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서양사

[고대 로마]그라쿠스형제 개혁의 배경

작성자松永久秀|작성시간22.05.20|조회수233 목록 댓글 4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alternative_history&no=97636 

 

https://scholarlypublications.universiteitleiden.nl/access/item%3A2937373/view

 

The location of ager publicus creates difficulties for the traditional interpretation that the small farmers suffered from the accumulation of public land by the elite. Most land in central Italy had been privatized by the early second century at the latest. The ager publicus still present in central Italy had been assigned to individual holders by the creation of secure forms of tenure in the third and second centuries, and therefore the only available ager publicus still free for occupation was located in northern and southern Italy. Since it is generally accepted that the social problems of the second century were the most  severe in central Italy, a re-xamination of the role of "ager publicus" in these developments has been the most important purpose of this study. 

In this area  there was little public land left; the main problem was that in this region there  was simply not enough land to accommodate both a growing population and an increasing demand for land by those wishing to profit from the growing market. 

It is to be expected that many small farmers suffered from increasing  fragmentation of their private holdings, making it harder to support a family on  them. However, as land in central Italy was in high demand, a small plot could  fetch a reasonable price, which made it attractive to sell the land and move to  Rome, where the booming economy provided many opportunities for wage  labour. Therefore, it was the private land of small farmers that was accumulated  by the rich, and not public land. 

In the beginning of the century the migration of people to the city of Rome  did not create problems; there were many job opportunities, especially in  construction, but in other branches of the economy as well. Small and landless  farmers who had remained in the countryside could make a living by working as  wage labourers or tenants on large estates. For many young men the army was  the main source of work, and indeed the early-second century wars brought in  large profits even for simple soldiers. However, as the century progressed living  by wage labour became increasingly difficult. The wars fought later in the  century were not as attractive as the earlier ones; instead, they were slow,  dangerous, and unrewarding. This led to increasing reluctance to join the army,  and thereby to a large number of men remaining in Italy who would normally have left. 

On the other hand, there are indications that the economic situation in  the city of Rome from about 140 onwards became more difficult: problems with  the food supply may have led to higher prices, while there seems to have been a  slack in the number of new public buildings and therefore in opportunities for  wage labour. At the same time, the population continued to grow, while no  colonization schemes were executed that could relieve central Italy of its excess  population. In short, in the second half of the second century a large number of  people were looking for work at exactly the time when this was difficult to find.  It was the lack of land in the heart of Italy that was responsible for the problems  described in the literary sources: increasing proletarianization of the small farmer  and a corresponding growth of the rural and urban proletariat. 

This led to underregistration in the census, thus created the image of a declining population,  while in fact the problems were caused by population growth. This situation,  however, may not have been recognized by the politicians of the time; as the  census figures for this period show a steady decline, they may actually have  believed that the population was declining. The occupation of public land by the  elite had been a well- nown theme in politics from the early Republic onward,  and it is therefore not surprising that this was brought forward again to explain  the problems occurring in the later second century.

 

This was a situation in which a reformer such as Tiberius Gracchus could  easily gain support. It is extremely hard to reconstruct exactly the reasons that motivated him to propose his agrarian bill – most likely, they were a mix of  genuine concern about the perceived shortage of citizens and soldiers and the  growth of large slave- staffed estates, and personal feelings of revenge or ambition. 

To alleviate the problems of the small farmer Tiberius naturally looked  to the undistributed ager publicus located in the periphery of the peninsula. Even though it is hard to maintain that "ager publicus" was the cause of the problems of  the second century, its distribution was naturally seen as the solution to these  problems. 

As in many early modern states the privatization of public land  occurred in a situation of population growth: 
those having access to the public land wanted to safeguard their rights by distributing public land as private  property, thus excluding those without rights of access from their means of subsistence.  

Tiberius proposed to distribute the public land to those citizens who did not  have the means of supporting themselves. However, Tiberius was not just  playing on the emotions of his audience to further his goals. In fact, his proposal  was quite sophisticated: to prevent the beneficiaries of this land of losing it again immediately, he made the land private, but inalienable and burdened with a  vectigal. In this way the Roman state could reclaim the land in the case of failure  by the recipient. The veteres possessores received security of tenure over a  maximum of 500 iugera of public land, with an added „bonus‟ (as compared to  the older law on possession of public land) of 250 iugera for each child. 

However, the land to be distributed was not empty; most of it was in the  hands of the Italian allies. They may have forgotten that they were in fact  working Roman public land, and the proposal to take the away land from them  therefore came as an unpleasant surprise. Some Italians had held their land since  before the Second Punic War, and they had not been disloyal to the Romans all  this time. They naturally felt they had rights to this land, even though in legal  terms it was the property of the Romans. Tiberius was therefore forced to  recognize the rights of the Italian veteres possessores, who also received security of  tenure on land within the legal maximum. 

