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일반 게시판

재미있는 꽃과 풀 이름을 소개하겠음니다..

작성자joyunju|작성시간11.07.12|조회수706 목록 댓글 0


 복수초

 - 학명 : Adonis amurensis 미나리아재비과(―科 Ranunculaceae)에 속하는 다년생초. 뿌리줄기는 짧고 굵으며 흑갈색의 잔뿌리가 많아 수염뿌리처럼 보인다. 잎은 어긋나고 깃털처럼 갈라지며, 잎자루 밑에 녹색 턱잎이 있다. 4월초에 노란색 꽃이 잎이 활짝 벌어지기 전에 피며 지름은 3~4㎝쯤 된다. 꽃받침잎과 꽃잎이 많으나, 꽃잎이 더 길며 수술과 암술도 많다. 열매는 수과(瘦果)로 익고 경기도 이북 지방에서 흔히 자라고 있다. 봄이 되어 눈이 녹기 시작하면 꽃을 피운다. 북쪽 지방에서는 눈 사이에 피어난 꽃을 볼 수 있으므로 눈색이꽃이라고도 부르며, 중국에서는 눈 속에 피어 있는 연꽃이라 하여 설연(雪蓮)이라 부르기도 한다. 이른봄에 노랗게 피어나는 꽃이 기쁨을 준다고 해서 복수초라고 한다. 배수가 잘 되는 부식질 토양에서 잘 자라며 봄에 꽃이 필 때는 해가 잘 비쳐야 하나 꽃이 지고 나면 나무 그늘 밑에서도 잘 자란다. 뿌리는 밑으로 곧게 자라 해마다 층(層)을 이루며 층과 층 사이에는 숨은 눈[隱牙]이 생긴다. 이 눈을 잘라 심으면 쉽게 번식하지만 씨를 뿌리는 경우에는 꽃이 피기까지 오랜 시간이 걸리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뿌리나 줄기 등에 아도니톡신(adonitoxin)이 들어 있어 한방에서 강심제 및 이뇨제로 사용된다.

이름: 꽃이 황금색 잔처럼 생겼다고 측금잔화(側金盞花)라고도 부르고, 설날에 핀다고 원일초(元日草), 눈 속에 피는 연꽃 같다고 설연화(雪蓮花), 쌓인 눈을 뚫고 나와 꽃이 피면 그 주위가 동그랗게 녹아 구멍이 난다고 눈색이꽃, 얼음새꽃이라도 부른다. 강원도 횡성에서는 눈꽃송이라고 부른다.

꽃말: 동양-영원한 행복, 서양 - 슬픈 추억

남을 해하는 복수가 아닌 복과 장수의 의미를 가지고 있어서 '복수초'

이른봄 언 땅을 뚫고 올라와 가장 먼저 꽃을 피우는 꽃이라고함니다.참 아름다운 풀이죠.

 

다음은 이름 만들어도 재미있는 꽃과 풀을 소개하겠음니다..

가락지 나물,가막사리,도깨비가지,까마중,강아지풀,개구리갓,개구리발톱,개구리자리.개미자리,개불알풀,거북꼬리,거지덩굴고슴치풀,고추나물,골무꽃,광대나물,광대수염,괭이눈,애기괭이눈,산괭이눈,괭이밥,빗자루국화,국화방망이,기름나물,기린초,기생꽃,기생초,까치발,깽깽이풀,꼬리풀,쥐꼬리풀,꽃마리,꿩의다리,꿩의밥,땅나리,뻐꾹나리,애기나리,하늘나리,멍석딸기,낙지다리,갈매기난초,감자난초,나비난초,닭의난초,방울새란,복주머니란,새우난초,지네발란,노루귀,새끼노루귀,,노루발,노루오줌,달구지풀,달맞이꽃,닭의덩굴,담배풀,등대풀,도깨비바늘,도둑놈의갈고리,개도둑놈의갈고리,애기도둑놈의갈고리,동자꽃,돼지풀,두루미꽃,딱지꽃,거지딸기,뱀딸기,땅빈대,뚱단지,개망초,매듭풀,까마귀머루,꽃며느리밥풀꽃,새며느리밥풀꽃,털며느리밥풀꽃,중의무릇,애기중의무릇,물레나물,미꾸리낚시,개구리미나리,매발톱,미치광이풀,바늘꽃,분홍바늘꽃,바람꽃,거미바위솔,호랑이발톱,박쥐나물,파드득나물,방가지똥,방아풀,방울꽃,은방울꽃,범꼬리,개벼룩,벼룩나물,벼룩이울타리,봄맞이,부처손,방울비짜루,비짜루...

