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위빠싸나 빠라구

15. 위빠싸나 장애 10가지

작성자그림자|작성시간22.03.28|조회수61 목록 댓글 2

15. 위빠싸나 장애 10가지

위빠싸나 수행에는 장애(위빠싸나 부수번뇌) 10가지가 있다.

 

⑴ 광명(obhāsa)

수행을 열심히 하면 광명이 나타는데 이 광명이 널리 비치면 막힘이 없이 모두 보인다.

방안에 앉아서 수행하다가 광명이 생기면, 바깥이 보이고, 담 넘어 다른 집의 방안도 보이고, 지붕 넘어도 보인다.

그 빛이 가는 곳에 모든 생명이 있는 것과 없는 것, 유정과 무정들이 그대로 다 보인다. 그렇게 보일 수도 있다.

그러나 그것을 도라고 집착하면 잘못된 길로 미끄러진다.

 

⑵ 지혜(ñāṇa)

수행을 하게 되고, 바른 법인 줄 알게 되고,

경전과 일치라는 것 등으로,

자세히 조사해 보면서 바르고 정확하게 알고 생각하는 지혜이다.

이것도 수행 도중에 사용하거나 생각하면, 수행하는데 장애가 된다.

그래서 위빠싸나 관찰을 할 때에는

아무 것도 생각하지 말고,

궁리를 하거나 생각하지 말아야 한다.

 

⑶ 희열(pīti)

어떤 것을 좋아하거나 아름답다고 생각하고 만족해 함, 마음이 깨끗하여 즐거움, 좋다고 생각하는 모든 것들도 장애가 된다.

 

⑷ 편안함(경안. passaddhi)

몸과 마음이 지극하게 고요하고 편안함, 희열보다 더 높은 수준의 행복이다.

 

⑸ 행복(sukha)

더욱 높은 마음, 앞에서 설명한 희열이나 편안함보다 더 힘이 세서 가장 높이 여겨 좋아하도록 생기는 마음이다.

 

⑹ 결심(확신. 깨끗한 믿음. adhimokkha)

수행을 하고 있는 동안, 생기고 사라지는 성품들을 사실대로 바르고 정확하게 알라서, 지극하게 믿는 높고 단단한 믿음이 생긴다.

이 믿음이 위빠싸나 수행을 하고 있는 동안 생기기 때문에, 위빠싸나의 번뇌가 된다고 한다.

 

⑺ 분발(정진. paggaha)

수행해서 믿음이 강하게 생겼을 때, 관찰하던 대로 계속 관찰하지 않고 ‘이보다 더 노력해서 도과에 이르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라고 생각하면서 노력하는 것이다. 또는 수행하지 않고 보시하거나 선업에만 마음을 기울인다.

 

‘벗어나려는 지혜’에 이르렀을 때,

벗어나려는 마음으로 계속해서 그대로 수행하지 않고,

‘벗어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라고

열심히 생각에만 몰두하는 것이다.

그래서 생기는 장애이다.

 

수행할 때는 아무 것도 생각하지 말고,

머리를 쓰지 말아야 하는 것을 비유하자면,

마치 물고기가 나오는 길목에서 먹이를 기다리는 황새와 같다.

아직 나오지도 않은 물고기를 잡아먹으려고 하지 않고

지금 나오고 있는 물고기만 나오면 나오는 즉시

머리를 쓰지 않고 잡아먹는 것처럼,

생기고 있는 현재의 몸과 마음만을 정확하게 관찰하는 그대로

관찰해야 하는 것을 말한다.

 

⑻ 확립(사띠. upaṭṭhāna)

수행을 하면

삼매의 위력으로 오래 전에 있었던 것,

생겼던 것들이 저절로 기억되고,

매우 어려웠던 과거의 일들에 관해서

기억하고 떠올리기도 하는 것들이다.

 

⑼ 평온(upekkhā)

수행할 때 ‘도를 깨닫고, 과에 들어간다.’라는 생각 없이

그저 있는 그대로의 상태를 무너뜨리지 않을 만큼만 관찰하거나,

‘전에 수행할 때는 담마에 관해서, 크나큰 자만심을 가지고 관찰했다.’

라고 생각한다.

 

그 다음에 부드럽게 관찰이 잘 이어진다고 생각하는 이들은

이처럼 잊지 않고, 사띠가 끊어지지 않을 정도로만

계속해서 수행할 수 있게 한다.

이것도 높은 수행을 원하는 이들이 경계해야 할 것이다.

 

⑽ 욕구(갈망. nikanti. 위빳사나를 좋아하는 것. 진정한 부수번뇌)

앞에 설명한 9가지 특별한 능력을 가진 것에 대하여 애착을 가지고 좋아하는 것이다.

이런 것들은 수행을 바르게, 바른 방법으로 했을 때 나타날 수 있는 현상이다.

그 어느 것도 아직은 수행의 끝인

도와 과, 열반이 아니다.

 

모르던 것을 알게 되거나,

보지 못하던 것을 보게 될 때,

믿음이 지나쳐서 수행은 하지 않고

선업 지을 궁리만 한다든지

사띠가 없어지지 않을 정도로

느슨하게 수행하는 것은

축복인 열반의 체험을 가로막는

수행자가 속기 쉬운 장애가 된다.

 

 

*주: 게시자 주:
upakkilesa (위빳사나의) 부수번뇌. 경계. impurity. defilement (of mind). imperfection of insight.
부수번뇌에는 광명(obhāsa), 지혜(ñāṇa), 희열(pīti), 편안함(경안. passaddhi), 행복(sukha), 결심(확신. 깨끗한 믿음. adhimokkha), 분발(정진. paggaha), 확립(사띠. upaṭṭhāna), 평온(upekkhā), 욕구(갈망. nikanti. 위빳사나를 좋아하는 것. 진정한 부수번뇌)가 있다.
수행주제를 놓치지 않고 계속적으로 바르게 수행해서 생멸의 지혜에 도달한 위빳사나 수행자에게, 위빳사나 지혜를 오염시키는 위빳사나의 부수번뇌 10가지가 생긴다. 그릇되게 수행하는 사람, 수행주제를 놓친 사람, 지혜의 힘이 강한 수행자나 성제자에게는 생기지 않는다.
(『아비담마 길라잡이 제2권』, 343-350쪽, 『청정도론』, 제20장, 『위빳사나 수행방법론 제2권』, 279-303쪽, 『마하시 스님의 칠청정을 통한 지혜의 향상』, 55쪽 참조)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 작성자금강 | 작성시간 22.03.29 고맙습니다
  • 작성자삼귀의 | 작성시간 22.04.01 감사합니다
    _()_ _()_ _()_
댓글 전체보기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