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스크랩] 교훈글-낙이망우(樂以忘憂)

작성자신비아|작성시간23.08.16|조회수3 목록 댓글 0

낙이망우(樂以忘憂)

樂 : 즐길 락
以 : 써 이
忘 : 잊을 망
憂 : 근심 우


일을 즐기느라 모든 근심을 잊는다는 뜻으로,

어떤 일에 열중하여 노력하는 것을 이르는 말이다.
출전 : 논어(論語) 술이편(述而篇)

어떤 한 가지 일에 열중하면 좋은 결과를 얻는다.

그렇다고 바로 성공을 가져다주지는 않고

실패를 이기며 끈기를 가져야 영광을 차지한다.

 

미국의 발명왕 에디슨(Thomas Alva Edison)은

"일을 옳게 하려면 결코 시계를 보지 말라"고 했다.

 

1000번이 넘는 실패를 거쳐 전구를 발명한 그가

그래서 실험하다 계란인 줄 알고 시계를 삶았나보다.

사슴을 쫓을 땐 명산의 경치를 볼 여유가 없다고

축록자불견산(逐鹿者不見山)이라 했다.

 

오직 한마음을 가지고 한길로만 나아가면

전심치지(專心致志)로 뜻을 이룰 수 있지만

그렇지 않으면 '보아도 보이지 않고,

들어도 들리지 않는 상태가 된다.

유교의 시조이자 인(仁)을 강조한 공자(孔子)는

학문에서도 스스로 배우는 것을 좋아하며

한 가지 일에 열중하면 침식을 잊을 정도였다.

 

배우는 것이 즐거워(樂以) 모든 근심을

잊을 수 있다(忘憂)는 성어는 공자에게서 비롯됐다.

 

논어(論語)의 술이(述而)편에

이 말이 나온 전후의 사정을 설명하고 있다.

중국 춘추시대(春秋時代) 초(楚)나라의

섭공(葉公)이란 사람이 공자의 제자 자로(子路)에게

스승이 어떤 사람이냐고 물었다.

 

'잎 엽(葉)'은 사람 성이나 지명일 때는

'섭'으로 읽고, 섭 지역을 다스리던

대부 심제량(沈諸梁)이 공을 참칭했다고 한다.

 

겉으로만 용을 좋아했다는

섭공호룡(葉公好龍)의 주인공이기도 하다.

자로가 대답을 하지 못했다고 하자

이렇게 말하지 않았느냐며 스승이 꾸짖는다.

 

"그 사람됨이 어떤 일에 열중하면

끼니를 챙겨 밥 먹는 것조차 잊고

이를 즐거워하여 근심을 잊고 늙어 가는 것도 모른다.

자신의 학문에 대한 태도를 말한 것이어서

겸연쩍었을 수도 있었겠다.

그래도 공자가 어떤 일에 열중하면

끼니까지 잊는다는 발분망식(發憤忘食)의

성어와 함께 집중력을 실감하게 하는 일화가 있다.

 

공자가 제(齊)나라에서 순(舜)임금의

음악인 소(韶)를 듣고선 "석 달 동안 고기 맛을 잊었다

(三月不知肉味/ 삼월부지육미)"고 했다.

 

좋아하는 음악에 빠져 음률과 내용을 음미하느라

다른 것은 신경 쓸 겨를이 없었다.

어떤 일을 아는 것보다 좋아하는 것이 낫고

그보다 즐기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고 말한다.

 

즐기면서 열중하면 더 이상 좋을 수가 없다.

자주 사용되는 명언이 있다.

 

정신을 한 곳에 모으면 무슨 일이든 이루지 못할 것이 없다

(精神一到 何事不成/ 정신일도 하사불성)는

말과 호랑이에 온 정신을 집중해 쏜 화살은

바위까지 뚫었다는 중석몰촉(中石沒鏃)이다.

 

그런데 정신집중이라도 권장할 수 없는 일이 있다.

돈을 움켜쥐기만 하면 다른 사람은 눈에 보이지 않는다는

확금자불견인(攫金者不見人)이나

'늦게 배운 도둑이 날 새는 줄 모른다'는

말과 같이 나쁜 길도 열리기 때문이다.

 

-옮긴 글-

다음검색
스크랩 원문 : 바람에 띄운 그리움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