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cjs5x5의 штрафбат

[오..누네띠네]2023.01.26. 미 국무부 언론 브리핑 中

작성자cjs5x5|작성시간23.02.24|조회수88 목록 댓글 0

오늘은 시작부터 범상치 않은 브리핑입니다.  아무래도 기자단이 굳건한 프라이스 대변인보다는 베단트 파텔 수석부대변인을 타겟으로 노린 감도 듭니다.

 

언제나 그렇듯이 번역에 태클걸어주시면 오히려 대환영입니다!

(사실 태클걸리길 바랄 지경입니다. 그래야 생산적일테니까요.)

-

 

https://www.state.gov/briefings/department-press-briefing-january-26-2023/

 

 

 

1. 팔레스타인에 대한 미합중국의 공식적 입장을 분명히 밝혀달라. - Matt Lee, Said Arikat

 

처음 시작은 산뜻하게. 오늘도 무사히.

QUESTION: So I am going to presume that you don’t have a whole lot to add to what Assistant Secretary Leaf said on – earlier today, but I’m just wondering in – since 11:30, since she spoke, have there been any contacts between the Secretary and/or other very high-level officials here in the – either the Israelis or the Palestinians about what happened in Jenin as it – and as it – as that might relate to the Secretary’s upcoming trip?

--> Matt Lee의 이 질문을 이해하려면 두가지 사전지식이 필요합니다. 첫번째는 미 국무부 휘하 근동국 차관보 Barbara A. Leaf라는 인물이 올해 1월 26일에 무슨 발언을 했는지 알아야 합니다.

 

---> 그 발언의 원문은 여기에 있습니다. 미 국무장관 블링큰의 1월 29일에서 31일까지의 이집트, 이스라엘, 서안지구(West Bank) 순방을 앞두고 Leaf 차관보가 화상통화를 통해 실시한 브리핑입니다. / 요점을 한마디로 줄이자면 브리핑중에 Jenin지역에서 발생한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간의 유혈사태로 인해 사상자가 발생하였는데, 그것에 대해서 블링큰 장관이 순방중에 의제로 꺼낼 것이냐는 질문입니다.

https://www.state.gov/assistant-secretary-for-near-eastern-affairs-barbara-leaf-on-the-secretarys-upcoming-travel-to-egypt-israel-and-the-west-bank/

 

---> 두번째로 알아야 할 것은 Jenin에서의 유혈사태입니다. Jenin은 서안지구(West Bank)의 한 지역입니다. 팔레스타인측의 주장에 따르면 피난민 캠프에 이스라엘군이 들이닥쳐(raid) 9명이 사망했다고 합니다. 7명은 30세 이하의 청년이나 청소년들이었고 1명은 61세 노인으로 발표되었습니다. 이스라엘측 주장은 이슬람 지하디스트를 습격한 대테러 작전이었으며, 여섯명의 테러리스트를 사살하고 나머지는 항복했다고 합니다.

 

이스라엘측 사상자는 없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기사는 이스라엘 역사상 가장 우익적인 네타냐후 정권이 집권하면서 서안지구를 점령하자는 주장이 커지고 있다고도 첨언하고 있습니다.

https://www.washingtonpost.com/world/2023/01/26/israel-raid-palestine-jenin-deaths/

 

 

MR PATEL: Sure, Matt. So I don’t have any specific engagements to read out for the Secretary or anything to preview there. But as Assistant Secretary Leaf noted on this very call that you’re referring to, the department has been working the phones and in touch with both our immediate U.S. State Department counterparts – this – over the course of the morning – but as well as others in the region.

 

Specifically, if you’ll give me the opportunity, Matt, we are aware of the reports that today in Jenin at least 10 Palestinians, including militants and at least one civilian, were killed and over 20 injured during an Israeli Defense Force counterterrorism operation against a Palestinian Islamic Jihad cell.

 

We recognize the very real security challenges facing Israel and the Palestinian Authority and condemn terrorist groups planning and carrying out attacks against innocent civilians. We also regret the loss of innocent lives and injuries to civilians and are deeply concerned by the escalating cycle of violence in the West Bank. I want to underscore the urgent need for all parties to de-escalate, to prevent further loss of civilian life, and to work together to improve the security situation in the West Bank. Palestinians and Israelis equally deserve to live safely and securely.

