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좋은 글들

[중세 유럽]로마 군제 개혁 역사 (후반부)

작성자마법의활|작성시간07.11.30|조회수2,029 목록 댓글 62

 중반부 서론에 했던 언급을 다시 반복할 필요를 느낀다.

 

 로마군은 기본적으로 3세기에서부터 시작되어 내려온  전술 방향은 큰 변화가 없었다.

로마 보조병 (장창, 장검) 의 전술에 덧붙여진 페르시아식 전술의 모방 (경장 기병, 중무장 기병의

적극적인 활용, 종심 방어 중시)은 이후 제국이 콘스탄티노폴리스 함락을 처음으로 당할 때까지는

크게 변한 것 같지가 않다.

 

 마우리키우스 - 헤라클리우스 개혁

 

  종전의 문무관 분리 제도가 전면적으로 재평가되기 시작했다. 한 속주의 군사와 민사를 통합하는

단위 (테마)와 그것을 총괄하는 스트라테고스 (군관구장) 가 마우키리우스 때부터 처음 등장하기

시작했다.  물론 기존의 총독과 보병 총감, 기병 총감 따위의 조직은 여전히 존재했고, 군관구제로

운영되는 지방과 기존 행정 조직으로 운영되는 곳이 따로 있었다.

 

 그러나 여하튼 마우리키우스가 종전의 문무관 분리 제도를 재평가한 것은 큰 의미가 있다.

이는 기존의 군제에도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개혁의 물꼬를 튼 것이기 때문이다. 마우리키우스는

황제 자리를 수성하지 못했다는 점만 빼면, 한 사람의 행정가로써는 굉장한 수완을 발휘했다고

볼 수 있다.  (흡사 광해군을 연상케한다.)

 

 마우리키우스의 아이디어는, 페르시아의 약진으로 위기에 처한 헤라클리우스 때에 이르러

대대적으로 채택이 되기 시작한다. 이에 이르러 제국은 종래의 용병 제도를 버리고, 테마의

농민병들이 스스로의 무기로 스스로를 방어하는 체제로 개편을 가속화했다.

 

 한편 중앙 수도에는 상비군으로 유지되는 중앙 군대, 타그마타가 조직되게 된다.

어떤 의미에서는 원수정 로마의 군제와 3세기 때부터 내려온 종심 방어 전략 개념이 절충되었다고도

볼 수 있겠다. 

 

 보병의 무장은 저 테오도시우스와 스틸리코 때의 '로마군'에 비하면 상당 부분 양호해졌다.

 

                                                                                   유스티니아누스 패치

 

    그러나 헬라클리우스와 마우리키우스의 개혁이란 것에는 중요하게 미비되어 있는 것이

있었다. 이론적으로는 그것보다 더 좋은 개혁이 없었으나, 실질적으로 채워넣을 "내용물"이 절대적으로

부족했다. 그것은 바로 "돈"과 "사람"이었다. 마우리키우스는 저 "돈"때문에 허접한 포카스 따위에게

넘어지고야 말았고, 헤라클리우스는 "사람"의 부족으로 기껏 지켜낸 제국의 절반을 거덜냈다.

 

  제국으로써는 바로 "유닛"의 보충이 절대적으로 필요했다. 이것은 헤라클리우스 가문의 황제들에 의해 수행되게 된다. 그 유명한 "사민"정책이라는 것이 그것이다. 유스티니아누스 2세 황제가 이것의 달인이었다.

 

 그는 기존 아나톨리아의 그리스인들 일부를 펠레폰네소스 반도로 이주시키고, 펠레폰네소스와 발칸 반도의 슬라브 혹 게르만계 주민들 일부는 아나톨리아의 사라센 접경 지대로 옮기며, 아르메니아 계들은 또 마케도니아와 발칸 반도 내지는 아나톨리아 서부 인근으로 옮기는 등 제국 내의 주민 성분을 마치 믹서기 마냥 휘저었다. 이것으로 마우 - 헤라 체제는 과거 테오도시우스 체제 때부터 내려오던, "통제 안되는 내부 야만족" 문제를 해결한 것이다.

 

  동시에 유스티니아누스 2세는 "돈"의 보충도 중요시했다. 유스티니아누스의 정책 덕택에 마우 - 헤라 체제는 내용물이 채워지게 되었으나. 유스티니아누스는 백성들이 "유닛"이 아니란 점을 까먹고 있었다. (군대 행보관들이 흔히 저지르는 잘못이다.)