 

재미있는 우리말 꽃과 풀의 유래

며느리밑씻개, 며느리배꼽, 며느리밥풀꽃,개불알풀꽃, 수수꽃다리, 광대수염,
쥐오줌풀, 괭이눈, 사위질빵, 노루오줌, 병아리난초, 처녀치마, 솜방망이등...

이렇듯 정겨운 수많은 야생화 우리말 이름들의 유래는 어떨까?

 

1252475809_IMG_0069.jpg

 


사위질빵이라는 이름은
사위를 몹시 사랑하는 장모가 사위를 아끼는 마음에서
무거운 짐을 지우지 않으려고 쉽게 뚝뚝 잘 끊어지는
식물의 줄기를 질빵끈으로 썼다는 옛이야기에서 나왔다고 한다.

 

 

1252475809_수수꽃다리.jpg

 


수수꽃다리는 라일락의 우리말 이름이고
현재 라일락의 원래 종이기도 하다.
수수 모양으로 송이로 꽃이 달려서 이름이 붙었다.

 

 

1252475809_애기똥풀.jpg

 


애기똥풀은 노란 꽃을 피우는데
줄기나 잎을 끊으면 애기 똥과 같은
노란 물이 흘러나와 애기똥풀이라고 한다.

 

 

1252475809_며느리밥풀.jpg

 


며느리밥풀은 못된 시어머니의 구박에 못이겨
며느리가 죽어 밥풀모양으로 핀 꽃이다.

 

 

1252475809_며느리밑씻개.jpg

 


며느리밑씻개는 줄기에 가시가 나있는 풀인데
며느리한테 뒤를 처리하라고 이 풀을 주었다는
시어머니 이야기에서 따 온 이름이다.
도데체 얼마나 며느리가 미웠으면
가시가 달린 풀을 밑씻개로 주었을까? ^_^

 

 

1252548366_봄까치.jpg

 


큰개불알풀꽃은 씨앗이 강쉐이의 거시기를 닮았다고 해서 붙여진 명칭인데
그 명칭이 민망스러워 [봄까치꽃]으로 개명을 했을 정도다.

 

 [재미있는 우리꽃 이름의 유래를 찾아서]

 식물이름에서 접두어는 식물에 대한 많은 정보를 제공해주지만
워낙 개별성이 강해 일정하게 유형화시키기가 쉽지 않다.
다음의 접두어는 어느 정도 무리 지을 수 있는 것들이다.


(1) 자생지를 나타내는 말


- 갯 : 해안 갯벌이나 계곡, 냇가 따위에서 자라는 데서 유래
       예) 갯개미취, 갯버들, 갯완두, 갯취, 갯메꽃, 갯무, 갯바랭이,
           갯방풍, 갯보리, 갯사초, 갯질경이


- 골 : 습한 골짜기에서 자라나는 데서 유래
       예) 골고사리, 골등골나물, 골병꽃나무, 골잎원추리, 골사초


- 구름 : 높은 산지에서 자라거나 꽃, 잎들이 뭉쳐 피어 구름과 같은 형상을 한데서 유래
        예) 구름국화, 구름떡쑥, 구름범의귀, 구름병아리난초, 구름송이풀,
            구름체꽃, 구름패랭이꽃,구름사초, 구름제비꽃, 구름제비란