---> 일단 공식입장이라는 것이 나왔습니다. 나는 양측 모두가 긴장을 완화하길 긴급히 요청한다. 팔레스타인인과 이스라엘인은 둘 다 마땅히 안전하게 살아야 한다. 주어를 보시기 바랍니다. 평상시에는 We를 사용해왔으나 이 부분에서 만큼은 I를 쓰고 있습니다. 즉, 미합중국의 공식적이고 공신력있는 말은 하지 않은 겁니다. 

 

---> 반면에 우리(우리 미국)을 쓴 부분은 따로 있습니다.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당국은 아주 실제적인 안보위협에 처해있으며, 무고한 민간인에 대해 공격을 계획하고 감행하는 테러리스트 그룹들을 규탄한다. 이 부분은 이스라엘군을 테러리스트 그룹으로 지칭한 게 아닙니다. 이스라엘군은 엄연한 이스라엘 정규군(Israel Defence Forces, IDF)입니다. 즉, 이스라엘이 Jinin에서의 작전(raid)의 이유로 지목한 "이슬람 지하디스트"들을 그 사건의 책임자로 지목하며 이스라엘 측 주장을 반복한 겁니다..

 

 

QUESTION: Okay. And it remains the case that you do not believe that the Palestinian decision or announcement that they are going to suspend all security cooperation with Israel and also take this incident and refer it to the UN, the ICC, and others, other places, that you still think that’s a bad idea, correct?

---> 이러한 답변을 들은 Matt. 그래서 이스라엘과의 모든 안보협력을 중지하겠다는 것과 Jinin사건 및 다른 유사사건들을 UN과 ICC에 제소하겠다는 팔레스타인 측의 결정이나 발표는 좋지 않은 아이디어라고 생각하냐고 되묻고 있습니다.

 

 

MR PATEL: That’s correct, Matt. As we’ve made clear, and the assistant secretary touched on this earlier today, we believe that there is an urgent need for all parties to de-escalate, and in fact this should be an opportunity to work together to improve the security situation in the West Bank. And as it relates to the UN, we just don’t believe that this multilateral fora is appropriate for this, and this is something that the two sides should work together on. And again, we believe that this should be – we should be deepening our security cooperation.

---> 이에 파텔 수석부대변인은 바로 그렇다고 확인해주고 있습니다. 미국의 의향은(주어를 We로 쓰고 있음을 주목) 팔레스타인과 이스라엘이 서안지구에서 안보협력을 증대하는 것이고, 이와 같은 사건들을 UN같은 다자적 조직을 통해서 해결하기 보다는 양자가 직접 해결하길 원한다는 겁니다.

 

---> 지도를 보니 확실히 이스라엘에게 서안지구는 레이더를 깔든 미사일을 배치하든 이란을 모니터링하기에 필수불가결한 지역으로 보입니다. 정확히는 팔레스타인이 방해가 된다는 것에 가까워 보이지만.

 

 

QUESTION: Okay. Well, recognizing that you don’t know exactly what happened – an investigation, an Israeli investigation, is underway. But recognizing that you don’t know, I wanted to go back to a question that I asked Ned last year or even 18 months ago. If you don’t think that the Palestinians should go to the UN or to the ICC or to any other international forum, where do they go?

---> 위의 파텔 수석부대변인의 답변에 대해서 Matt은 당신은 '현장에 대해 아무것도 모르고 있다'며 UN이나 ICC같은 곳이 아니면 대체 팔레스타인 사람들이 어디에다가 호소하느냐고 되묻고 있습니다.

사람이라면 상기될 법도 한데 안색하나 변하질 않는게 신기합니다. 아니면 늘 상기되어있는 사람일까요?

 

MR PATEL: We believe that this is something that the Israelis and the Palestinian Authority should be engaging on together in dialogue with one another. Of course the United States has made quite clear that we continue to believe that steps should not be taken to incite tension, to exasperate the situation, and that both Palestinians and Israelis equally deserve to live safely and securely. And we continue and have made this clear pretty consistently that we believe that steps that would – could potentially undermine a future two-state solution are also not helpful to this process.

