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쇼군2: 한글화작업실

건물 83-149 미번역분 진행

작성자파오봇|작성시간11.05.16|조회수67 목록 댓글 2

building_description_texts_long_description_SHO_Siege_4_Arsenal_Description  \n\nA large store of weapons, armour and other necessaries is vital to warfare. A general worth his sword knows that his men cannot march without shoes, fight without weapons or live without food. To command warriors is meaningless unless they have what they need to carry the fight to the enemy. The arsenal allows the recruitment of rocket units. In addition, an experienced force of matchlock samurai will always be present in the province for defensive purposes. The first clan to construct an arsenal will also benefit from improved reloading times for all matchlock-carrying troops.\n\nAs the wars of the Sengoku Jidai increased in ferocity and armies increased in size, weapons and armour became less a matter of choice for individual samurai, and more of a logistical nightmare. A samurai might well provide all his own war gear, but the thousands of ashigaru being recruited into the clan armies needed everything from helmets to socks and sandals. This lead to standardisation of equipment by all clans, and a literally uniform appearance in their respective warriors. In this, the Japanese warlords were well ahead of their European contemporaries.  TRUE
\n\n무기와 갑옷과 기타 필요 물품들은 전쟁행위에 필수적입니다. 자신에게 칼의 중요성을 아는 장군은 부하들에게 신발없인 걸을 수 없고, 무기없인 싸울 수 없으며, 식량없인 살 수 없음도 압니다. 무사들에게 명령을 내려도 그들이 적과 싸울 때 필요한 것을 갖추지 못한다면 아무 소용이 없습니다. 무기공장은 로켓 유닛의 모병을 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게다가, 그로인해 경험많은 화승총 사무라이 부대가 방어목적으로 언제나 그 지역에 있게 될 것입니다. 무기공장을 맨 먼저 짓는 가문은 모든 화승총 소지 병사들에게 장전속도 개선의 이득도 줄 것입니다.\n\n센고쿠 지다이 전쟁이 더 잔인해지고 군대의 규모가 커짐에 따라, 무기와 갑옷은 사무라이 개개인이 선택할 수 있는 차원을 뛰어넘어 병참문제로 확대되었습니다. 사무라이 자신의 장비는 잘 준비되었을지 모르지만, 가문에 모집된 수천명의 아시가루는 투구에서 양말과 신발까지 모든 것이 필요했습니다. 이 때문에 모든 가문의 장비와 각 무사의 제복 모양이 표준화되어 갔습니다. 이러한 점에서, 일본의 군주들은 유럽의 군주들보다 앞서 나갔다고 볼 수 있었습니다.

 

building_description_texts_long_description_SHO_Castle_4_Castle_Description  \n\nBuilding a castle is a sign of absolute ownership, as it provides a strong defence against enemy assaults and a centralized administration for the province. It is a clear sign of the builder’s prestige and wealth. With such a massive structure to defend them, the people will feel secure, but they will also understand that they must keep to their allotted stations in life. Tax income is also improved for the owning clan.\n\nThe Sengoku Jidai saw castles develop far beyond mere military strongholds and into being the central hubs for entire towns. The castle was where the daimyo lived, had his government, and encouraged the arts and culture. For the daimyo’s reputation, it was important to impress and intimidate guests in equal measure. The inner layout was designed to force the enemy along complex, exposed routes to the central citadel, so that they could be under fire every step of the way.\n\nThe cost of building and maintaining even one castle was almost crippling, so it became a measurable and public example of wealth, power and good taste. A great deal of prestige was gained by a daimyo’s patronage of the arts, and special pieces were commissioned often portraying beautiful landscapes or the clan’s victories, all designed to subtly display the clan’s virtues!  TRUE
\n\n성 축조는 절대적 소유의 표시였습니다. 왜냐하면, 그것이 적 공격에 맞서 강한 방어력과 그 지역에 대한 증앙 집권력을 제공했기 때문입니다. 그것은 축조자의 위신과 재산의 분명한 표시입니다. 그들을 방어해 줄 그러한 거대 건축물을 갖고서 사람들은 안전함을 느꼈겠지만, 그들은 평생 자신의 위치를 지켜야 한다는 사실도 알 것입니다. 또한 성 소유 가문의 세금 수입이 향상됩니다. \n\n센고쿠 지다이때 성은 단순한 군용 성채를 훨씬 뛰어넘어 마을 전체의 중심부로 성장했습니다. 성은 다이묘가 살고, 그의 정권이 존재했으며, 예술과 문화를 향상시킨 곳이었습니다. 다이묘의 평판을 위해, 방문객들에게 인상을 심어주고 그만큼 겁을 주는 것도 중요했습니다. 내부는 적이 복잡한 구조물을 따라갈 수 밖에 없도록 설계되었고, 시가지 중심으로 가는 길을 노출시켰습니다. 그래서 한걸음 한걸음마다 공격을 받을 수 밖에 없었습니다.\n\n한 개 성의 축조 및 유지 비용은 거의 휘청거릴 정도로 들어서, 부와 세력과 취향의 공개적인 예시 및 척도가 되었습니다. 명예의 상당 부분은 예술에 대한 다이묘의 후원에 의해 얻어지고, 가문의 승리를 묘사한 아름다운 풍경화와 같은 특별한 작품들이 위탁되곤 했습니다. 모두가 가문의 덕을 교묘하게 보여주는 것이었습니다!

