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cjs5x5의 штрафбат

[오..누네띠네]2023.02.01. 미 국무부 언론 브리핑 中

작성자cjs5x5|작성시간23.02.28|조회수134 목록 댓글 0

배가 고프지만 오늘은 첫번째 브리핑이 짧아서 시간과 기운이 좀 남네요. 당장 내일이면 3월인데 브리핑은 이제 막 2월 1일이니 세상 참 빠릅니다.

 

언제나 그렇듯이 번역에 태클걸어주시면 오히려 대환영입니다!

(사실 태클걸리길 바랄 지경입니다. 그래야 생산적일테니까요.)

-

 

https://www.state.gov/briefings/department-press-briefing-february-1-2023/

 

* 이번 브리핑에는 미국의 UN대사 Thomas-Greenfield가 동석하였음.

 

 

 

1. UN에서의 남한과 북한사항들.

 

 

MR PATEL: Janne.

 

QUESTION: Thank you. Thank you. Good to see you. I have a few questions, and one on South Korea and one on North Korea.

 

South Korea is trying to join as one permanent members of the UN Security Council. Will the U.S. support this?

---> 북한과 남한에 대한 질문이 하나씩. 그중에 남한에 대한 것. 남한이 UN안보리의 상임이사국이 되려 시도하고 있다. 미합중국이 지원해줄 것인지?

 

 

AMBASSADOR THOMAS-GREENFIELD: We have started discussions. As you know, the President announced in September during High-Level Week that we support UN Security Council reform and we support additional permanent members of the Security Council as well as new elected members of the Security Council. We have not stressed or stated what countries that will be other than the fact that we do support new members coming from Africa and Latin America.

---> 이제 막 논의를 시작한 사안이다. 일단 UN안보리 개편과 추가적인 상임이사국 임명은 지지하고 있다. 하지만 어느 특정국가를 상임이사국으로 지지할지는 아직 밝히지 않았고, 지지하더라도 아프리카나 남미쪽을 지지할 것이다.

 

 

QUESTION: And on North Korea —

 

MR PATEL: Nike?

 

QUESTION: One more. In response to North Korea’s provocations, the U.S. is maintaining its military deterrence through expanded deterrence. However,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in the UN Security Council are not being properly implemented. What sanctions are you taking against countries that are in violation against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As you know, China and Russia are using their veto power to protect North Korea from North Korea’s illegal nuclear and missile propagations.

---> 북한의 도발행위에 대해서 미국은 확장억제를 유지하고 있으나 유엔안보리를 통한 북한제재는 정상적으로 구현되고 있지 않다. 그렇다면 북한제재에 반하는 국가에 대한 제재는 어떤 것들을 취하고 있는가? 이미 알다시피 중국과 러시아가 북한의 불법 핵과 미사일 증강행위를 보호하기 위해 비토권을 행사하고 있는데 말이다.

 

 

AMBASSADOR THOMAS-GREENFIELD: You’re reading my talking points.

 

QUESTION: Is it – thank you. Is it possible to deprive Russia and China of their veto power in the UN Security Council?

---> 그냥 UN안보리에서 중국과 러시아의 비토권을 박탈할 수는 없는 것인지?

 

 

AMBASSADOR THOMAS-GREENFIELD: We have pushed hard in the Security Council to produce products condemning the actions of the DPRK. And as you noted, both China and Russia have consistently protected DPRK from the actions of the Security Council. They have the veto power, and they have used that veto power. And unfortunately, the Security Council, the other 13 members of the Security Council, have been consistent and strong in wanting to condemn DPRK, and we will continue to work to do that, particularly as we see more and more tests being done by the DPRK.

---> 시원하게 그렇다, 아니다라는 답이 돌아오진 않았습니다. 안보리 회원국들은 계속 북한을 규탄할 것이라는 답변정도.

 

 

 

2. 아프리카와 우크라이나에 대한 미국 UN대사 코멘트

 

 

MR PATEL: Is this on her trip, Nike?

 

QUESTION: Yes.

 

MR PATEL: Go ahead.

 

QUESTION: Thank you so much for talking to us. Could you talk about Chinese footprint and Chinese influence in the African continent? In your conversation with officials there, what’s in their mind? What are they concerned of? And then, do you have a U.S. message regarding Russia’s war on Ukraine?