The post- racchan laws gradually  completely privatized the land granted to the veteres possessores, and took away  any limitations still present on both their land and that of the Gracchan settlers.  The period 133-111 therefore saw the privatization of a large part of the arable  ager publicus in Italy. We have seen that the privatization of public land was  directly related to the demographic and economic developments of Roman  society: increased demand for land in the third century had already led to the  creation of various new forms of tenure on the public land in the vicinity of  Rome, while in the second century the continued pressure on the land caused by  population growth led to the full privatization of ager publicus in the periphery of Italy

 

공유지의 위치는 소농이 엘리트에 의한 공유 토지 축적으로 고통받았다는 전통적인 해석에 어려움을 낳는다. 이탈리아 중부의 대부분의 땅은 늦어도 2세기 초까지는 사유화되었습니다. 중부 이탈리아에 여전히 존재하는 공직자는 3세기와 2세기에 안전한 형태의 재직 기간을 만들어 개인 소유자에게 할당되었으며, 따라서 여전히 점유할 수 있는 유일한 공직자는 이탈리아 북부와 남부에 있었습니다. 2세기의 사회 문제가 이탈리아 중부에서 가장 심각했다는 것이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발전에서 공유지의 역할에 대한 재검토가 본 연구의 가장 중요한 목적이었다.

이 지역에는 공공 토지가 거의 남아 있지 않았습니다. 주요 문제는 이 지역에 증가하는 인구와 성장하는 시장에서 이익을 얻으려는 사람들의 증가하는 토지 수요를 모두 수용할 수 있는 충분한 토지가 없다는 것이었습니다.

많은 소농들이 개인 소유의 파편화 증가로 인해 가족을 부양하기가 더 어려워지는 고통을 겪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러나 이탈리아 중부의 토지에 대한 수요가 많았기 때문에 작은 구획이 합리적인 가격에 팔릴 수 있었기 때문에 토지를 팔고 로마로 이주하는 것이 매력적이었습니다. 로마는 호황을 누리며 노동을 할 수 있는 많은 기회를 제공했습니다. 따라서 부자들이 축적한 것은 공적이 아닌 소농들의 사유지였다.

세기 초에 로마로 사람들이 이주하는 것은 문제를 일으키지 않았습니다. 특히 건설 부문에서뿐만 아니라 경제의 다른 부문에서도 많은 일자리가 있었습니다. 시골에 남아 있던 소농과 토지가 없는 농민들은 임금 노동자로 일하거나 큰 토지에서 소작인으로 일하면서 생계를 꾸릴 수 있었습니다. 많은 젊은이들에게 군대는 주요 노동력이었고 실제로 2세기 초반의 전쟁은 단순한 병사들에게도 큰 이익을 가져다주었습니다. 그러나 세기가 진행됨에 따라 임금 노동에 의한 생활은 점점 더 어려워졌습니다. 세기 후반에 벌어진 전쟁은 초기 전쟁만큼 매력적이지 않았습니다. 대신 그들은 느리고 위험하며 보람이 없었습니다. 이로 인해 군대에 입대하기를 점점 꺼렸고, 그로 인해 평소라면 떠났을 많은 남성들이 이탈리아에 남아 있게 되었습니다.

반면에 140년경부터 로마 시의 경제 상황이 더욱 어려워졌다는 징후가 있습니다. 새로운 공공 건물의 수와 그에 따른 임금 노동의 기회가 줄어든 것처럼 보입니다.. 공공 건물, 따라서 임금 노동의 기회에서. 동시에 인구는 계속 증가했지만 이탈리아 중부의 과잉 인구를 구제할 수 있는 식민지화 계획은 실행되지 않았습니다. 요컨대, 2세기 후반에 많은 사람들이 일자리를 찾기 어려운 바로 그 시기에 일자리를 찾고 있었습니다. 문학적 출처에 기술된 문제, 즉 소농의 프롤레타리아화 증가와 이에 상응하는 농촌 및 도시 프롤레타리아트의 성장에 책임이 있는 것은 이탈리아 중심부의 토지 부족이었습니다.

이로 인해 인구 조사에서 등록이 미달되어 인구 감소의 이미지가 생겼지만 실제로는 인구 증가로 인해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상황은 당시 정치인들이 인식하지 못했을 수 있습니다. 이 기간의 인구 조사 수치가 꾸준히 감소하고 있기 때문에 실제로 인구가 감소하고 있다고 믿었을 수 있습니다. 엘리트에 의한 공유지 점유는 공화국 초기부터 정치에서 잘 알려진 주제였으며, 따라서 이것이 2세기 후반에 발생하는 문제를 설명하기 위해 다시 제기된 것은 놀라운 일이 아닙니다.

 

티베리우스 그라쿠스와 같은 개혁가가 쉽게 지지를 얻을 수 있는 상황이었다. 그가 자신의 농업 법안을 제안하게 된 동기를 정확히 재구성하는 것은 극히 어렵습니다. 아마도 그들은 인지된 시민과 군인의 부족과 대규모 노예 직원 토지의 성장에 대한 진정한 우려와 복수 또는 야망.

소규모 농부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Tiberius는 자연스럽게 반도 주변에 위치한 공유지를 찾았습니다. 2세기 문제의 원인이 공유지라고 주장하기는 어렵지만, 자연스럽게 그 분포가 이러한 문제의 해결책으로 여겨졌다.

