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댓글

뒤로

이탈리아 현대사를 이해하는 방법

작성자bamdori| 작성시간21.08.13| 조회수249| 댓글 3

댓글 리스트

  • 작성자 노스아스터 작성시간21.08.13 지형지도만 봐도 어우...평야가 적네요.
  • 작성자 cjs5x5 작성시간21.08.13 비록 본문에서는 명시적으로 나오진 않지만 뒤르켐의 연대개념과 막스 베버의 방법론이 떠올랐습니다.

    2차대전이후 이탈리아가 도시화되고 세속화되는 비상한 과정을 겪었고, 그 이전 세기의 농민문화가 단일한 전국적인 도시 문화에 의해 압도되며 대체되었다는 서술이 있었습니다. 이 서술을 보니 농촌사회의 종교와 혈연에 기반한 기계적 연대가 도시의 분업과 직능단체에 기반한 유기적 연대로 전환되는 과정을 근대화라고 본 뒤르켐이 떠올랐습니다.

    또한 저서의 배경 이후로 등장한 베를루스코니의 등장을 근대화로 인한 아노미속에서 발생한 이탈리아의 사회현상으로 말할 여지도 있어 보입니다.

    이탈리아 가족주의의 베타성을 가족주의의 고유한 비도덕성으로 일반화하기보다는, 지노 오의 경험담을 사례를 들며 개인주의의 또다른 형태라고 서술한 부분에서는 베버의 '사회'라는 개념에 대한 시각(고등학교에서는 사회명목론이라 제단해버리는...)이 떠올랐습니다.

    또한 이탈리아 사회를 남북 구도로 단순히 이분하지 않고 '북서부 - 북동부 및 중부 - 남부 및 도서 지역'으로 세분화하며 이념형을 구성한 점은 베버의 방법론으로 보였습니다.
  • 작성자 heidegger 작성시간21.08.14 북서부, 북동부 및 중부, 남부 및 도서지역으로 나누는 삼분 구도는 현대 이탈리아의 현실을 더 실효적으로 묘사하는 방식으로 보이는군요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
카카오 이모티콘
사용할 수 있는 카페앱에서
댓글을 작성하시겠습니까?
이동시 작성중인 내용은 유지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