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서양사

파르티잔 대장 트리피츤 (4) 원칙 준수에 대한 반발

작성자신룡기2|작성시간22.05.05|조회수99 목록 댓글 2

 

<목차>

동료에 대한 기억들

мяти товарища--------------------------------------------------------------------------- 3

아버지에 대한 한마디

Слово об отце ------------------------------------------------------------------------------- 4

서문

Вместо предисловия ----------------------------------------------------------------------- 5

피로 덮인 최후

Кровавый финал ---------------------------------------------------------------------------18

아나스타시요프카 마을 회의

Анастасьевская конференция---------------------------------------------------------24

야코프 이바나비치 트리피츤

Яков Иванович Тряпицын -------------------------------------------------------------25

니나 미하일로브나 레비제바

Нина Михайловна Лебедева ----------------------------------------------------------25

볼셰비키 운동 또는 혁명의 구성 요소

Партизанское движение, или составные части революционности --------------27

아무르강 하류에서의 혁명운동

Поход в низовьях Амура-----------------------------------------------------------------30

시간 순서

Связь времен -------------------------------------------------------------------------------33

스파스크 폭풍우의 밤, 니콜라예프스크의 날들

«Штурмовые ночи Спасска, Николаевские дни» -----------------------------------34

해방된 도시

Освобожденный город -------------------------------------------------------------------40

니항사건

Николаевский инцидент -----------------------------------------------------------------43

니항사건(廟街事件, 尼港事件, Николаевский инцидент, 니콜라예프스크 사건, 니콜라옙스크 사건)

니항 코뮌

Николаевская коммуна-------------------------------------------------------------------50

트리피츤의 반대세력에 대한 정책

Антибуферная политика Тряпицына --------------------------------------------------57

트리피츤에 대한 음모

Заговор против Тряпицына--------------------------------------------------------------62

니콜라예프스크 코뮌의 마지막 날

Последние дни «Николаевской коммуны»-------------------------------------------69

불타버린 니항시(니콜라예프스크 시)

Сожженный город-------------------------------------------------------------------------73

트리피츤의 체포

Арест Тряпицына--------------------------------------------------------------------------87

피에는 피, 죽음에는 죽음

Кровь за кровь, смерть за смерть ------------------------------------------------------92

결론

Заключение ---------------------------------------------------------------------------------98

 

 

(※본 자료는 특정인들이 견해를 나타내는 것으로 역사적 사실과 다를 수 있습니다.)

소비에트 시대 공산당 원칙의 엄격한 준수는 실제로는 무엇을 의미했습니까?

소련 공산당의 저명한 인물인 카가노비치(Л.Каганович)는 그것을 매우 비유적으로 공식화했습니다.

그의 의견은 공산당의 또 다른 저명한 인물인 피타코프(Г. Пятаков)에 의해서도 인용됩니다.

 

"공산당이 백인을 흑인으로 간주하도록 요구한다면 나는 그것을 받아들이고 그것을 나의 신념으로 삼을 것입니다."

 

공산당의 원칙은 소련 역사가들에게는 평생의 부담이었습니다.

내가 1975년에 하바로프스크에 있는 출판사에 "아무르 하류에서의 소비에트 혁명 투쟁(1917-1920)" 자료들의 원고를 넘겨주었을 때,

교수 레이흐베르크(Г.Е. Рейхберг), 슈리긴(А.П. Шурыгин) 및 부교수 스말야크(В.Г. Смоляк)를 검토를 위해 보냈습니다.

 

그러나 다음과 같은 이유로 출판이 거부되었습니다.

“자료들에서 과거의 특정 사건에 대해 이야기할 때 오늘날의 건전한 관점에서 그것들을 이해해야만 합니다.

인용된 사실이 우리에게 추가로 유리하게 작용하거나 우리에게 불리하게 사용될 수 있는지 여부......

이러한 사건에 대한 우리(소련)의 관점은 그 당시 공식적으로 이미 표현되어 있으며, 그 이후로 결코 변경되지 않았습니다.

아마도 일본 측이나 일반적으로 서방 측에서 이러한 사건을 다시 조사하기 시작하고 싶어하지만, 우리(소련)에게는 그런 것을 필요하지 않은 사람들이 있습니다.”

 

 

러시아 내전의 연구자들은,

러시아 내전에 관한 여러권으로 된 기존 도서들의 공산주의 이론에 적합하게 구성된 주장들을 뛰어 넘을 권리가 없었습니다.

 

1960년에 아무르 하류의 러시아 혁명 운동에 관해 마침내 ‘무정부주의(아나키즘)’로 규정된 다섯번째 책이 출판되었습니다.

 

“트리피츤은 아무르 하류와 니항일대에서 혁명적인 파르티잔들을 이끌었습니다. 트리피츤은 극동 지역의 완충 국가(극동공화국) 생성에 대한 지침을 인정하지 않았습니다.

1920년 5월 일본군의 재공격에 의해 니항(니콜라예프스크, 오늘날의 Nikolaevsk-on-Amur)에서 혁명세력이 아무르 지역으로 이동하는 동안 트리피츤과 특히 그의 가장 가까운 협력자들은 공산당원과 민간인을 체포하고 처형했습니다.

트리피츤과 그의 동료들은 법원 판결에 의해, 파르티잔 사령부가 체포되고 총살되었다”

일본의 저명 시인의 니항사건에 대한 관점

 

그러나, 아무르강 하류 지역에서의 혁명운동은 일본, 한국, 미국, 중국, 북한의 현대사에서는 무시되지 않았다.

