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효봉 스님 법문과 글

효봉 스님 : “할멈은 안 보고 싶어도 아들은 보고 싶어.”

작성자향상일로|작성시간24.07.29|조회수48 목록 댓글 0

효봉 스님은 금강산 신계사에서 머리를 깎으면서부터 이날 이때까지 한 번도 자신의 본명과 속가에 대해서는 일언반구도 입 밖에 낸 적이 없는데, 찬형이라는 본명과 두 아들 영발이와 영실이의 이름까지를 대자 아연실색하지 않을 수 없었다. 찬형이라는 본명은 혹 알 수 있다 하더라도 두 아들의 이름까지를 부르는 데는 놀라지 않을 수 없었다.

 

“방장스님의 큰 자제분 영발이가 지금 서울에 살고 있다고 해서 보성수좌가 급히 데리러 갔습니다. 하오니 조만간 만나보게 될 것이 옵니다, 스님.”

 

그러나 효봉 스님은 순간 표정을 바꾸며 모든 것을 부인했다.

“그런 잠꼬대는 그만 해라. 다 지난밤 꿈같은 전생(前生)의 일, 꿈을 깨야지. 꿈을…”

 

효봉 스님은 돌아눕더니 다시 눈을 감고 무자화두를 거듭 거듭 외었다. 제자들은 스님이 판사를 하다가 늦깎이로 출가했으므로 세간에 아들과 딸이 있었다는 사실은 알았으나 그 이름 ’이찬형’은 몰랐다. 호적이 있기는 했으나 거기에 적힌 이름은 이원명(李元明)이었으므로 그 이름이 속가의 이름인 줄로 알고 있었다.

 

이원명을 호적에 올리게 된 것은 금강산 여여원에 있을 때이다. 여여원에 양로원을 설립할 때 고성 면장이 찾아와서 효봉 스님에게 이사로 취임해 달라고 부탁했다. 이사로 등록하려면 호적이 필요했다. 그러나 호적을 요구하자 그 자리에서 이사에 취임할 수 없다고 거절하였다. 고성면장이 생각다 못해 호적을 만들어주면서 도장을 달라했다. 스님은 이때 이원명이라 새긴 도장을 주어 호적에 올리고 주소는 평양에서 고등보통학교를 다닐 때의 하숙집 주소를 적어주었다.

 

그러나 스님의 부인하는 태도는 수도인의 의지를 보인 것일 뿐 내심으로는 혈육의 정을 끊지 못하는 가장 인간다운 모습을 보이기도 했었다. 미래사에 있을 때 하루는 해인사 주지를 지낸 금담(錦潭)스님이 문안을 왔다. 두 노장스님은 오랜만에 만나서 그동안에 쌓였던 회포를 풀면서 밤이 깊은 줄도 몰랐다. 법담(法談)은 세간에서 출세간으로 또 출세간으로 넘나들다가 원효대사를 만나고 있었다.

 

“방장스님, 설총은 효성이 지극해서 아버지 영각(靈閣)에 초하루 보름으로 한 번도 거르지 않고 참배를 했다면서요?”

“그런 말이 있지. 설총이 원효 대사 영각의 문을 열고 들어가면 아들 쪽으로 얼굴을 돌렸다는 거야.”

“도인(道人)도 혈육은 못 속이는 모양이지요?”

“제가 듣기로는 방장스님도 속가에 아들을 두고 왔다던데 아들 보고 싶지 않으세요?”

“응, 보고 싶어. 할멈은 안 보고 싶어도 아들은 보고 싶어.”

 

이 대답이 떨어지자마자 금담스님은 자리에서 벌떡 일어나 효봉 스님에게 큰절을 올렸다.

 

“방장 스님, 저에게 도의 끝을 보여주셨습니다. 감사합니다, 스님!” 대개 이러한 질문을 받으면 모든 것을 초탈한도인인 체하며 거짓말을 하는 것이 상례인데 효봉 스님이 솔직히 말해주자 금담스님은 진리의 모습을 보여준 것에 감사하여 큰절을 올렸던 것이다. 그런데 왜 이번에는 마음 속을 솔직히 열어 보이지 않고 전생(前生)의 일이니 잠꼬대 하지 말라며 돌아누운 것일까. 스님이 지금 보이는 도의 끝은 과연 무슨 의미일까.

 

처 : 효봉(曉峰) 스님 이야기(불일출판사)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댓글

댓글 리스트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