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cjs5x5의 штрафбат

[오..누네띠네]2023.03.01. 미 국무부 언론 브리핑 中

작성자cjs5x5|작성시간23.03.28|조회수63 목록 댓글 0

자! 두번째를! 할거에요.

 

언제나 그렇듯이 번역에 태클걸어주시면 오히려 대환영입니다!

(사실 태클걸리길 바랄 지경입니다. 그래야 생산적일테니까요.)

-

https://www.state.gov/briefings/department-press-briefing-march-1-2023/

 

 

1. 남한이 러시아에게 수출제재를 확대했어요.

 

Yes, Janne.

 

QUESTION: Thank you, Ned. I have two questions. Regarding Russia, South Korea has expanded export sanctions to Russia. Meanwhile, Russia warned South Korea about the threat to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Can this be seen as meaning that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depends on Russia?

---> 남한이 러시아에게 수출제재를 확대하자, 러시아측은 남한이 한반도의 평화를 위협하고 있다고 경고했다고 합니다. Janne는 한반도의 평화가 러시아에 달려있을 수 있다고 볼 수 있느냐고 질문.

https://www.sisajournal.com/news/articleView.html?idxno=257510 

//  자하로바 대변인은 “이는 집단적 서방의 첫 번째 (대러) 제재 패키지에 한국이 동참한 뒤 심각하게 손상을 입은 러·한 협력을 명백히 훼손할 것”이라며 “한국의 비우호적 행동은 종합적 양자 관계뿐 아니라 한반도 문제(북핵 문제) 해결 분야 양국 공조의 질에도 반영될 것”이라고 말했다.  //

 

MR PRICE: I think principally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is under the purview of the countries on the Korean Peninsula. This is principally a matter between the ROK and the DPRK. Of course, the ROK is a treaty ally of ours. We have a steadfast commitment to the security of the Republic of Korea, of our other treaty ally that is consistently threatened by the DPRK – Japan. We are going to stand by those commitments in the face of the DPRK’s continued provocations, its testing of ICBM systems, its launches of ballistic missiles, its other malign and provocative activities. You have seen us in word and in deed underscore the commitment we have to our South Korean allies, to our Japanese allies, even as we have also underscored our willingness and our readiness to engage in serious dialogue and diplomacy.

 

It is the DPRK that has consistently turned down those offers; it has consistently failed to pursue the outstretched hand that we have extended. It is the DPRK that has consistently ignored our very simple statement that we harbor no hostile intent towards the DPRK. Our only intent is to find ways to meaningfully advance what is our ultimate policy goal, and that’s the denucleariz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 한마디로 말해서 프라이스 대변인은 러시아는 남한 및 북한에 대해서 아무것도 아니라는 태도를 취했습니다. 일단 남한은 미국의 안보공약이 미치는 동맹국임을 명백히 밝혔습니다. 그리고 북한은 미국의 한반도 정책의 대상입니다. 그리고 그 한반도 정책의 궁극적 목표는 통일이라던가 정권교체라던가 그런게 아닙니다(그래서 늘 미합중국은 북한에게 적의가 없다는 말을 꺼내는 걸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냥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입니다.

 

프라이스 대변인은 마치 한반도에 있어서 러시아의 역할이 없다는 듯이 러시아의 역할같은 말은 단 한마디도 말하지 않았습니다. 더이상 6자회담 체제도 아니니까 사실이 그러하기도 합니다.

 

 

 

2. 한미일 3국협력. 그리고 한일관계에 대하여

 

QUESTION: Follow-up?

 

MR PRICE: Follow-up on this? Sure, go ahead.

 

QUESTION: The U.S. has stressed the importance of cooperation between the United States, South Korea, and Japan in dealing with North Korea. But South Korea-Japan relations have not – have been less than great over the past few years. Yesterday, South Korean President Yoon Suk Yeol made an apparent overture toward Japan, calling it a partner who shares the same values. So I was wondering if you have any comments or reaction to the South Korean president’s message or remarks.

---> 한마디로 북한을 상대하는데 있어 미합중국은 한미일 3국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하는데, 최근 한일 관계가 개선되는 조짐을 보이고 있다. 특히 브리핑 전날에 윤석열 대통령이 일본을 향해 같은 가치를 공유하는 파트너라는 호칭을 쓰면서 전향적인 입장을 취했다. 이러한 윤대통령의 발언에 대한 미 국무부의 임장을 묻고 있습니다.

 

 

MR PRICE: Absolutely. So first, let me say generally that bilateral cooperation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our treaty allies is important, but so too is trilateral cooperation. And trilateral cooperation is an area in which we have invested much of our energy. President Biden and his South Korean and Japanese counterparts sat down at the leader level – the first time a leader-level trilateral engagement has taken place in some five years. Secretary Blinken, Deputy Secretary Sherman, our Special Envoy for the DPRK Sung Kim, and others have participated in trilateral engagements precisely because this is such an important forum for us collectively to address the threats and challenges that the DPRK poses. But this is also a forum that is so valuable for broader challenges as well as opportunities within the Indo-Pacific region and beyond.