- 두메 : 고산지역을 나타냄
         예) 두메담배풀, 두메분취, 두메양귀비, 두메자운, 두메투구꽃,
             두메고들뻬기, 두메괴불나무, 두메꿀풀, 두메냉이, 두메닥나무,
             두메대극, 두메바늘꽃, 두메박새, 두메부추, 두메솜방망이,

             두메양지꽃, 두메잔대, 두메취


- 벌 : 확 트인 벌판에서 자라나는 데서 유래
       예) 벌개미취, 벌노랑이, 벌씀바귀, 벌등골나무, 벌깨풀, 벌사초, 벌완두, 벌사상자


- 물 : 습기가 많은 곳에서 자라나는 데서 유래
       예) 물매화, 물봉선, 물싸리, 물솜방망이, 물골풀,
           물꼬리풀, 물머위, 물미나리아재비


- 돌 : 야생 혹은 돌이 많은 곳에서 자라나는 데서 유래
       예) 돌단풍, 돌마타리, 돌바늘꽃, 돌양지꽃, 돌창포, 돌나물,
           돌꽃, 돌매화, 돌동부, 돌방풍, 돌앵초, 돌외, 돌콩, 돌팥


- 바위 : 바위에서 자라나는 데서 유래
         예) 바위미나리아재비, 바위솔, 바위채송화, 바위송이풀, 바위구절초, 바위돌꽃, 바위떡풀


- 산 : 높은 산에서 자라나는 데서 유래
       예) 산구절초, 산꼬리풀, 산돌배, 산부추, 산수국, 산솜방망이,
           산씀바귀, 산오이풀, 산옥매, 산용담, 산짚신나물, 산골무꽃, 산괭이눈, 산달래


- 섬 : 육지와는 단절된 섬이지만 자생하는 데서 유래,
       대부분의 경구 울릉도 특산 식물을 말한다.
       예) 섬갯장대, 섬국수나무, 섬기린초, 섬단풍, 섬말나리,
           섬바디, 섬백리향, 섬쑥부쟁이, 섬자리공, 섬초롱꽃,
           섬딸기, 섬제비꽃, 섬천남성, 섬현삼, 섬시호, 섬쥐손이, 섬제비쑥


(2) 진위를 나타내는 말


- 참 : 진짜라는 의미에서 유래
       예) 참갈퀴덩쿨, 참개별꽃, 참개암, 참나리, 참당귀, 참바위취, 참으아리, 참솝쌀풀


- 나도 : 원래는 완전히 다른 분류군이지만 비슷하게 생긴 데서 유래
         예) 나도고추풀, 나도국수나무, 나도냉이, 나도바람꽃,
             나도송이풀, 나도양지꽃, 나도옥잠화


- 너도 : 원래는 완전히 다른 분류군이지만 비슷하게 생긴 데서 유래
         예) 너도고랭이, 너도바람꽃, 너도골무꽃


- 개 : 기준을 삼을 수 있는 식물에 비해 품질이 낮거나
       모양이 다르다고 여긴 데서 유래
       예) 개구릿대, 개다래, 개망초, 개머루, 개쑥부쟁이, 개양귀비, 개여뀌, 개연꽃, 개오동


- 뱀 : 뱀과 관련이 있는 데서, 혹은 기준을 삼을 수 있는 식물에 비해

       품질이 낮거나 모양이 다르다고 여긴 데서 유래
       예) 뱀고사리, 뱀무, 뱀딸기


- 새 : 기준을 삼을 수 있는 식물에 비해 품질이 낮거나
       모양이 다르다고 여긴 데서 유래
       예) 새머루, 새모래덩굴, 새콩, 새팥, 새완두, 새삼, 새사초