많은 초기 근대 국가에서와 마찬가지로 공공 토지의 사유화는 인구 증가 상황에서 발생했습니다.
공유지에 접근할 수 있는 사람들은 공유지를 사유 재산으로 분배함으로써 그들의 권리를 보호하기를 원했고, 따라서 접근할 권리가 없는 사람들은 생활 수단에서 배제했습니다.

Tiberius는 자신을 부양할 수단이 없는 시민들에게 공유지를 분배할 것을 제안했습니다. 그러나 Tiberius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청중의 감정을 연주하는 데 그치지 않았습니다. 사실, 그의 제안은 매우 정교했습니다. 이 땅의 수혜자들이 즉시 땅을 다시 잃어버리지 않도록 그는 토지를 사유지로 만들었지만 양도할 수 없었고 벌레를 안고 있었습니다. 이런 식으로 로마 국가는 수령인이 실패할 경우 토지를 되찾을 수 있었습니다. 참전용사 소유주는 최대 500유게라의 공유지에서 소유권을 보장받았으며, 각 자녀당 250유게라의 추가 '보너스'(공유지 소유에 관한 이전 법률에 비해)가 추가되었습니다.

그러나 분배할 땅은 비어 있지 않았습니다. 그것의 대부분은 이탈리아 동맹국의 손에 있었다. 그들은 그들이 실제로 로마의 공유지에서 일하고 있다는 사실을 잊었을 수 있으며, 따라서 그들에게서 땅을 빼앗으려는 제안은 불쾌한 놀라움이었습니다. 일부 이탈리아인들은 2차 포에니 전쟁 이전부터 그들의 땅을 지켰고, 이 기간 동안 로마인들에게 불충실하지 않았습니다. 그들은 이 땅이 법적으로 로마의 소유였음에도 불구하고 자연스럽게 이 땅에 대한 권리가 있다고 느꼈습니다. 따라서 Tiberius는 법적 최대치 내에서 토지 소유권을 보장받은 이탈리아 재향 군인의 권리를 인정할 수 밖에 없었습니다.

Gracchan 이후의 법은 퇴역 군인 소유주에게 부여된 토지를 점진적으로 완전히 사유화하고 그들의 토지와 Gracchan 정착민의 토지에 여전히 존재하는 모든 제한을 제거했습니다. 따라서 133-111년 기간에는 이탈리아에서 경작 가능한 공산품의 상당 부분이 사유화되었습니다. 우리는 공유지의 사유화가 로마 사회의 인구통계학적, 경제적 발전과 직접적으로 관련되어 있음을 보았다. 로마는 2세기에 인구 증가로 인한 토지에 대한 지속적인 압박으로 인해 이탈리아 주변부에서 완전한 사유화로 이어졌습니다.

 

 

 

 

 

 

전쟁으로 인해 자영농이 몰락하고 귀족들이 대토지를 늘리며 빈부격차가 심해졌다는 레토릭의 요소들에 대한 비판은 꽤 많이 제기되었는데

 

이런 비판들을 묶어서 정리하니까 인구증가로 인해서 농민들이 도시로 떠났고 임금노동으로 인한 생활은 어려워졌고

그라쿠스형제는 인구가 감소했다고 착각한 상태로 개혁을 했다 이렇게 되네요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 작성자헤 센 | 작성시간 22.05.20 사실 그래서 인구표 가용 병력만 보면 감소하지 않는 양상을 띄더라고요.
  • 작성자마카롱 | 작성시간 22.05.20 그라쿠스형제의 영향은 극단적인 숙청으로 인한 기억이 주요포커스가 아닐까 싶습니다. 이미 지적되다시피 당대 경제상황에 대해서는 그라쿠스형제의 논의는 사실과 다른 면이 있죠 다만 중요한건 호민관이 법의 보호도 법에 따라 해임된것도 아니고 룰을 어긴 원로원에 의해 숙청당한게 크죠. 그것도 모든 법을 쌩까고 원로원들이 원로원 최종권고를 동원하여 자신들의 힘으로 짓밟은거죠.

    당대기준으로도 그라쿠스형제에 대한 숙청은 대단히 잔인하였고 불관용이였고 룰을 어겼죠.

    결국 본인들 스스로 룰을 파괴한 원로원은 이후 본인들도 똑같이 당하죠.
  • 작성자VOCALOID 時代 | 작성시간 22.05.20 그래도 지속된 대외전쟁과 한니발 전쟁이 영향을 미치긴 했겠죠..

    거기다 고대여도 경제난같은게 있긴 했을테니 그속에서 무럭무럭 자란 지배층의 분노가 그라쿠스 형제를 만든것일테구요.

    현대 민주주의를 두고 안정적인 정권교체를 최고의 가치중 하나로 여기지만 때때로 어느 한쪽이 쓸려나감이 맞지 않나는 생각은 그라쿠스때부터 현대까지 사라지질 않네요.
  • 작성자heidegger | 작성시간 22.05.21 그라쿠스 형제가 인구가 감소했다고 착각했군요
댓글 전체보기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