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 왁깔리 대장로-믿음 제일
1. 과거생에서의 서원
왁깔리 대장로는 빠두뭇따라 부처님 시대의 귀족이었다. 다른 모든 대장로들과 마찬가지로, 그는 부처님의 정사에 가서 청중들의 가장자리에 앉았다. 그의 법문을 듣는 동안, 그는 부처님을 믿는 비구들 중 제일이라고 어떤 비구가 선언되는 것을 보았다. 그는 미래의 부처님들로부터 그런 칭찬을 받고 싶은 열망을 느꼈다. 다른 비구들과 마찬가지로, 그는 부처님을 집으로 초대하여 7일 동안 엄청난 공양을 올렸다. 그런 다음 그는 부처님 앞에서 “이번 선행을 통해서, 제가 미래의 부처님으로부터 부처님을 믿는 비구들 중 제일이라고 선언되기를 바랍니다.”라고 서원을 말씀드렸다. 부처님은 그의 서원이 이루어질 것을 내다보고 그것을 그에게 확신시킨 다음 정사로 돌아가셨다.
2. 마지막 생에서 고행자 생활
그 선한 사람은 죽을 때까지 많은 선행을 했다. 죽은 다음에 그는 선처에서만 다시 태어났고, 고따마 부처님 시대에는 사왓티의 브라만 가문에서 다시 태어났는데 그의 이름은 왁깔리였다.
그는 자라면서 세 가지 베다에서 대해서 교육을 받았다. 어느 날, 그는 많은 비구들과 함께 부처님이 사왓티에서 탁발하시는 것을 보았다. 부처님의 장엄한 모습에 사로잡혀 부처님이 가시는 길을 뒤따라가던 그는 비구들과 함께 부처님의 정사로 들어갔다. 거기서도 그는 부처님의 장엄함을 계속 바라보았으며, 부처님이 법문을 할 때는 부처님 바로 앞에 앉았다.
왁깔리의 믿음은 너무나 깊어져서 부처님을 잠시도 떠날 수가 없게 된 그는, 하루 종일 부처님을 보기 위해서 가정생활을 그만두고 출가하기로 결심했다. 그래서 그는 부처님께 가서 출가하겠다고 말씀드려서 비구가 되었다.
비구가 된 왁깔리는 식사 시간 외에는 부처님을 볼 기회를 놓치지 않았다. 그는 비구로서 해야 할 교학이나 수행을 아무것도 하지 않고 모든 시간을 부처님을 바라보며 보냈다. 부처님은 왁깔리가 깨달을 때가 아직 되지 않았음을 아시기 때문에 태만함에 대해서 아무 말도 하지 않으셨다.
적절한 때가 되자 부처님은 왁깔리 비구에게 이렇게 말씀하셨다.
“왁깔리야, 썩을 내 몸을 쳐다봤자 무슨 소용이 있느냐? 담마를 보는 자는 진실로 나를 보고, 나를 보는 자는 담마를 본다. 왁깔리야, 오직 담마를 보는 자만이 진실로 나를 보는 것이다. 진실로 나를 보기를 원하는 사람은 담마를 보는 사람임에 틀림없다.”라고 부처님이 왁깔리 비구를 타일렀지만, 왁깔리는 부처님을 떠날 수가 없었다. 부처님은 비구가 깨달음을 얻기 위해서는 정서적인 강한 충격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셨다. 그래서 부처님은 안거가 시작되기 전에 라자가하로 가시면서 왁깔리에게 말했다. “왁깔리야, 떠나거라. 내 앞에서 사라져라!”
부처님이 내린 명령을 거역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왁깔리는 안거 기간 동안 적어도 3개월 동안 복종해야 했다. 그가 할 수 있는 것은 아무것도 없었다. 그는 절망에 빠져서 자포자기했다. “부처님을 뵐 수 없는데 살아서 무얼 하겠는가?”고 생각한 그는 깃자꾸따 산의 절벽으로 갔다.
부처님은 왁깔리가 절망해서 자살하려고 한다는 것을 아시고 “내가 지금 위로해 주지 않으면 왁깔리는 자신의 바라밀이 충족되어 깨달을 수 있는 기회를 놓칠 수도 있겠다.”라고 생각했다. 그래서 부처님은 광명의 모습으로 왁깔리 앞에 나타나셨다. 왁깔리가 부처님의 모습을 본 순간, 마치 가슴에 박혀있던 화살이 빠져나간 듯 절망적인 슬픔이 갑자기 사라졌다.
그러고 나서 부처님은 왁깔리를 만족과 기쁨으로 가득 채우기 위해 다음 게송을 읊으셨다(법구경 381).
Pāmojjabahulo bhikkhu, pasanno Buddhasāsane;
adhigacche padaṃ, santaṃ, saṅkharūpasamaṃ sukhaṃ.