 

building_description_texts_long_description_SHO_Crafts_1_Market_Description  \n\nA market adds to a province’s wealth and growth, and also allows a clan to recruit metsuke as agents. When two peasants barter, there is a market. When many come to do the same, there is wealth to be made and probably taxed. A permanent market can offer many services and goods for everyone in the province, and allow people to sell their surplus goods. Once people can trade, they can specialise, even a little, produce more and then trade for what they lack. A wise ruler encourages this.\n\nIt was, of course, beneath any samurai to engage in anything as common as trade. Wealth came from rents, land ownership and in rewards for loyal service. Often, wealth was accumulated in the form of rice koku, as taxes in kind. It was left to others to do business, and live as merchants in towns. Under the Tokugawa shogunate, the merchants did gain a certain practical influence, because they were the only people that the rice-rich daimyos and samurai could sell their koku to. The rice bartering system was never able to compete with a proper cash economy, if only because of the difficulty of moving mountains of rice sacks around!  TRUE
\n\n시장은 지역의 부와 성장에 보탬이 되고 또한 가문이 메츠케를 정부요원으로 모집하도록 해줍니다. 농부 두 사람이 거래를 하게 될 때, 시장이 생기는 것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와서 그와 같은 행위를 하면, 부가 생기는 것이고 아마도 세금을 물릴 수 있게 됩니다. 상설시장은 그 지역에 있는 사람들에게 많은 서비스업과 물품을 제공하고 사람들이 부산물을 팔 수 있도록 해줍니다. 일단 사람들 사이에 거래가 이루어지면, 그들은 약간이라도 특수한 분야를 찾게 되고 더 많이 생산해서 그들에게 부족한 것과 맞바꾸게 됩니다. 현명한 통치자라면 이것을 장려합니다.\n\n물론, 장사와 같은 평범한 일은 사무라이보다 낮은 계급에서 이루어졌습니다. 부는 대부와 땅 소유 그리고 황실 서비스에 대한 보답으로 주어졌습니다. 부는 흔히, 세금의 일종인 쌀가마의 형태로 축적이 되었습니다. 장사를 하면서 마을 상인으로 사는 것은 다른 이들의 몫이었습니다. 도쿠가와 막부하에서 상인들은 어떤 실질적인 영향력을 손에 쥐었는데, 쌀이 풍부한 다이묘들과 사무라이들이 쌀 가마를 팔 수 있는 유일한 사람들이었기 때문입니다. 산처럼 쌓인 쌀가마를 이리저리 옮기는 것이 쉽지 않을 것이기에, 그 쌀거래 체계와 견줄만한 현금 경제는 없었습니다.