---> UN대사가 아프리카 순방을 다녀오셨는데 현지 당국자들이 말하는 중국의 영향력을 물어보았고, 우크라이나 전쟁에 대한 미합중국의 메세지가 있는지도 물어보았습니다.

 

 

AMBASSADOR THOMAS-GREENFIELD: Look, we – we’re not asking African countries to choose between their friends and choose who they will partner with. Our message to Africa has been one of our strong partnership, our strong engagement on the continent, and that engagement has been consistent for decades. We’re not new to the African continent; I’m not new to the African continent. As you can see from my bio, I’ve spent most of my career on the continent, including as serving as the assistant secretary of state. So again, our message is about what we do and how strong our engagement is.

---> 일단 아프리카에 대해선 미국은 중국과의 양자택일을 아프리카에 강요하지 않는다고 합니다. 그리고 아프리카와 미국의 파트너쉽과 관여는 수세기동안 계속 되어왔다고 하네요.

 

 

In terms of our message on Ukraine and the war in Ukraine, our message is also very consistent: Russia’s unprovoked war on Ukraine is also an attack on the UN Charter. It is an attack on the sovereignty and independence of a smaller neighbor. And it is important that we stand together, united, and condemn those actions. And we have been successful in the UN General Assembly, getting 141 votes and then 143 later, condemning Russia’s attempt to annex parts of Ukraine.

---> 두번째 질문에 대한 대답도 간단합니다. '러시아가 우크라이나에 대해 일으킨 정당하지 않은 전쟁은 UN헌장에 위배된다'. UN헌장의 내용이 무엇인지는 아래 링크하겠습니다. 실제로 중요한 포인트는 UN헌장은 중국이 남중국해에 대해서 자주쓰는 레퍼토리라는 점에 있습니다. 즉, 중국의 논리로 중국에게 우크라이나 전쟁에 대한 지원을 멈추라는 논리를 내세우고 있는 겁니다.

 

---> UN헌장 나오는 부분.

https://cafe.daum.net/shogun/OCbn/472

 

* 그리고 오늘도 팔레스타인인 기자 Said의 질문은 외면당했습니다. 그나마 이스라엘은 1967년 전쟁으로 인해 가자와 서안지구를 점령하고 있는게 사실이며, 미국도 줄곧 그 지역들이 점령상태라는 입장이라는 답을 얻어내긴 했습니다.

-

 

 

3. 아직도 중국이 러시아를 지원하고 않다고요?

 

 

MR PATEL: Go ahead. Go ahead, Nike.

 

QUESTION: Sure. The U.S. Treasury has sanctioned a Chinese company for providing satellite imageries of Ukraine to Wagner Group’s combat operation for Russia. So as the Secretary of State Blinken is preparing his meetings in Beijing, what is the U.S. message to PRC and is it still the State Department’s assessment that PRC Government is not providing any material or security assistance to Russia?

---> 언뜻보면 놀라운 이야기가 나왔습니다. 미 국무부가 평가하기로는 아직도 중국정부가 러시아에게 그 어떤 물자나 안보지원을 제공해주지 않았느냐는 질문.

 

 

MR PATEL: Our assessment hasn’t changed, Nike. We are closely monitoring the situation, as we have been. And we continue to communicate to China the implications of providing material support to Russia’s war against Ukraine. We’ve also continued to be clear in public and in private with any country that, as it relates to the conflict of Ukraine, Russia is very clearly, publicly violating Ukrainian territorial integrity and Ukrainian sovereignty, and we’ll continue to raise that wherever we can.

---> 확실히 미 국무부의 평가는 바뀌지 않다는 대답이 돌아왔습니다(웬일로?). 상황을 면밀히 주시하고 있다는 말까지 붙여서 말입니다. 그리고 미국은 계속 중국에게 러시아의 전쟁을 지원하지 말아야할 함의를 전달하고 있다고도 합니다.

 

 

QUESTION: And Chinese President Xi Jinping may visit Moscow in February by invitation from the Russia. Do you – how close are you watching this potential visit and what – do you have anything on the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China and Russia? Thank you.

