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cjs5x5의 штрафбат

[오..누네띠네]2023.03.06. 미 국무부 언론 브리핑 中

작성자cjs5x5|작성시간23.03.29|조회수61 목록 댓글 0

3월 2일자 브리핑도 있는데 제눈에 띄는 토픽은 보이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생략하고 3월 6일자로 넘어갑니다.

 

언제나 그렇듯이 번역에 태클걸어주시면 오히려 대환영입니다!

(사실 태클걸리길 바랄 지경입니다. 그래야 생산적일테니까요.)

-

https://www.state.gov/briefings/department-press-briefing-march-6-2023/

 

 

1. 한일 과거사 문제관련 미 국무부 입장

* 한국측 윤석열 행정부의 '제3자 변제'안 발표에 대한 미 국무부 입장표명 

MR PRICE:   Good afternoon.  Welcome back to all of those who were traveling with Secretary Blinken.  Welcome to the week to everyone else.  I have one announcement at the top and then we’ll turn to your questions.

 

As President Biden and Secretary Blinken have stated, the United States welcomes the historic announcement that bilateral discussions between the Republic of Korea and Japan to resolve sensitive historical issues have concluded.  We encourage the ROK and Japan to build on this step to continue to advance their bilateral relations.

 

The Republic of Korea and Japan are two of our most important allies in the Indo-Pacific and globally, and stronger ties between them advance our own shared goals.

 

The trilateral relationship between the United States, the ROK, and Japan is central to that shared vision of a free and open Indo-Pacific region, which is why we have invested so much time and so much focus on this critical partnership.  Specifically, we have had roughly 25 senior‑level trilateral engagements with Japan and the ROK over the course of this administration.  This includes engagements from Secretary Blinken, Deputy Secretary Sherman, Special Representative for the DPRK Sung Kim, and of course from President Biden himself.

 

We look forward to continuing to strengthen our trilateral partnership to help bring about a safer and more prosperous world.

---> 한마디로 정리하자면 미국은 한국과 일본의 과거사 문제 합의에 대하여 환영의 뜻을 밝히고 있습니다. 그리고 한미일 3국협력에 매우 큰 중요성을 부여하고 있습니다(검은 강조표시들). 대놓고 our most important allies라고 할 지경으로요.

 

---> 이전 브리핑들을 읽어오신 분들이 있다면 미국은 한일 과거사 문제가 어떻게 풀리느냐보다는 과거사 문제가 풀리는 것 자체에 관심을 많이 가졌다는 저의 서술을 보셨을 겁니다. 정확하게 미국의 입장에선 대중국 전선이 급한데 그런 rubbish따위는 빨리 치워버리고 싶었을 겁니다. 어제 썼듯이 미국은 x도 신경안씁니다.

 

---> 우리나라는 미국에게 한미일 3국협력에 매우 적극적으로 협력하는 동시에 일본과의 과거사 문제에 대해서는 단호한 입장을 취했어야 합니다. 이른바 투트랙이라 부르는 그런 전술 말입니다. '우리는 한미일 3국협력을 하고 싶다. 하지만 일본이 과거사 문제에 대해서 우리의 실질 영토인 독도까지 건드려가면서까지 강짜를 부리고 있으니 우리정권이 곤란한 입장에 처해있다'는 메세지를 보내며 귀책사유를 일본에게 돌릴 필요가 있었습니다.

 

---> 하지만 현실은 우리쪽이 아무런 노력없이 일방적으로 숙이고 들어갔습니다. 과거사 문제는 일본 일방의 의사대로 포기해주었고 독도 문제에 대해서조차 의구심을 남기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런 전례가 또다시 생겨버렸으니 과거사 문제는 정말 풀기 어려워졌습니다. 이제는 일본이 그냥 '쟤네가 이미 결론난 이야기를 또 들먹거리면서 한미일 3국협력을 깨려 해요'라고 말하기만 하면 되는 상황이 조성됐습니다.

 

---> 하지만 어찌 할까요. 이게 사실이라면 사실인 것을. 미국은 x도 신경안쓰고 일본은 매우 유리한 고지를 점거했습니다. 그 속에서 어떻게든 해보는 수 밖에요.

 

 

 

2. 많은 한국인들은 이번 해법에 동의하지 않아요

 

 

Janne.

 

QUESTION:  Thank you.  Regarding the – I’m sorry.  Regarding the South Korea and Japan did make a decision on historic resolutions, many Koreans still do not agree on the solution of the history between South Korea and Japan, and this is because Japan has not formally apologized.  How do you feel on this?

---> 많은 한국인들은 이번 해법에 동의하지 않아요. 왜냐하면 일본이 제대로 사과하지 않았거든요. 이 점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한국계 미국기자 Janne Pak. 늘 한국관련 질문을 합니다. 평소보다 감정이 실린거 같기도?