---> 또다시 주어가 We인걸보니 미국의 공식입장입니다. 사실 같은 내용을 반복하고 있습니다. '그냥 양측이 잘 대화해야한다'. 놀랍게도 이게 미국의 공식입장입니다. 여기에 '두 국가 해법'에 대한 반박도 허용하고 싶어하지 않음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 일단 두 국가 해법에 대한 매우 간단한 정의는 이렇습니다. '그냥 양측의 주권을 둘 다 인정하고 공존하게 하는 방안'. 그러나 양측 모두에게 사장되고 있는 방안이라고 합니다. 가장 결정적인 계기는 팔레스타인인 50명 이상이 사상당한 2001년의 2차 인티파다intifada.

http://www.danbi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4501 

 

 

QUESTION: Yeah, but – well, whether or not their grievance or grievances are legitimate or not, where exactly are the Palestinians supposed to take them? Do they – if you don’t think that they can go or should go to the UN or to the ICC or to another international forum, where do they take them to? Where do you think they should be allowed to take them or that they should take them to? To the Israelis themselves?

---> 이에 Matt은 다시 되묻고 있습니다. '그럼 이 사람들이 이스라엘한테 직접 가서 호소하란 말이냐?'

 

 

MR PATEL: Our belief is that this is something that should be engaged on through dialogue, through diplomacy between the Israelis, between the Palestinian Authority. And of course the United States has made its opinion on this very clear.

---> 파텔 수석부대변인. 다시 한번 분명히 밝힙니다. 미합중국(We)은 양자가 대화와 외교를 통해 관여해야 한다고 말입니다. '대화와 외교를 통해'라는 말이 이토록 공허하게 느껴지긴 처음입니다. 중립은 곧 보수로 이어지는 법이라는 말이 다시끔 생각나네요.

 

 

QUESTION: Well, you haven’t made your opinion very clear. So you think that this should – that the Palestinians should take their complaints, their grievances, to the Israeli court system?

---> Matt은 역시 매우 날카롭습니다. 텅빈 말이나 해대는걸 알고서 명확히 입장을 밝히라고 하고 있습니다. '그럼 팔레스타인 사람들이 이스라엘 법정에라도 제소하라는 거냐?'

 

 

MR PATEL: I’m not just speaking about the court system specifically, Matt. I’m saying that —

 

QUESTION: Okay. Well, where?

 

MR PATEL: This is something that we think that should be addressed through dialogue and diplomacy between the Israelis and the Palestinian Authority, and we’ve said that quite consistently.

 

QUESTION: May I follow?

 

MR PATEL: Sure, Said.

 

QUESTION: So what is the status of the Palestinians in the West Bank? What is their status?

---> '이보쇼 수석부대변인씨. 서안지구에 사는 팔레스타인 사람들이 어떻게 사는지나 알간?' 

늘 하고 싶은 이야기가 많아 보였는데 정말 그럴만 했습니다. 팔레스타인인, 예루살렘 신문사 AL-Quds 워싱턴 국장, 워싱턴 DC소재 American Univercity의 겸임교수. / 늘 팔레스타인의 입장에서 질문해온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MR PATEL: I’m sorry?

 

QUESTION: What is the status of the Palestinian people in the West Bank, including Jenin, including the camp of Jenin, and everywhere else in the West Bank? How do you designate them? What kind of designations do you give the Palestinians in the West Bank?

---> '니가 팔레스타인 사람들에 대해서 뭘 알길래 함부로 이래라 저러라 하는거냐?'

 

 

MR PATEL: That they reside in that – those territories.

---> 그냥 거기 사는 사람들이죠.

 

 

QUESTION: They reside in that – they’re totally independent of the rest of the world, as if it were a different planet. Are they occupied, for instance? Do you – do you subscribe to the fact that they are under a military occupation?

---> '이보쇼. 거기 사는 사람들이긴 한데, 이 세상 모든 곳들로부터 완전히 고립된 곳라니까. 무슨 완전히 다른 행성같애. 그러면 이를테면 그 사람들은 점령당한거요? 당신은 그들이 군사적으로 점령당해 있는(under a military occupation) 사실에 동의하는 거요?'

 

 

MR PATEL: Said, let me – let me —

 

QUESTION: It’s a simple question. Are they under occupation?

---> 그냥 대답이나 혀. 팔레스타인 사람들은 점령당해 있는 거요?