넘치는 기쁨으로 가득 차
부처님의 가르침을 믿는 비구는
조건 지어진 것들이 소멸한
열반에 이르러 행복하리라.
앙굿따라 니까야 주석서에 의하면 부처님은 왁깔리에게 손을 내밀며 “이리 오너라. 비구여.”라고 말씀하셨다. 법구경의 주석서에 의하면 위의 게송에 이어서 부처님은 왁깔리에게 다음과 같이 말씀하셨다.
Ehi Vakkali mā bhāyi, olokehi Tathāgataṃ;
Ahaṃ taṃ uddharissāmi, paṅke sanhaṃ va kuñjaraṃ.
오너라. 왁깔리여,
두려워말고 나를 보아라.
수렁에 빠진 코끼리를 건져내듯이
내가 너를 구해져주리라.
Ehi Vakkali mā bhāyi, olokehi Tathāgataṃ;
Ahaṃ taṃ mocayissāmi, Rāhuggahaṃ va sūriyaṃ.
오너라. 왁깔리여,
두려워말고 나를 보아라.
라후(아수라)의 심연에서 태양을 구해내듯
내가 너를 구해져주리라.
Ehi Vakkali mā bhāyi, olokehi Tathāgataṃ;
Ahaṃ tam mocayissāmi Rāhuggahaṃ va candimṃ.
오너라. 왁깔리여,
두려워말고 나를 보아라.
라후의 심연에서 달을 구해내듯
내가 너를 구해져주리라.
그러자 왁깔리 비구는 이렇게 생각했다. ‘부처님께서 직접 오셔서 나에게 손을 내미셨다.’ 온몸에 희열이 퍼진 그는 어디로 가야 할지를 몰랐다. 그래서 그는 부처님의 방향으로 뛰어올랐고, (무상 고 무아를 아는) 통찰지로 희열을 극복하면서, 부처님의 게송의 의미를 숙고하여 신통력을 갖춘 아라한이 되었다. 그러고 나서 그는 땅으로 내려와 부처님 앞에 예경을 올리는 자세로 섰다.
3. 호칭
한때 비구들에게 부처님께서 이렇게 선언하였다.
“비구들이여, 여래에 대해 강한 믿음을 가진 제자들 중에 왁깔리가 제일이다.
(원주: 다른 비구들은 부처님에 대한 믿음이 강화되어야만 했다. 왁깔리의 믿음은 너무 강해서 부처님은 그를 부처님을 못 보게 쫓아냄으로써 믿음을 누그러뜨려야 했다. 그래서 그는 부처님에 대한 믿음에서 제일인 비구였다.)
참고문헌
무념/응진 역, 『법구경 이야기 3』, 옛길, 2008, 393-396쪽.
...........
19. Vakkali Mahāthera
(a) Aspiration expressed in The Past
Vakkali Mahāthera was a clansman during the time of Buddha Padumuttara. Like all other Mahātheras, he went to the Buddha’s monastery, sat at the edge of the audience and while listening to the His sermon, he saw a bhikkhu being honoured by Him as the foremost (etadagga) among the bhikkhus who were devoted to Him. He felt a keen desire to be honoured likewise by some future Buddhas. As was with other aspirants, he invited the Buddha to his home and made great offerings for seven days. Thereafter, he expressed his wish before the Buddha: “For this good deed, may I, Venerable Sir, be declared by some future Buddha as the foremost among the bhikkhus who is very devoted to the Buddha.” The Buddha saw that the aspiration of the clansman would be fulfilled and assured him of it, after which, He returned to the monastery.
(b) Ascetic Life adopted in His Final Existence
The worthy man devoted himself to deeds of merit till his death. When he passed away from that existence, he was reborn only in the fortunate destinations, and during the time of Buddha Gotama, he was reborn in a brahmin family in Sāvatthi. He was named by his parents Vakkali.
When he grew up, he was educated in the three Vedas. One day, he saw the Buddha, accompanied by many bhikkhus, going (on the alms-round) in the city of Sāvatthi. He was captivated by the majesty of the Buddha’s physical appearance so much so that he followed the Buddha’s route and entered the Buddha’s monastery along with the line of bhikkhus. There he kept gazing at the splendour of the Buddha. At the time of the Buddha’s delivering the sermon, he sat right in front of the Buddha.
Vakkali’s devotion became so deep that he could not stay away from the presence of the Buddha for any length of time. He, therefore, decided that he would not remain in household life because as a householder he would not be able to see the Buddha all day long but as a bhikkhu he could get that opportunity. So he went to the Buddha and pleaded with Him that he be admitted into the Order. He was then admitted.
As a bhikkhu, Venerable Vakkali never missed a chance of looking at the Buddha except at the meal time. He did nothing in the conduct of a bhikkhu either in learning or in meditation, but spent all of his time gazing at the Buddha. The Buddha knew that the time for Vakkali’s enlightenment was not due and therefore did not say anything about his negligence of duty.