---> 일단 프라이스 대변인은 미합중국은 분명 한미일 3국협력을 중시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에너지를 쏟았음을 말했습니다. 그리고 이 3국협력은 북한의 위협과 도전을 위한 것일 뿐만 아니라 그 이상의 도전과 인도-태평양과 그너머의 기회를 위한 것이기도 하다는 점도 첨언. 

 

 

When it comes to President Yoon, he has articulated a vision for a more cooperative, future-oriented relationship with Japan based on the shared values that those two countries have together. We very much support this vision, and we further believe U.S.-ROK-Japan trilateral cooperation is critical to addressing the challenges that our three countries collectively are confronting in the 21st century. We’ll continue to move forward trilaterally to embrace opportunities to advance our common regional and international priorities, and we applaud – we do applaud – both the Republic of Korea President Yoon and Japanese Prime Minister Kishida for their efforts to improve bilateral relations in recent months. We’re encouraged that Japan and the ROK are working together to resolve their history-related issues in a way that promotes healing and reconciliation, and we’ll continue to be a stalwart ally to both bilaterally, but again, in the trilateral context as well.

---> 그래서 미국은 윤대통령의 발언과 한일의 과거사 문제에 관련된 노력들에 어떠한 행보에 어떠한 반응을 보였냐고요? 기립박수를 쳤습니다. 말 그대로요(we applaud, we do applaud). 과거사 문제가 실제로 어떻게 되든 미국은 신경안씁니다. 그래서 "in a way that promotes healing and reconciliation / 치유와 화해를 증진시키는 방식으로"라는 무신경의 끝을 보여주는 표현까지 나왔죠. 피해자분들이 직접 이 대목을 보신다면 얼마나 대성통곡하실지...

 

---> 이 대목에서 저는 팔레스타인 문제가 나올때마다 Said가 어떤 마음과 갑갑함을 느끼고 있는지 그것의 10분의 1도 안되는 강도로나마 체감이 되는거 같습니다. 미국인들은 x도 신경안씁니다. 그게 미국입니다.

 

--->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국은 우리의 유일한 동맹국이며 같이 피를 흘렸던 혈맹이기도 합니다. 물론 이 세계에서 국익을 초월하는 신화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신화'라 부를만한 서사가 국가간의 관계에 존재한다면 그 서사는 마땅히 국익을 위해 활용되어야 할 재료일 것입니다.

 

 

QUESTION: (Inaudible) talking about the Japanese making another unreasonable claim that Takeshima, Dokdo, is Japanese territory. How do you think Japan’s assertion will affect the trilateral cooperation between the U.S. and South Korea and Japan?

---> 그런데 일본은 계속 독도를 자국 영토로 주장하고 있다. 이게 한미일 3국협력에 영향을 끼칠것이라 생각하느냐는 질문.

 

MR PRICE: There remain issues for our allies to work out among themselves, to discuss among themselves, and we hope to find a productive way forward that will allow us to continue the progress that we’ve seen in the context, in the bilateral context between Japan and the ROK in recent months, and that will allow us to build on the progress that we’ve seen in the trilateral context between Japan, the ROK and the United States over the course of the past two years.

---> 독도에 대한 미국의 입장요? 그런거 없습니다. 위에서 말씀드렸듯이 미국은 그런거 x도 신경 안씁니다. among themselves. 이게 다입니다. 미국에게 중요한건 이런 잡다한 rubbish는 어떻게 되건 빨리 치우고 한미일 3국협력을 공고히하는 것입니다.

 

---> 이 세계에서 국익을 초월하는 신화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내 나라의 국익은 내가 스스로 챙겨야 합니다.

 

"사실, 옳고 그른 것은 오직 양측의 힘이 동등한 관계에서만 의미가 있는 문제라는 것을 여러분도 우리만큼이나 잘 알고 있을 것이오. 현실 세계에서는 그저 강자는 자신이 원하는 대로 행동하고 약자는 어쩔 수 없이 고통을 감내할 수밖에 없는 법이오."

 

펠레폰네소스 전쟁도중에 아테네에 의해 일어난 학살에 대한 아테네인의 이 발언은 자만심의 발로일 수도 있지만, 현실 그대로일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물리적으로나 사회적으로나 완전히 무력한 존재가 되어봤던 저의 개인적인 경험에 의하면 현실 그대로에 가까워 보이네요.

-

 

그 외 중국이나 다른 내용들도 있지만 이전에 이미 다뤘던 토픽들이라 생략.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