(※1920년 일본에서는 국가적 차원에서 왕족, 장성, 귀족, 국회의원, 심지어 시베리아 거주 친일조선인 등이 동원된 대대적인 초혼제 등을 감행하였고, 한국 중국의 신문들 역시 일제 침략군이 전멸했음을 대대적으로 보도하였다. 1980년대까지 한때 ‘봉오동 전투’와 함께 독립군에 의한 승리로 알려졌으나, 2000년대 이후에는 A.Y.구트만의 책만이 역사적 사실로 평가되기도 한다.)

 

니항 사건은 결국 일본과 미국 등의 반공산주의, 친일파시스트 노선의 도서들에서 중요하게 언급되기 시작한다.

한국에도 요약본이 줄기차게 알려지기 시작한 이러한 시리즈들은

(※ 독립유공자 000 선생 등이 일본인과 일했다는 내용 등은 사라지고......)

 

(1) 러시아 내전 백파가 발행한 『사라진 도시(니항의 비극)』, Эч В. Исчезнувший город. (Трагедия Николаевска-на-Амуре). Владивосток, 1920.

(2) 공식적인 도서가 역사적인 사실이라고 그대로 인정하는 구트만의 『니항에서의 죽음(영문 번역도서명은 니항의 파괴)』, Гутман А. (Анатолий Ганн). Гибель Николаевска-на-Амуре, страницы из истории гражданской войны на Дальнем Востоке. Берлин, 1924.

(3) 러시아 혁명시대의 볼셰비키, Милюков П. Россия на переломе. Большевистский пери-од русской революции. Т. 2. Париж, 1927.

(4) 소련과 일본의 관계, Lensen G.A. Japanese Recognition of the USSR. SovietJapanese Relations 1921-1930. Tokyo-Taiiahassee, 1970.

(5) 구트만이 쓴 책의 영문번역본인 『니항의 파괴』, The destruction of Nikolaevsk-оn-Amur. 1993.

(6) 존 J 스테판 의 『러시아 극동지방 역사』, The Russian Far East: A History (Stanford University Press, 1994)

 

 

로써, 위키백과와 나무위키, 다음백과 사전 등의 니항사건의 참고 목록과 동일합니다.

 

이러한 도서들을 하나로 묶는 일반적인 사실은 아무르 강 하류 지역에서의

러시아 내전 비극의 책임은 볼셰비키들에게 (이책들에서는 트리피츤과 그의 지지자들도 볼셰비키라고 불렀다), 혹은 트리피츤과 박일리야에게만 있다는 것입니다.

(※존 J 스테판의 책은 1994년 출판되어 약간 내용이 다르나 일본의 입장을 충실하게 반영했다는 점에서 한국에서 널리 알려진 ‘램지어’ 교수와 동일한 입장에서 오늘날 일본을 충실하게 대변한다.)

미국의 저명학자 '램지어' 교수

 

소련시대 공산당(КПСС)의 이념 부서는 아무르 하류 혁명운동의 역사를 당 문서와 여러 권으로 된 기존의 역사책들에서 고정된 시각으로만 보지 않고, 다른 방식으로 보려는 시도를 했으나 매우 조심스러웠다.

일반적으로 성공한 점도 있었으나, 허점도 많았다.

 

1971년에 "군사 지식" 잡지에 모스크바 기자 아니심킨(И. Анисимкин)가 "러시아의 땅끝"이라는 내용을 기재한 것은 이데올로기에 대한 방해 행위로 간주되었습니다.

저자는 무정부주의자 트리피츤과 과격파(맥시멀리스트) 니나 레비제바에 대해서

트리피츤은 "레닌주의 의 지지자"이면서 "검증된 공산주의자"인 파르티잔 대장으로, 레비제바를 하바로프스크 볼셰비키 지하조직의 대표라고 불렀습니다.

친일 파시스트가 주장하는 트리피츤, 레비제바

그는 께르비에서 있었던 그들에 대한 재판을 "백파들의 음모"라고 묘사했습니다.

 

1972년 소련 국방부 산하 기관인 군사 역사 저널에서는, 1920년 5월 아무르 강 하류 혁명운동에 있어서 혁명적 합법성을 위반한 사건이 없다고 주장한 기사를 게재하였습니다.

 

그리고, 1973년 나(스말야크)는 모스크바 주립대학교 박사 학위 논문에서 동일한 관점을 옹호했습니다.

출처 및 참고문헌 등 :

러시아 내전기 볼셰비키에 동조했던 한 아나키스트의 죽음.

니항사건(廟街事件, 尼港事件, Николаевский инцидент, 니콜라예프스크 사건)의

무적황군을 격파한 파르티잔 대장트리피츤 (Яков Иванович Тряпицын)

제목 : 메즈도우소비차(МЕЖДОУСОБИЦА, 국제전)

아무르강 하류 비극의 발자취 (По следам нижнеамурской трагедии)

저자 : 스말야크 (В. Г. Смоляк)

작가 스말야크(1937-2008)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 작성자heidegger | 작성시간 22.05.05 존 J 스테판의 책이 일본의 입장을 충실하게 반영했다니 문제점이 많네요
  • 답댓글 작성자신룡기2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 작성시간 22.05.05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일본책 베껴서 쓴 부분이 상당하더군요..
    일본대학 등에서 수십년간 지원을 받은 미국 학자들이 상당합니다.
댓글 전체보기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