---> 브리핑이 진행된 2월 1일 기준으로 시주석이 2월중에 모스크바에 방문할 가능성이 있지 않느냐며 중국과 러시아의 외교적 관계에 대한 것들을 질문했습니다.

 

---> 하지만 현재 2월 28일 기준으로 시주석의 방러는 성사되지 않았습니다. 대신 왕이 외사판공실 주임(= 외교부장보다 위의 직책, 현재 외교부장은 친강)이 모스크바로 가서 푸틴을 면담했습니다. 어쩌면 시주석은 방러안할지도...?

https://www.voakorea.com/a/6973815.html

 

 

MR PATEL: So I will let these two countries speak to their own bilateral relationships. But again, on the situation broadly, we continue to monitor and pay close attention. The PRC has made its alignment with Russia clear through its rhetorical support of Russia’s war, its support for Russia in multilateral fora, as well as the amplification of Russian disinformation. But I’ll let these two countries speak to their own multilateral – bilateral relationship.

---> 파텔 수석부대변인은 두 국가의 양자관계에 있어선 그냥 냅두겠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유는 모르겠지만 이 말은 놀랍게도 왕이 외사판공실 주임의 발언과 비슷합니다. 바로 위 링크한 기사의 일부분. 아무래도 그 UN헌장의 원칙들 때문일까요?

 

//  왕 위원은 푸틴 대통령에게 우크라이나 전쟁에 대해 언급하면서 “중국은 과거처럼 객관적이고 공정한 입장을 확고히 지키고 위기를 정치적으로 해결하는 데 건설적 역할을 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특히 “러시아와 중국의 포괄적인 전략적 동반자관계는 결코 제3자를 겨냥한 것이 아니”라면서 “제3자의 간섭과 도발의 대상이 아니라는 점을 다시 한 번 강조하고 싶다”고 말했습니다.  //

 

 

 

4. 남한이 우크라이나에게 무기를 지원?

 

MR PATEL: Hold on. Hold one second. Follow-up on Ukraine, then I’ll go to you, Alex.

 

Go ahead, Janne.

 

QUESTION: Yeah. Thank you, Patel. NATO Secretary General Stoltenberg met with the South Korean President Yoon Sun Yeol in South Korea a couple days ago to ask for arms support to Ukraine. If South Korea provides weapons to Ukraine, how do you think it will affect the Korean peninsula?

---> 1월 30일. NATO 사무총장 스톨렌베르크가 방한하여 윤석열 대통령에게 “한국이 군사적 지원이라는 특정한 문제에 나설 것을 촉구한다”고 발언했다. 만약 남한이 우크라이나에게 무기를 제공하면 한반도에 어떤 영향이 끼칠까라는 질문.

https://www.hani.co.kr/arti/politics/diplomacy/1077548.html

 

 

MR PATEL: Well, Janne, what I will say is that it is, of course, in each country’s independent, sovereign decision to offer security assistance to any other country. Obviously as it relates to Ukraine, the United States has had a pretty clear track record of providing security assistance to our Ukrainian partners. That will continue to persist. I will of course let the South Koreans speak to their own efforts as it relates to our Ukrainian partners, but what I can say broadly is that, of course, South Korea is an important ally and partner in the Indo-Pacific as it relates to a variety of shared priorities between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United States as well.

---> 한 마디로 말하자면 '남한사람들이 알아서 할 일이다'로 보입니다.

 

 

5. New START 협정 중단의 징조?

* 푸틴은 2월 25일 New START 참여중단을 선언하였음.

 

QUESTION: So the State Department yesterday announced that Russia is noncompliant with the New START Treaty. So what happens now?

---> 바로 어제(1월 31일) 미 국무부가 러시아가 New START 협정을 준수하지 않고 있다고 발표했는데, 무슨 일이 일어났느냐는 질문.

 

MR PATEL: Well, as I said, Russia – as we said yesterday, Russia is not complying with its obligations under the New START Treaty to facilitate inspections on its territory. And its refusal to facilitate inspection activities prevents the United States from exercising important rights under the treaty and threatens the viability of U.S.-Russian nuclear arms control.

 

There is a clear path for returning here. All Russia needs to do is to allow inspection activities on its territory, just as it did for years under the New START Treaty, and meet in a session of the Bilateral Consultative Commission. There is nothing preventing Russian inspectors from traveling the United States and conducting inspections.