 

MR PATEL: Said, let me say a couple of things to the point that I believe —

 

QUESTION: Vedant, are they occupied or are they not occupied? What is the status that you give the Palestinians right at this moment? What kind of status do they have?

---> 아, 대답이나 하라니까. 팔레스타인 사람들. 점령당해 있거요, 점령당하지 않은 거요? 지금 당신은 그 사람들이 어떤 상태에 놓여있다고 말할거요? 그들은 대체 어떤 상태에 놓여있는 것인지?

 

 

MR PATEL: Said, the recent period has seen a sharp and —

 

QUESTION: I’m not talking about a recent period. I am saying about legally, how do you designate the Palestinians in the West Bank? What is their status?

---> 난 지금 서안지구의 팔레스타인 사람들의 법적인 지위가 어떤지 좀 듣고 싶은 거여. 

 

 

MR PATEL: Said, I understand the question you’re asking, and I – as we’ve said previously, it is vital for both sides to take action to prevent even greater loss, and we condemn any violence, escalation, or provocation. We have made quite clear – and I spoke to this in addressing Matt’s question – that we believe Palestinians and Israelis equally deserve to live safely and securely.

---> 아무튼 우리 미국은 팔레스타인과 이스라엘 모두 동등히 안전하게 살 권리가 있다고 생각한다니까요.

 

 

QUESTION: Now, who guarantees that equality? Who will guarantee that Palestinians and Israelis can actually have the same equal measures, as you keep repeating? It’s not the Palestinians that keep going day after day into Israeli villages and towns and so on and attack them during night raids, killing their people. You just basically recited the Israeli story that they are nine militants killed and one civilian, as if you were sure of that fact, even before an investigation went on.

---> 그럼 대체 그 '동등함'은 누가 보장해주는겨? 우리 팔레스타인 사람들은 한밤중에 이스라엘 사람들 집에 쳐들어가서 사람죽이지 않는다니까. 그런데 너는 왜 자꾸 이스라엘쪽 입장만 반복하냐? 그리고 아직 조사도 안됐는데 어떻게 된 노릇인지 당신은 사상자를 그렇게 명확히 찝어내고 있네?

 

 

Where should the Palestinians go for protection? I’ve asked this question many times in this room. How should the Palestinians be protected?

---> 대체 팔레스타인 사람들은 어떻게 보호받을까? 이미 여러번 물어봤어. 대체 어떻게 보호받을 수 있느냔 말이냐? 

 

 

MR PATEL: Said, we have been very clear and we believe that there is an urgent need for all parties to de-escalate and to work together to improve the security situation in the West Bank.

---> 우린 양쪽 다 지금당장 진정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해요.

 

 

QUESTION: Right. But you know that we have seen Israel, as the governing authority, as the military authority, it can conduct raids anytime it wants to against any Palestinian place. We have not seen any Palestinians attack Israeli villages, for instance. So how is that equal measure? How do you guarantee it? I mean, I get lost in understanding what you’re saying in equal measures for both.

---> 그러시겠지. 하지만 알다시피 이스라엘은 정부당국이, 군대당국이, 어느때나 원한다면 팔레스타인 지역을 습격(raid)할 수 있는 반면에 팔레스타인 사람들이 이스라엘 마을을 공격한 적은 본적이 없지. 이런데 "동등한 조치"라는게 가능할지? 어떻게 보증할 건데? 난 도저히 당신이 말하는 "양측에게 동등한 조치"라는게 뭔지 이해가 되질 않아요.

 

 

MR PATEL: Said, we recognize the very real security challenges facing both Israel and the Palestinian Authority and condemn terrorist groups planning and carrying out attacks against innocent civilians.

---> 아, 우리 미국(we)은 무고한 시민들을 공격하는 테러리스트 그룹을 규탄한다니까요.

아... 힘들다.

 

QUESTION: Okay.

---> 아, 그러시겠지(앵무새마냥 빈말이나 반복해라).

 

MR PATEL: We also, again, underscore the urgent need for all parties to de-escalate to prevent further loss of civilian life and to work together to improve the security situation in the West Bank and the region broadly.

 

QUESTION: And I have a couple more; just please indulge me. If they are occupied, if you agree that the Palestinians are under occupation, is collective punishment a war crime for any captive people, for any people under occupation?