 

building_description_texts_long_description_SHO_Port_2_Trading_Port_Description  \n\nTrade and warfare are vital to the success of a clan, and each supports the other. Warships built here can protect the port’s trading vessels, which in turn earn money to buy more warships. A busy port encourages growth in the province too.\n\nHistorically, Japan was organised along strict social divisions, with fishermen and farmers classed as commoners, while samurai warriors and daimyos were the superior class. Because they did no honourable work, merchants had a lower status than the peasants. The merchants, however, were wealthy, as the samurai considered trade to be a necessary evil, but one that could be left to others. This snobbishness was all very well, but the samurai eventually found themselves unsuited to a peaceful Japan or a modernising Japan after 1868. The merchant classes had, in effect, eclipsed them, leaving the samurai with few honourable ways of making a living.  TRUE

\n\n무역과 전쟁은 가문의 성공에 열쇠입니다. 이 둘은 서로서로 상부상조의 관계입니다. 이곳에서 건조된 군함은 무역선을 보호할 수 있고, 이어서 무역선은 더 많은 군함을 살 돈을 벌어줍니다. 항구가 붐비면 그 지역의 성장이 향상됩니다.\n\n역사적으로, 일본은 엄격한 사회계급을 따르도록 조직되었는데, 어부와 농부는 평민계급이었고, 사무라이 무사와 다이묘는 최상위 계급이었습니다. 상인들은 천한 일을 했기 때문에, 지위는 농부들보다 더 낮았습니다. 그렇지만, 상인들은 부유했는데, 사무라이들이 장사를 필요악으로 간주했고 자신들 말고 다른 사람들이 해야할 일로 여겼기 때문입니다. 이 속물근성이 만연했으나, 사무라이들은 결국 자신들은 평화로운 일본 또는 1868년 이후 현대화된 일본에 어울리지 않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상인 계급은 효과적으로 사무라이들을 앞서버렸고, 사무라이 계급을 몇 안되는 명예로운 삶의 수단으로 전락하게 했습니다.

 

building_description_texts_long_description_SHO_Farming_4_Consolidation_Description  \n\nLand is the source of all wealth, and the ownership and control of land is vital to the success of any lord. By consolidating land holdings, more and more land is put into the ownership of fewer and fewer people. While this does deprive the peasantry of lands, it does enable proper investment in agriculture, making the land more profitable, just not equally profitable for everyone!\n\nWhen the Tokugawa shogunate was established in 1603, a powerful centralized government once again existed in Japan. Most of the other, lesser daimyo were allowed to retain their lands, but were answerable for their good behaviour to the new shogun. A new era of peace allowed the daimyo to reorganise their own lands; villages that had become a little too independent were brought back under control. In this, Japan was not much different from other parts of the world, such as Europe, where peasants were having their commons confiscated by the gentry and nobility. The Tokugawa ruled until 1868, when the Meiji Restoration restored power to the Emperor and his court. The daimyos of 1868 were ordered to turn all their lands over to Emperor Komei, and Japan was formally reorganised into a series of prefectures.  TRUE
\n\n토지는 모든 부의 원천이고 땅을 차지하고 잘 다스리는 것이 주군의 성공에 중요한 핵심입니다. 토지 소유를 통합시킴으로써, 더 많은 땅이 소수의 사람들에게 모입니다. 이것은 농민에게서 땅을 빼앗는 것이지만, 농작에 적절한 투자를 가능케하고 토지에서 더 많은 수익을 창출할 수 있습니다. 다만, 모든 이에게 동등한 이익은 돌아가지 않습니다!\n\n1603년에 도쿠가와 막부가 시작되었을 때, 강력한 중앙집권이 다시 한번 일본에 생겨났습니다. 대부분의 군소 다이묘들에게 땅 소유가 허용되었지만, 새로운 쇼군에게 좋은 행동으로 보답해야 했습니다. 새로운 평화 시기는 다이묘에게 토지를 재편성하도록 해주었는데, 아주 독립적인 마을들이 다시 통제하에 들어오게 해주었습니다. 이 점에서 볼 때, 일본도 세상의 다른 곳과 많이 다르지 않아서 상류층과 귀족들은 농민에게서 공공물을 압수했습니다. 도쿠가와는 1868년 메이지 유신때까지 다스렸는데, 천황과 그 조정에게 권력이 다시 돌아간 때였습니다. 1868년 당시 다이묘들은 그들의 모든 토지들을 천황 코메이에게 돌려주도록 명령을 받았고, 일본은 공식적으로 지방 행정 구역 체제로 재편되었습니다.