---> 요약하자면 러시아가 자국내 관련시설의 시찰을 불허했다는 겁니다. New START 협정에 의해 미합중국에게 시찰받아야 하는데도 말입니다.

 

 

QUESTION: Has there been any effort to reach out to the Russians since that announcement was made?

---> 그럼 이 일이 일어나기 전에 러시아측에 관련된 의사표현은 했느냐는 질문.

 

MR PATEL: I don’t have any specific diplomatic engagements to read out, Camilla, but the path here is very, very clear and very straightforward. The Russian Federation, all they need to do is to allow inspection activities on its territories, just as it’s done for years.

---> 그에 대해서는 답변해주지 않네요.

 

 

 

6. 이란 핵합의(JCPOA)는 지난 몇 달동안 우리의제가 아니었다.

 

 

MR PATEL: Go ahead in the back. I’ll come back to you, Alex.

 

QUESTION: On Iran, the Iranian foreign minister, Hossein Amir-Abdollahian – Abdollahian, after his meeting with the Qatari foreign minister, he said that we’ll see what Tehran has to say with a message from the world powers regarding the JCPOA. And after that, Iranian media reported that the top Qatari officials said that the message was from the U.S. Have you sent any message to the Iran regarding JCPOA? If say so, what was the message?

---> 간단히 말해서 미국은 이란에게 이란 핵합의(JCPOA)에 대한 어떠한 입장을 보낸적이 있으며, 어떤 내용의 입장이었는지를 묻고 있습니다..

 

 

MR PATEL: I think I have been very clear from this podium a number of times, and so I will say it again, that the JCPOA has not been on the agenda for months. It is not our focus. The Iranians killed the opportunity for a swift return to full implementation of the JCPOA back in September when they turned their backs on a deal that was on the table approved by all. Since September, our focus has been standing up for the fundamental freedoms of the Iranian people, standing with the Iranian people, and countering Iran’s deepening military partnership with Russia and its support for Russia’s illegal war in Ukraine.

---> 파텔 수석부대변인에 의하면 이란 핵합의(JCPOA) 지난 9월에 이란측에 의해 나가리 되었고 이젠 더이상 미국의 관심사가 아니라고 합니다. 이는 지난 12월 20일 악시오스 기사에서 나온 바이든 대통령의 발언과도 일치하고 있습니다.

https://www.axios.com/2022/12/20/biden-iran-nuclear-deal-dead-video

https://www.hani.co.kr/arti/international/international_general/1072484.html

//  20일 미국 언론 <악시오스>는 조 바이든 대통령이 지난달 4일 중간선거 직전 투표 독려를 위해 캘리포니아를 방문한 현장에서 한 여성 시민과 나눈 대화 영상을 공개했다. 트위터에 공유된 영상을 보면, 현장의 한 시민은 바이든 대통령에게 “‘핵합의’(JCPOA)가 끝났다(dead)고 발표해줄 수 있느냐”고 질문했고 이에 대해 바이든 대통령은 “안 된다(No)”고 답변한다. 이어 시민이 “왜 안 되느냐” 거듭 묻자 바이든 대통령은 “많은 이유가 있다. 그것은 끝났지만(it is dead) 우리는 공식적으로 발표하지는 않을 것이다. 긴 이야기가 있다”고 답한다. 대화를 이어가며 이 시민은 “이란 정부는 국민을 대표하지 않는다”고 말했고, 바이든 대통령도 “그들이 당신을 대표하지 않는다는 것을 안다”고 말했다.  //

 

//  이 보도에 대해 백악관 안보 대변인은 <악시오스>에 “이란 핵협정은 당장 집중할 문제가 아니다. 우리의 의제가 아니다”라며 “우리는 핵협정 복원 협상이 곧 성사될 것으로 보지 않는다. 우리의 초점은 이같은 문제에서 그들에게 맞설 실질적인 방법에 대한 것”이라고 답했다.  //

 

---> 현재 이란에 대한 미국의 관심은 핵합의가 아니라 실질적 자유의 확대와 이란과 러시아의 군사적 파트너쉽에 있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 그래서 중동에서 핵을 보유한 이스라엘의 가치가 더 높아진걸까요?

-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