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공감]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世界記錄遺産) 5 - “조선왕조의궤(朝鮮王朝儀軌)”

작성자늘빛|작성시간19.09.16|조회수305 목록 댓글 0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世界記錄遺産) 5 - “조선왕조의궤(朝鮮王朝儀軌)”

 

 

[ 조선왕조의궤 ]

 

조선시대 왕실에서 거행된 여러 가지 의례의 전모를 소상하게 기록한 서책이다. 실록 등에도 의례의 기록이 남아있지만 내용의 규모가 방대하고 소상하며 행차모습 등 그림으로 표현되어야 하는 부분이 많아 의궤로 제작하였다.

 


 

 

왕실의 혼사, 장례, 부묘, 건축, 잔치, 편찬 등 반복적으로 일어나는 일을 기록하여 유사한 행사가 있을시에 참고하도록 하였다. 대개 14책의 필사본으로 제작되었지만, 8, 9책에 달하는 분량이 활자로 인쇄되어 폭넓게 반포된 것도 있다.

 



 

각 책의 제목은 가례도감의궤(嘉禮都監儀軌)와 같이 해당 행사를 주관한 임시 관서의 명칭에 '의궤'를 붙여 표시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조선이 건국된 초기부터 의궤가 제작되었으나 임진왜란으로 모두 소실되었으며 조선 중기 이후 본격적으로 제작되었다.

 

현재 전하여지는 의궤로는 1601(선조 34)에 만들어진 의인왕후(懿仁王后)의 장례에 대한 것이 가장 오래된 것이며, 19세기까지 시기가 내려올수록 종류도 많아지고 질적인 수준도 높아졌다.

 

의궤가 작성되는 주요 행사로는 왕비·세자 등의 책봉(冊封)이나 책례(冊禮), 왕실 구성원의 결혼, 선대(先代) 인물들의 지위를 높이는 추숭(追崇)이나 존호가상(尊號加上), 빈전(殯殿)이나 혼전(魂殿)의 마련에서 능원(陵園)의 조성 및 이장에 이르는 각종 상례(喪禮), 신주를 태묘(太廟)에 모시는 부묘(祔廟)를 비롯한 여러 제례(祭禮)가 있다.

 


 

그밖에 국왕이 모범을 보이기 위하여 몸소 농사를 짓는 친경(親耕), 궁궐 건물의 건설 및 보수, 공신 녹훈, 왕실 인장(印章)이나 국왕 초상화의 제작 등에 편찬되었으며, 정조대에는 화성 신도시의 건설과 국왕의 수원 행차에 대해서도 각기 장편의 의궤가 작성되었다. 행사가 끝나면 의궤를 편찬할 기구와 담당자가 결정되고 주관 관서인 도감과 관련 관서의 기록들을 자료로 삼아 편찬하였다.

 

 

 

일반적으로, 임금과 신하 사이의 명령 및 보고 또는 관서들 사이에 오고간 문서인 전교(傳敎계사(啓辭이문(移文내관(來關감결(甘結)들과 소요 물품의 제작과 조달을 담당한 부속 공작소(工作所)들의 기록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 공작소의 기록들은 각기 개별적인 의궤 형식을 갖추고 있다. 내용은 행사가 준비되어 진행된 과정, 업무의 분장, 동원된 인원, 물자 및 비품의 조달과 배정, 경비의 수입과 지출, 건물 및 비품의 설계 및 제작, 담당 관리와 동원된 인물, 행사 유공자에 대한 포상 등 관계된 사실 모두를 수록하는 것이 원칙이었다.

 

조선시대 의궤에는 그림이 다수 실려있는데 문자로 표현하기 어려운 도구와 건물은 그림으로 그려 기록하였고 의례의 행렬을 표현한 반차도(班次圖)와 같은 그림은 화려한 천연색으로 실었다.

 


 

대체로 58부 정도가 제작되었는데, 임금의 열람을 위하여 고급재료로 화려하게 만드는 어람용(御覽用) 1부가 포함되며 나머지는 관련 관서 및 사고에 나누어 보관하도록 하였다.

 

1866년 병인양요 때 강화도로 쳐들어온 프랑스군이 외규장각(外奎章閣)에 보관되던 많은 수의 의궤를 약탈하여 프랑스로 가져갔다. 파리국립도서관에 보관되어 있던 것을 재불 서지학자 박병선이 발견하였고, 한국 정부와 학계의 반환요청이 계속되어 왔다.

 


 

1991년 협상이 처음 시작되었고, 20105년 단위의 임대방식으로 반환에 합의하여 20114월과 5월에 걸쳐 모두 반환되었다. 20076'조선왕조의궤'로 유네스코 지정 세계기록유산에 지정되었다.

 

 

자료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의궤 [儀軌] (두산백과)

 

 

우리나라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16)

 

1. 훈민정음(1997)

2. 조선왕조실록(1997)

3. 직지심체요절(2001)

4. 승정원일기(2001)

5. 조선왕조의궤(2007)

6. 해인사 대장경판 및 제경판(2007)

7. 동의보감(2009)

8. 일성록(2011)

9. 광주민주화운동 기록물(2011)

10. 난중일기(2013)

11. 새마을운동 기록물(2013)

12. KBS이산가족찾기 기록물(2015)

13. 한국의 유교책판(2015)

14. 조선왕조어보(2017)

15. 국채보상운동 기록물(2017)

16. 조선통신사 기록물(2017)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