 

building_description_texts_long_description_SHO_Yari_1_Drill_Yard_Description  \n\nThe drill yard allows the recruitment and training of yari-armed samurai units. Using a spear effectively in battle requires training, discipline and trust.\n\nThe art of using a spear, sojutsu, is one of many Japanese martial arts, and probably among the oldest. The spear was, with the bow, one of the traditional weapons of the samurai. The spear also has its place in Japanese mythology, because drops falling from the tip of ame-no-nuboko, the “Heavenly Jewelled Spear” formed the islands of Japan. This spear, however, is also referred to as a naginata, a slightly shorter slashing pole arm.\n\nThe spear came to be seen as a very cost-effective weapon for troops during the feudal wars of the Sengoku Jidai. Combined with bow and matchlock armed troops, spearmen formed the core of most clan armies. Spear fighting in Japan was a good deal more aggressive than the “push of pikes” that went on in European battles of roughly the same period. This probably reflected the more honour-bound and glory-hungry nature of Japanese warfare, as many European armies were full of mercenaries who could only be paid if they were still alive!  TRUE
\n\n훈련장은 야리 무장 사무라이 유닛을 모집하도록 해줍니다. 전투에서 창을 효과적으로 사용하려면, 훈련과 규율과 신뢰성이 요구됩니다.\n\n소주쯔 창을 사용하는 무예는 많은 일본 오래된 무술중 하나일 것입니다. 창은 활과 함께 사무라이의 전통 무기중 하나였습니다. 창은 일본 신화속에도 들어있는데, 아메-노-누보코에서 떨어진 방울들인 "천상의 귀한 창"이 일본의 섬들을 형성했다는 것입니다. 그렇지만, 이 창은 약간 작은 휘두르는 장대형 무기인 나기나타로 언급되기도 하였습니다.\n\n창은 센고쿠 지다이의 봉건 전쟁중에 병사들에게 아주 가격대비 효과가 좋은 무기로 보여졌습니다. 활과 화승총으로 무장한 병력과 합하여, 창병들은 대부분 가문의 군대에 핵심이 되었습니다. 일본에서 창싸움은 대략 동시대에 유럽에서 행해졌던 "창 찌르기"보단 훨씬 더 공격적이었습니다. 이것은 아마도 일본인들이 전쟁에 더 명예롭고 영광에 목말라하는 습성을 반영한 때문이었습니다. 반면, 유럽의 군대는 살아 있다면 돈을 받는 용병들로 들끓었습니다!

 

building_description_texts_long_description_SHO_Sword_2_Nodachi_Description  \n\nThis dojo allows the recruitment of no-dachi samurai units, armed with fearsome greatswords. The use of these swords is a specialised art, and not all samurai are suited or able to use no-dachi. The weapon is also one that requires considerable space, even for practice. However, the men who can use the swords command considerable respect among their peers.\n\nThe term “dojo” means “the place of the way”, or a formal training setting for a particular martial art. Often these would be large halls built in temple grounds, but courtyards could also be used. In the case of a no-dachi, training would have to be in the open air.\n\nA no-dachi was instantly recognisable when carried because it was worn slung over the shoulder, but its great length meant that it could not be drawn from that position. It was a weapon for the open battlefield, and rarely used indoors or in confined spaces because it needed a lot of space to use effectively. Of most use against cavalry, the no-dachi was not a common blade, as it was harder to make than a shorter sword and required a strong man to swing it!  TRUE
\n\n이 도조는 두려운 칼로 무장한 노-다치 사무라이 유닛의 모병을 하도록 해줍니다. 이 칼을 사용하는 것은 특별한 무술로, 모든 사무라이가 노-다치를 사용하거나 어울린 것은 아닙니다. 이 무기는 또한 훈련시에도 상당한 공간을 요합니다. 그렇지만, 그 칼을 사용하는 사나이들은 다른 이들에게서 상당한 존경을 받는 위치에 있었습니다.\n\n"도조"란 용어는 "도의 장소" 혹은 특별한 무술을 위한 공식적인 훈련 환경을 의미합니다. 종종 사원 마당에 지어진 넓다란 공간이었을 것입니다만, 마당도 또한 사용될 수 있었습니다. 노-다치의 경우에는 트인 공간이었을 것입니다.\n\n노-다치는 가지고 다닐 때 어깨에 걸렸기 때문에 즉각 알아볼 수 있었습니다만, 그 큰 크기 때문에 그 자세에선 뽑을 수 없었습니다. 탁 트인 전쟁터에서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 많은 공간이 필요했기 때문에, 실내나 제한된 공간에서 사용되긴 힘들었습니다. 기병에 대항하는 것중에 노-다치는 흔한 보통의 칼이 아니었습니다. 왜냐하면, 짧은 칼보다 더 만들기 힘들었고 휘두르기 위해선 강한 사내가 필요했기 때문입니다!