When the right time was due, the Buddha said to Venerable Vakkali:
“Vakkali, what is the use of your gazing at this putrid body of Mine? Vakkali, he who sees the Dhamma, indeed sees Me. He who sees Me, sees the Dhamma. Vakkali, only one who looks at the Dhamma, actually looks at Me. He that really wishes to look at Me, must be one who looks at the Dhamma.”
Although the Buddha exhorted Venerable Vakkali with these words, Vakkali could not tear himself away from the Buddha. The Buddha saw that the bhikkhu needed to be emotionally awakened for enlightenment. So, on the eve of the vassa period, the Buddha went to Rājagaha and there he said to the Vakkali on the day the vassa began: “Vakkali, go away! Leave my presence!”
It is impossible to disobey an order given by the Buddha. Vakkali had to obey for (at least) three months during the vassa period. There was nothing he could do about it. He felt desperate and forlorn. “Better die than be denied the presence of the Buddha” thus he pondered and left for the Gijjhakūṭa mountain which had steep cliffs.
The Buddha saw in His mind the despondency that had overtaken Venerable Vakkali. “Without getting mental succour from Me, Bhikkhu Vakkali would have wasted his great merit which is now sufficient for him to gain enlightenment,” thought the Buddha. Accordingly, He emitted the Buddha rays towards Vakkali so that he could see His person. That vision brought immediate relief to Venerable Vakkali’s burning heart, as though the dart of sorrow that had pierced it, had suddenly been removed.
Then to fill Vakkali’s heart with delightful satisfaction and gladness, the Buddha uttered the following stanza;
Pāmojjabahulo bhikkhu, pasanno Buddhasāsane;
adhigacche padaṃ, santaṃ, saṅkharūpasamaṃ sukhaṃ.
Being overjoyed and full of confidence in the Buddha’s Teaching consisting of the threefold Training, the bhikkhu will attain Nibbāna the tranquil, the cessation of conditioning, the blissful.
——Dhammapada, IV 381——
(According to the Commentary of the Aṅguttara Nikāya) the Buddha extended His hand to Venerable Vakkali and said: “Come, bhikkhu.”
The Commentary on the Dhammapada adds; after saying the above stanza, the Buddha, extending His hand to Venerable Vakkali, uttered these stanzas:
Ehi Vakkali mā bhāyi, olokehi Tathāgataṃ;
Ahaṃ taṃ uddharissāmi, paṅke sanhaṃ va kuñjaraṃ.
Come, Vakkali, do not be afraid, look at (Me) the Tathāgata, I will lift you (to Nibbāna) from the depths of the beginningless saṃsāra, just as one lifts a tusker from the mire.
Ehi Vakkali mā bhāyi, olokehi Tathāgataṃ;
Ahaṃ taṃ mocayissāmi, Rāhuggahaṃ va sūriyaṃ.
Come, Vakkali, do not be afraid, look at the Tathāgata. I will free you from the captivity of defilements, just as I would free the sun from the captivity of Rāhu.
Ehi Vakkali mā bhāyi, olokehi Tathāgataṃ;
Ahaṃ tam mocayissāmi Rāhuggahaṃ va candimṃ.
Come, Vakkali, do not be afraid, look at the Tathāgata. I will free you from the captivity of defilements, just as I would free the moon from the captivity of Rāhu.
Then the Venerable Vakkali said to himself: “I am now seeing the Buddha in person, and He has extended His hand to me. Oh, how glad I am! Where should I go now?” And not being able to decide in which direction he should proceed, he moved up skyward in the direction of the Buddha, and just as his first foot was resting on the mountain, he reflected on the stanzas uttered by the Buddha, and overcoming delightful satisfaction through Insight (into the three characteristics of conditioned phenomena), he attained arahatship, together with Analytical Knowledge. Then he descended to the ground and stood worshipping the Buddha.
(c) Etadagga Title achieved
On one occasion, in the midst of a congregation, the Buddha declared:
“Etadaggaṃ bhikkhave mama sāvakāmam bhikkhūnaṃ saddhādhi muttānaṃ yadidaṃ Vakktali.”
“Bhikkhus, among the bhikkhu-disciples who are very devoted to the Buddha, Bhikkhu Vakkali is the foremost (etadagga).”
(Note: In the case of other bhikkhus, their devotion to the Buddha had to be bolstered up. With Vakkali, his convicted devotion was too strong so that the Buddha had to temper it down by expelling him from His presence. Hence he was the foremost bhikkhu in the degree of devotion to the Buddha.)
Last Updated: 15 September, 2019
https://www.wisdomlib.org/buddhism/book/the-great-chronicle-of-buddhas/d/doc364773.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