---> 아, 그러면 이건 어떨까. 만약 팔레스타인 사람들이 점령당하고 있는 중이고, 당신이 팔레스타인 사람들이 점령당하고 있는 중임을 인정한다면, 모든 납치된 사람들이나 모든 점령당하고 있는 사람들에게 연좌죄는 전쟁범죄 아닌지?

 

---> 갑자기 왜 연좌제 이야기가 나왔는지는 배경이야기를 봐야합니다. 이스라엘 당국은 이스라엘 시민을 공격한 것으로 지목된 가해자 본인뿐만 아니라, 가해자가 사는 가옥까지 봉쇄 혹은 철거해온 전적이 있기 때문입니다. 이는 이스라엘 당국에 의한 처벌적 조치라는 설명.

https://reliefweb.int/report/occupied-palestinian-territory/israel-collective-punishment-against-palestinians-enarhe

 

//  International humanitarian law, including the Hague Regulations of 1907 and the Fourth Geneva Convention, prohibits collective punishment, including deliberately harming the relatives of those accused of committing crimes, in all circumstances. Courts around the world have treated collective punishment as a war crime. However, Israel’s Supreme Court has consistently rejected the claim that the Israeli government’s practice of punitive home demolitions in Occupied Palestinian Territory amounts to collective punishment.  //

---> 연좌제는 헤이그 협약과 제네바 협약에 의해 금지된 사항이라는 보충설명. 그리고 이스라엘 법정은 자국 정부의 팔레스타인 점령지에 대한 '처벌적 가옥 철거'를 연좌죄로 인정하지 않은바가 있다는 내용.

 

 

MR PATEL: Said —

 

QUESTION: Is it your view that collective punishment is a war crime?

 

MR PATEL: Said, I’m just – I think I’ve spoken to this pretty extensively, and what I’m just going to reiterate again is that we believe that there’s an urgent need for all parties to de-escalate and to work together to improve the security situation.

 

QUESTION: Can you call on the Israelis to de-escalate? Do they listen to you when you tell them to de-escalate and not to attack —

---> 둘 다 진정하라고? 그럼 제발 이스라엘한테 좀 가서 "진정"좀 하고 공격하지 말라고 해줄래요?

 

 

MR PATEL: Said, we have —

 

QUESTION: — innocent Palestinians day-in and day-out?

 

MR PATEL: Said, we have consistently called on both sides to de-escalate, and we have consistently spoken about our – the need for both Palestinians and Israelis to equally —

 

QUESTION: Right.

 

MR PATEL: — deserve to live safely and securely.

 

QUESTION: And if they don’t listen to you, where should they go? Just to follow on where Matt began, where should the Palestinians go?

---> 그래서 Matt이 말했듯이 팔레스타인 사람들은 어디로 가야합니까?

 

 

MR PATEL: Again, Said, we continue to believe that this is something that can be discussed through dialogue and diplomacy between both parties.

---> 미합중국의 입장은 양측이 대화로 해결해야 한다는 겁니다.

 

---> 이 단락을 통해서 무엇을 느끼셨나요? 저는 이스라엘이 어떻느니 팔레스타인이 어떻느니보다는 국제사회의 비정함이란걸 엿본거 같아서 기분이 좋진 않습니다. 물론 그만둘 생각은 없지만요. 베단트 파텔이라는 한명의 인간을 같은 말을 반복하는 로봇으로 만들 수도 있는게 국제사회라는 실체인가 봅니다.

 

---> 그리고 어쩌면 베단트 파텔뿐만 아니라 수 많은 사람들, 어쩌면 우리 한사람 한사람 모두가 이미 다 앵무새처럼 같은 말만 반복하고 있을지도요.

-

 

 

뭔가 더 써보려고 했는데 눈에 띄는 토픽은 안보이네요. 박진 외교부 장관의 방미소식이 막 있었던 때인데 이것도 별다른 이야기가 없어서 생략...

 

뭔가 이야기가 있을텐데 아무래도 너무 지친거 같습니다. 아무래도 터키 F-16이야기와 이란 핵합의 관련 단락이 있긴 있는데... 놓친게 있다면 제 소양부족때문일 겁니다.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