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cjs5x5의 штрафбат

[오..누네띠네]2023.01.27. 미 국무부 언론 브리핑 中

작성자cjs5x5|작성시간23.02.28|조회수147 목록 댓글 0

살펴보니 제가 일주일에 4건을 올리고 있으니 지금 딱 1달간격이 유지되고 있는거 같습니다. 어떻게든 따라잡고 싶네요.

 

언제나 그렇듯이 번역에 태클걸어주시면 오히려 대환영입니다!

(사실 태클걸리길 바랄 지경입니다. 그래야 생산적일테니까요.)

-

 

https://www.state.gov/briefings/department-press-briefing-january-27-2023/

 

 

1. 이스라엘의 안보에 대한 미국의 공약은 여전히 철통같다.

 

MR PATEL: Good afternoon, everyone. Before we get started, I wanted to offer some comments on the news out of Jerusalem. This event just unfolded before I came down, and we are still gathering information, but the public reporting states that a gunman opened fire near a synagogue in Jerusalem. This is absolutely horrific. Our thoughts, prayers, and condolences go out to those killed and injured in this heinous act of violence. We condemn this apparent terrorist attack in the strongest terms. Our commitment to Israel’s security remains ironclad, and we are in direct touch with our Israeli partners. And our thoughts are with the Israeli people in light of this horrific attack.

---> 파텔 수석부대변인은 아래 링크한 사건에 대한 사항으로 브리핑을 시작하였습니다. 예루살렘 Silwan인근의 유대교 예배당에서 범인이 총기를 발사하여 7명이 죽고 사상자는 그의 3배가 넘을 것으로 추산되었습니다. 이스라엘 경찰은 13세 소년이 범인이라 발표하였고 그와 연관된 42명의 인물들을 체포하였다고 합니다. 그리고 같은날에 예루살렘 구시가지 외곽에서 비슷한 공격이 있었고 2명이 부상당했습니다.

https://www.bbc.com/news/world-middle-east-64430491

 

---> 이 사건에 대해 파텔 수석부대변인은 "명백히 테러리스트의 공격"이라며 그 주체를 테러리스트로 지목하고 있으며, 이스라엘의 안보에 대한 미국의 공약은 여전히 철통같다고 밝혔습니다. 네, 제 글을 계속 보신분들이면 아시겠지만 일본과 남한에 대한 표현과 같은 정도의 표현입니다. 그만큼 현재 이스라엘은 미국의 중동정책에 있어 중요한 근거지이자 구심점이라는 현실이 반영된 것으로 보입니다..

 

그 뒤로는 그 전에 서안지구에서 이스라엘에 의한 폭력사태들과 이번 사건의 연관성에 대한 질문(이라기 보다는 유도심문)들이 있었지만 파텔 수석부대변인들은 '아직 알아보는 중'이라며 대답을 회피.

 

 

 

2. 이스라엘이 핵보유국이라는 것을 인정합니까?

 

 

QUESTION: On Israel. Israel, actually.

 

MR PATEL: Okay. Go ahead.

 

QUESTION: Archbishop Desmond —

 

MR PATEL: I’ll come to you after that, Alex. Go ahead.

 

QUESTION: Thank you. Archbishop Desmond Tutu died a year ago – a little over a year ago. His last published article was an admonition to this administration entitled, “Joe Biden should end the U.S. pretense over Israel’s, quote, ‘secret’ nuclear weapons.” “The cover-up has to stop,” read the headline. And with it, he called for the U.S. to use laws to cut off funding to human rights abusers, citing Israel’s oppression of the Palestinians as well as nuclear proliferators.

 

Tutu, of course, headed the Truth and Reconciliation Commission. He ended the piece, “There are a few truths more critical to face than a nuclear weapons arsenal in the hands of an apartheid government.” Will you here today acknowledge the obvious truth that Israel has a nuclear weapons arsenal, or will you continue with this “cover-up,” as the archbishop referred to it?

---> 이 부분을 정리하자면 이렇습니다. 일단 남아프리카 공화국 대주교이자 노벨평화사 수상자인 데스몬드 투투는 생전에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문제에 대하여 - 양측에 의한 폭력사태는 반대했지만 - 이스라엘을 '아파르트헤이트'세력으로 지목하고 비판적인 입장을 취해왔습니다.

https://www.middleeasteye.net/news/south-africa-desmond-tutu-dies-what-he-said-israel-palestine

 

---> Alex라는 기자는 이 투투라는 인물이 생전에 남긴 마지막 글에서 이러한 부분들을 인용하고 있습니다. '조 바이든은 이스라엘의 비밀 핵무기에 대한 가식을 끝내야 한다', '이러한 가식행위는 끝나야 한다', '인권침해자, 팔레스타인의 압제자, 핵확산국인 이스라엘에 대한 미합중국의 자금지원법들을 중단해야한다'.

 

---> 이러한 인용과 함꼐 Alex라는 기자는 이스라엘에 대한 이러한 시각이 있으니 미 국무부의 답변을 요구한 겁니다. 뭐, 사실은 유도심문이지만요.

 

 

MR PATEL: What I will say is that we recognize the very real security challenges facing Israel and the Palestinian Authority and condemn terrorist groups planning and carrying out attacks against innocent civilians. And we also mourn the innocent – loss of innocent lives and regret injuries to civilians. But I don’t have any specific comment to offer on what you asked.

