이 대상을 알 때 마음부수들의 도움을 받는다. 마음과 마음부수들은 함께 생기고[生], 함께 사라지며[滅], 같은 토대에 의지해서 생기고[依], 같은 대상을 갖는다[對]. 오온(五蘊) 중에서 색온(色蘊)은 물질이며 수온(受蘊), 상온(想蘊), 행온(行蘊)은 마음부수이고 식온(識蘊)은 마음이다.
마음부수에는 공통 13가지, 불선 14가지, 아름다운 25가지 모두 52가지가 있다. 공통이란 불선한 것과 함께 생길 때는 불선하지만, 아름다운 것과 함께 생길 때는 아름다운 것이 되는 마음부수를 말한다. 상세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 공통 마음부수 – 열세 가지
1) 공통 반드시들 - 일곱 가지
1. 접촉(phassa. 촉觸)
2. 느낌(vedanā. 수受)
① 즐거움(sukha. 육체적 즐거움)
② 고통(dukkha. 육체적 고통)
③ 행복(somanassa. 정신적 즐거움. 기쁨) -> 들뜸과 후회 억제
④ 불만족(domanassa. 정신적 고통. 근심)
⑤ 평온(upekkhā. 덤덤한 느낌)
3. 인식(saññā. 상想)
4. 의도(cetanā. 사思) -> 업(의 원인)
5. 집중(ekaggatā. 하나됨. 삼매. 심일경心一境. 정정正定) -> 감각욕망 억제
6. 생명기능(jīvitindriya. 명근命根)
7. 마음기울임(manasikāra. 마음에 잡도리함. 작의作意)
2) 공통 때때로들 ― 여섯 가지
8. 사유(vitakka. 일으킨 생각. 정사유正思惟. 마음을 대상으로 데리고 가는 것) -> 해태와 혼침 억제
9. 고찰(vicāra. 지속적 고찰. 마음을 대상에 머물러 계속 조사하게 하는 것) -> 의심 억제
10. 결심(adhimokkha. 승해勝解)
11. 정진(vīriya. 노력. 정정진正精進)
12. 희열(pīti. 喜悅) -> 악의 억제
13. 열의(chanda. 바람. 의욕. 원함)
㉯ 불선 마음부수 – 열네 가지
1) 불선 반드시들 – 네 가지
14. 어리석음(moha. 치痴)
15. 부끄러움없음(ahirika. 양심없음. 무참無慚)
16. 두려움없음(anottappa. 수치심없음. 무괴無愧)
17. 들뜸(uddhacca. 도거掉擧)
2) 불선 때때로들 – 열 가지
탐욕 관련 세 가지
18. 탐욕(lobha. 탐貪. 갈애taṇhā. 탐애abhijjhā. 집착upādāna. 감각욕망. 색계 집착. 무색계 집착)
19. 사견(diṭṭhi. 邪見)
20. 자만(māna. 만慢)
성냄 관련 네 가지
21. 성냄(dosa. 슬픔. 비탄. 두려움. 악의. 적의. 못마땅해 함. 싫어함. 불만족. 정신적 고통. 짜증냄. 신경질 냄.
마음 상함. 마음 불편함. 지겨워함. 원망. 진瞋)
22. 질투(issā. 질嫉)
23. 인색(macchariya. 간慳)
24. 후회(kukkucca. 악작惡作)
해태 관련 두 가지
25. 해태(thīna. 마음의 몽롱함. 懈怠)
26. 혼침(middha. 마음부수의 몽롱함. 昏沈)
의심 한 가지
27. 의심(vicikicchā. 의疑)
㉰ 아름다운 마음부수 ― 스물다섯 가지
이 마음부수들은 아라한에게도 생기지만 아라한에게 생기는 마음은 선과 불선을 초월하여 작용만 하므로 선(善) 마음부수라고 하지 않고 아름다운 마음부수라고 한다.
1) 아름다운 반드시들 ― 열아홉 가지
28. 믿음(saddhā. 확신. 신信)
29. 사띠(sati. 관찰. 새김. 주시. 알아차림. 마음챙김. 마음 깨어 있음. 실제로 생기고 있는 현상을 잘 알도록
대상으로 마음을 기울임. 정념正念)
30. 부끄러움(hirī. hiri. 양심. 참懺)
31. 두려움(ottappa. 수치심. 괴愧)
32. 탐욕없음(alobha. 보시. 관용. 출리出離. 무탐無貪)
33. 성냄없음(adosa. 용서. 자애. 인욕. 인내. 무진無瞋)
34. 중립(tatramajjhattatā. 평온. 사捨)
35. 마음부수*의 편안함(kāya-passaddhi) [*빠알리어로 kāya인데 여기서는 마음부수를 의미함. 37, 39, 41, 43, 45까지 동일함.]
36. 마음의 편안함(citta-passaddhi)
37. 마음부수의 가벼움(kāya-lahutā)
38. 마음의 가벼움(citta-lahutā)
39. 마음부수의 부드러움(kāya-mudutā)
40. 마음의 부드러움(citta-mudutā)
41. 마음부수의 적합함(kāya-kammaññatā)
42. 마음의 적합함(citta-kammaññatā)
43. 마음부수의 능숙함(kāya-pāguññatā)
44. 마음의 능숙함(citta-pāguññatā)
45. 마음부수의 올곧음(kāya-ujukatā)
46. 마음의 올곧음(citta-ujukatā)
2) 아름다운 때때로들 ― 여섯 가지
절제(virati) 세 가지
47. 바른 말(sammā-vācā. 정어正語)
48. 바른 행위(sammā-kammanta. 정업正業)
49. 바른 생계(sammā ājīva. 정명正命)
무량(appamaññā) 두 가지
50. 연민(karuṇā. 비悲)
51. 같이 기뻐함(muditā. 희喜)
어리석음없음(amoha) 한 가지
52. 통찰지의 기능(paññindriya. 지혜. 바른 견해. 바른 이해. 검증. 무치無痴. 혜근慧根. 정견正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