 

  미친 듯이 세금을 올리고, 사람을 잡아다가 여기저기 조리 돌리며 군사 낳는 기계 취급을 하니 백성들이 이런 극단적인 조치에 순응할 리 없었다. 흡사 아시리아의 가혹한 사민 정책을 연상케 한다.

   

 유스티니아누스는 결국 파멸하고 헤라클리우스 왕조도 무너졌지만, 이후에 이 왕조의 뒤를 이른

왕조들은 모두 저 사민 정책의 결과로 인한 자식들이었다. 이사우리아 왕조란 것은 저 사민정책으로

옮겨졌던 게르만 계 주민이 조상이었으며,  아모리움 왕조도 원래는 아르메니아계였다. 마케도니아

왕조도 마찬가지.

 

 이후의 비잔티움 왕조들은 모두 저 "돈"과 "사람"의 충원을 기본 목적으로 하였다. (기본적으로는

유닛 관리의 체계화이다.) 이 유닛 관리의 달인이 바로 후세에 유명한 바실리우스 2세다.

 

                                                                         니케포로스 포카스 패치                                       

 

   감히 말하건데 장군으로써는 이 자가 바실리우스보다 더 뛰어났을지도 모른다.

 그가 장군으로 때 비잔티움 군대는 극도로 단련된 전쟁 기계로 탈바꿈되었다.

 

   그러나 슬슬 이 체제에도 바이러스가 침투하게 되었다. 게다가 군사 귀족들과 중앙 타그마타만을 우선시하는 니케포로스 패치는 이 바이러스에 더욱 취약하였다.

 

  귀족들의 토지 겸병 및 중소 농민층의 몰락이라는 바이러스였다.  한때 백신 바실리우스 2세가 투입되어 이 바이러스를 한 번에 치료하였으나, 이후의 바보같은 황제들 그리고 평화에 안주한 무리들의

한심한 작태로 말미암아, 제국의 우수한 군제는 점점 무너지고야 말았다.

 

 안 좋은 전례도 똑같이 로마로부터 물려받았던 이 제국은, 공화정 말기의 혼란상과 3세기의 혼란상을 동시대에 함께 겹쳐서 나타내게 된다.  그예 이후의 제국은 그전의 자율적인 군제 개혁과는 달리, 타율적인 모습을 자주 보여주게 된다.

 

 1071년 만지케르트 쇼크 => 시스템 다운

 

(종말부에서 계속)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 작성자게이볼그 | 작성시간 07.12.06 결론적으로 이야기 하자면, 메소포타미아와 1071년 붕괴는 여러 복합적인 이유를 띄고 있습니다. 콤네노스님께서 이야기하신 정치적 불안정과 요새 넘겨주기도 큰 문제가 맞지요. 하지만 아르메니아의 경우를 볼 때, 테마가 보다 잘 조직되어 있고(지형상, 그리고 평화와 권귀의 세력확대로 무력화된 메소포타미아, 혹은 기타 테마와 차별되게), 로마노스 디오게네스가 계획했던 대로 테마를 재조직시킬 충분한 시간이 있었다면(역으로 테마 둔전병 체제가 여전히 유지되고 있었다면) 동방 방어체계가 그리 쉽게 무너져 내리지 않았으리라 생각합니다.
  • 작성자게이볼그 | 작성시간 07.12.06 마지막으로...음, 이제 곧 기말고사라는 개인적인 사정도 있고해서-_-;; 한 번 논쟁을 하려면 한 시간이 넘어가는 이런 고급 논쟁을 계속하기는 힘이드는군요;; 콤네노스님의 고견은 잘 들었고, 제 부족한 점을 메꿔주는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이런 드문 토론 자리를 만들어주신데에 대해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 작성자유틸라이넨 | 작성시간 07.12.07 배...백플이다... 귀찬싸 공께서 두분 모두 궁형에 처할지도...ㄷㄷㄷ;;;
  • 작성자타마누님 | 작성시간 07.12.07 게볼공의 테마제의 역량에 대한 견해는 저도 같은 생각이지만, 콤네님의 제국의 용병들의 역량에 대한 논의도 한번 생각해 볼 문제인 것 같군요. 올만에 좋은 논쟁 잘 봤다능~.~
  • 작성자팔랑기테스 | 작성시간 07.12.07 어휴...두분다 내공빨이 쪄네효
댓글 전체보기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