---> 이에 대한 수석부대변인 파텔의 대답은 똑같습니다. '이스라엘은 실질적인 안보위협에 처해있다. 테러리스트의 공격을 규탄한다'  그리고 질문사항에 대해서 말해줄 것은 없다.

 

 

QUESTION: Israel has had nuclear weapons for decades, and you can’t acknowledge that Israel has a nuclear weapons arsenal?

---> 이스라엘이 핵무기를 가지고 있다는건 이미 수십년전에 알려진 사항이다. 그럼에도 당신은 그 사실을 확인해주지도 못하는가?

 

---> 이스라엘의 핵무기에 대해서는 이미 인터넷에도 퍼질대로 다 퍼져있습니다. 예를 들면 이스라엘 잠수함 돌핀급 650mm 어뢰발사관이 들어가는 SLCM인 Pop-eye Turbo라던지.

https://cafe.daum.net/shogun/OCbn/521

 

 

MR PATEL: I’m going to work the room a little. Alex, go ahead.

---> 발언기회를 조금만 드리겠습니다. 더 말씀하시죠.

 

QUESTION: You expect us to believe what you’re saying from that podium, and you can’t acknowledge the empirical reality of Israel’s nuclear weapons?

---> 당신은 그 연단에서 당신이 한 말을 우리에게 믿으라하면서도, 막상 이스라엘의 핵무기에 대한 경험적 실체에 대해선 확인조차 안해주는군요?

 

MR PATEL: Go ahead, Alex.

---> 더 말씀하세요. (그리고 Alex의 마이크를 끄고 다음 질문자로 넘어감).

 

 

이 세상에선 어떤 정의는 작동하지만 어떤 정의는 작동하지 않습니다.

 

그렇다면 왜 그럴까요? 그 지점이 과학으로써의 정치학을 전부 관통하는 대통일 이론입니다. 그걸 현실주의니, 이상주의니, 구성주의니, 뭐니 이름 붙이건 간에요. 저는 당연히 그 답을 가지고 있지 못합니다. 그저 현실은 현실주의의 기반 위에서 작동한다는 것 외에는.

 

 

 

3. 시리아의 기아가 매우 심각한 상황이다.

 

 

QUESTION: Can I do a Syria question?

 

MR PATEL: Sure, go ahead, Said.

 

QUESTION: The World Food Program has warned that hunger related to Syria in Syria has reached record levels, and – because of the collapse of the financial and economic system. But it’s also exacerbated by the sanctions imposed by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especially the Caesar law or the (inaudible). Are there any plans to lift these laws or these sanctions any time soon in view of what might happen in Syria?

---> UN세계식량계획(WFP)이 경제붕괴로 인한 시리아의 기아상황이 '기록적(record levels)'이라고 경고했다고 합니다. 그리고 이러한 기아는 시저법(Caesar law)을 포함한 미항중국의 대시리아 제재로 인해 심화되었다는 첨언도 있었습니다. 이에 Said기자는 대시리아 제재가 풀릴 가능성이 있느냐고 질문하고 있습니다. 

 

---> 시저법(Caesar Syria Civilian Protection Act)은 시리아 아사드 정권의 수감시설에서 일하다 인권유린을 폭로한 Caesar라는 이름의 사진작가 이름에서 유래되었다고 합니다. 아사드 정권 그리고 관련인물 및 단체의 경제적으로 제재하는게 골자입니다. 그런데 민간인들의 삶을 보호하려던 이 법률이 도리어 시리아의 화폐가치를 폭락시켰고 재건사업을 위한 해외원조에 지장을 주고 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습니다.

 

---> 그리고 이러한 아사드 정권의 뒷배가 되어왔던 러시아가 이 지점을 파고들고있습니다. 미국은 2월에도 시저법을 철회할 뜻이 없음을 밝혔다네요.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A2021021817500002513

 

 

MR PATEL: There are not, Said. The United States, I will say, is the leading donor of humanitarian aid for the Syrian people, including Syrian refugees and their host communities. Our humanitarian aid includes funding for early recovery programs implemented by independent and impartial humanitarian agencies on the basis of need. These programs ensure Syrians in need have more sustainable access to basic services for themselves and their families.

 

As it relates to sanctions, though, Said, the United States will continue to hold Assad and his regime to account for their atrocities against the Syrian people, some of which amount to war crimes and crimes against humanity. Our sanctions, including the ones under the Caesar Act, as you noted, remain in full force and are an important tool to press for accountability for the Assad regime. We condemn in the strongest possible terms any use of chemical weapons anywhere by anyone under any circumstances.

--->  파텔 수석부대변인은 기존의 원조는 지원하지만 대시리아 제재를 철회할 생각은 없음을 딱 잘라서 밝히고 있습니다.

 

 

QUESTION: But these sanctions are really hurting the average Syrian more than anyone. And it may usher in a new wave of refugees leaving the country.

 

MR PATEL: Said, I don’t want to get into a speculative debate. But what I will say is reiterate that we are the leading donor of humanitarian aid for the Syrian people, and we will continue to use the tools in our arsenal to hold the Assad regime accountable for its actions against the Syrian people.

 

 

그리고 정의라는 것도 참 어려운 겁니다. 무엇이 정의인가?

 

저를 포함해서 그걸 확실히 아는 사람이 있었다면 마이클 샌델의 그 읽기도 힘든 책은 잘 팔리지 않았을 겁니다.

-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