(3) 식물기관의 특성을 나타낸 말


- 가는 : 잎이 가는 데서 유래
         예) 가는잎구절초, 가는잎돌쩌기, 가는장구채, 가는오이풀, 가는층층잔대


- 가시 : 가시가 있는 데서 유래
         예) 가시여뀌, 가시연꽃, 가시오갈피, 가시엉겅퀴, 가시아욱


- 갈퀴 : 갈퀴가 있는 데서 유래
         예) 갈퀴나물, 갈퀴덩굴, 갈퀴꼭두서니


- 긴 : 꽃 또는 식물체의 일부분이 긴 데서 유래
       예) 긴담배풀, 긴병꽃풀, 신사상자, 긴산꼬리풀, 긴오이풀, 긴분취


- 끈끈이 : 끈끈한 즙액이 있는 데서 유래
           예) 끈끈이귀개, 끈끈이대나물, 끈끈이주걱, 끈끈이여뀌, 끈끈이장구채


- 선 : 줄기가 곧게 선 데서 유래
       예) 선괭이밥, 산시처, 선이질풀, 선쓰바귀, 선제비꽃, 선괭이눈, 선메꽃


- 우산 : 잎이 우산 같은 데서 유래
         예) 우산나물, 우산잔대, 우산방동사니


- 털 : 털이 있는 데서 유래
       예) 털머위, 털사철난, 털여뀌, 털제비꽃, 털중나리, 탈쥐손이, 털딱지꽃, 털사초


- 톱 : 톱모양의 거치가 있는 데서 유래
       예) 톱잔대, 톱풀, 톱바위취, 톱분취


(4) 색을 나타낸 말


- 금, 은 : 식물의 색이 금, 은색인 데서 유래
           예) 금마타리, 금방소사니, 금붓꽃, 금새우난초, 은난초, 은양지꽃, 은대난초


- 광대 : 광대와 같이 울긋불긋한 데서 유래
         예) 광대싸리, 광대버섯, 광대작약, 광대나물, 광대수염


(5) 초형의 크기를 나타낸 말


- 각시 : 초형이나 키가 작은 데서 유래
         예) 각시둥글레, 각시붓꽃, 각시원추리, 각시제비꽃, 각시마, 각시취


- 땅 : 초형이나 키가 작은 데서 유래
       예) 땅나리, 땅비싸리, 땅채송화, 땅빈대, 땅귀이개


- 애기 : 초형이나 키가 작은 데서 유래
         예) 애기괭이눈, 애기나리, 애기메꽃, 애기부들, 애기원추리, 애기현호색


- 왜 : 키가 작거나 일본이 원산지인 데서 유래
       예) 왜솜다리, 왜승마, 왜현호색, 왜제비꽃, 왜당귀, 왜골무꽃


- 좀 : 키가 작은 데서 유래
       예) 좀가지풀, 좀고추나물, 좀꿩의다리, 좀냉이, 좀붓꽃, 좀참꽃나무


- 병아리 : 초형이나 키가 작은 데서 유래
           예) 병아리난초, 병아리방동사니, 병아리풀, 병아리다리


- 큰 : 초형이나 키가 큰 데서 유래
       예) 큰개별꽃, 큰수슬봉이, 큰까치수영, 큰꽃으아리,
           큰복주머니꽃(광릉요강꽃), 큰앵초, 큰제비고깔, 큰톱풀,


- 왕 : 키가 큰 데서 유래
       예) 왕고들빼기, 왕괴불나무, 왕머루, 왕바랭이, 왕제비꽃,
           왕원추리, 왕골, 왕갈대, 왕모시풀, 왕별꽃


- 참 : 초형이나 키가 큰 데서 유래
       예) 참갈퀴덩굴, 참개암, 참나무, 참나리, 참당귀, 참고추냉이, 참골풀, 참깨, 참꿩의다리


- 말 : 초형이나 키가 큰 데서 유래
       예) 말나리, 말냉이, 말냉이장구채


- 수리 : 초형이나 키가 큰 데서 유래
         예) 수리취


- 선,눈 : 식물체가 직립해 있거나 누워있는 데서 유래
          예) 선가래, 선갈퀴, 선괭이눈, 선괭이밥, 선메곷, 눈개승매,
              눈개쑥부쟁이, 눈범꼬리, 눈비름, 눈사초, 눈양지꽃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