 

building_description_texts_long_description_SHO_Castle_1_Fort_Description  \n\nA fort is a basic defence against attackers, and can be garrisoned with troops to slow down and hinder any enemy incursions. Even the smallest castle can be difficult to take, and leaving the garrison unmolested and behind an advancing army is not always an option. A fort is also a symbol to the locals to remind them of their overlord’s power, and it can be used as a recruiting centre for some basic types of warrior.\n\nHistorically, the castles of the early Sengoku Jidai were a good deal less majestic than what is now considered to be the classical Japanese castle. The first castles were practical structures, made of wood and without multi-storeyed towers and stone walls. They were used for the defence and surveillance of the surrounding region, where the grand later buildings were also lordly mansions and seats of government, often with entire towns built around them. Early castles were located on rivers, at ports and other strategic points, and cunningly took full advantage of the natural landscape: mountainous positions were favoured, and nearby streams were diverted and dammed as moats. It was common for the defenders to not lurk behind their walls when attacked: the defenders would, more often than not, sally forth to meet the enemy rather than rely on the walls.  TRUE
\n\n성채는 공격자들에 맞선 기초적인 방어물입니다. 병사들을 주둔시켜 갑작스럽게 나타난 적의 속도를 떨어뜨리고 막을 수 있습니다. 가장 작은 성조차도 점령하기가 어려울 수 있고 다가오는 적뒤에 방해받지 않는 수비대를 남기는 것은 언제나 쓸 수 있는 선택사항은 아닙니다. 성채는 또한 지역민들에게 군주의 힘을 상기시키는 상징이기도 하고 기초적인 무사를 모집하는 장소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n\n역사적으로, 초기 센고쿠 지다이 시대의 성들은 현재 고전적인 일본 성이라고 생각되는 것들보다 상당히 위엄이 덜했습니다. 초기 성들은 실용적인 구조물들로, 목재로 만들어졌고 층이 여러개인 탑과 석재 성벽이 없었습니다. 그들은 방어와 주위지역의 감시 용도였습니다. 그곳의 장대한 후기 건물들중엔 위풍당당한 대저택과 통치 좌석이 있었고 보통 주위에 마을 전체가 건설되었습니다. 초기의 성들은 강변과 항구 그리고 전략 거점에 위치해 있었고 교묘하게, 자연 환경의 효과를 최대한 이용했습니다: 산지가 선호되었고 근처 강은 돌렸으며, 해자로 물을 가두었습니다.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 작성자Romance | 작성시간 11.05.16 도움 주셔서 감사합니다!
  • 답댓글 작성자파오봇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 작성시간 11.05.16 마지막 한문장 덜 했네요...
    공격을 받을 때 방어측이 성벽 뒤에 숨지 않는 것이 보통이었습니다: 방어측은 종종 성벽에 의지하기보단 적을 맞으러 성을 박차고 나갔습니다.
댓글 전체보기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