 

MR PRICE:  Well, first and foremost, we’ve heartily welcomed the announcement between these two allies of ours, Japan and the ROK.  These issues of history are difficult.  They are complex.  They are complicated.  But both President Yoon, Prime Minister Kishida have demonstrated bold vision.  They have demonstrated courageous leadership by taking this step forward.

 

The United States is an ally to both of these countries.  We have rock-solid – we have a rock-solid bilateral relationship with both Japan and the ROK.  We have sought from the earliest moments of this administration to deepen and to advance the trilateral relationship, and I spoke a moment ago to some of the metrics that speak to that, some 25 trilateral engagements, several on the part of Secretary Blinken and his ministerial counterparts, several on the part of Deputy Secretary Sherman and her counterpart, Sung Kim and his counterparts, in person, over the phone, as well of course with the leader-level engagements that President Biden has taken part in as well.

 

And we’re doing that because the trilateral relationship is critical to a vision we share with both countries for a free and open Indo-Pacific.  You can talk about in terms of specific issues, in terms of the importance of trilateral cooperation on the challenges that are posed by the DPRK, but it’s also in some ways broader than that.  These are countries with whom we share interests, we share values, and at the crux of both those interests and those values is that very same vision for a free and open Indo-Pacific.

 

So we very much welcome the step forward that Japan and the ROK announced today, and the United States is going to continue to be a partner to do what we can to help these countries as they continue to take additional steps.

---> 네. 한마디로 말하자면 이번 결정에 대해 미합중국은 매우 진심으로 반기고 있다(heartily welcomed, very much welcome)는 겁니다. 왜냐하면 한미일 3국협력은 북한에 대항하는 것뿐만 아니라 그 너머에까지 가치가 있거든. 브리핑 시작할때랑 똑같은 말을 다시 반복한겁니다.

 

---> 그래서 무슨 말을 했냐고요? 네. 한국사람들의 부동의에 대한 대답이라기보다는 자국의 입장을 이야기한겁니다. 

말을 주의해서 골라하는거 같더라구요. 하지만 매우 차분하기도 했습니다.

 

이에 대해서 Janne는 질문을 바꿔서 해봅니다.

 

QUESTION:  Do you think Japanese should be – apologize to victims, not the government?

---> 당신은 일본인들이 정부가 아니라 피해자들에게 사과해야한다고 생각하나요?

* 이 질문은 개인 청구권을 염두해 둔 질문으로 보입니다. 또한 이번 합의에서 주체는 양국 정부였지 피해자는 철저히 외면당하기도 했고요.

 

 

MR PRICE:  These are not questions for the United States to answer.  These are discussions that Japan and the ROK, our dear allies, are having between themselves.  That is the appropriate forum for these questions.

---> 이 질문에 대해 프라이스 대변인은 재빠르게 미국이 할 답변이 아니다. 이번 합의는 일본과 한국이 자기네들 스스로 한 거니까 그쪽에다가 물어보라고 대처하네요.

그런걸 왜 물어보나? 우린 그런거 x도 신경 안쓴다니까.

 

QUESTION:  One more.  South Korean National Security Advisor Kim Sung-han and Secretary Blinken are meeting today.  Why did National Security Advisor Kim suddenly visit to U.S., and what topic will they be talking about?

---> 브리핑 당일날 한국의 국가안전보좌관인 김성한씨가 미 국무장관 블링컨과 미국에서 회담을 가졌나 봅니다. 갑자기 알려진 일정같은데 무엇을 위한 일정인지 묻고 있습니다.

 

 

MR PRICE:  I don’t know that it was a sudden visit.  I think this visit has been on the books for some time.  Of course, it does come on a historic day in the context of our relationship with the ROK and with Japan as well.

---> 일단 급작스러운 일정은 아닌거 같다고 운을 뗍니다.

 

They’ll discuss a number of issues.  They’re going to discuss how our two countries can continue to work together collaboratively to support our partners in Ukraine, to ensure our countries’ economic security and economic prosperity.  The Secretary, of course, will welcome the announcement between the ROK and Japan that we’ve been speaking to, and he will reinforce our commitment to extended deterrence in the face of the DPRK threat.  I do expect that we’ll have additional details after the meeting today, and we’ll be sure to share that.

---> 그리고 그 둘의 만남에선 우크라이나에 대한 지원문제, 경제안보와 번영에 대한 사항이 다뤄질 것이라고 합니다. 또한 블링컨 국무장관은 한국과 일본의 과거사 합의에 대한 환영의 뜻을 밝히고 미국의 한국에 대한 확장억제에 대한 공약을 강화할 것이라고만 밝혀두고 있습니다. 참, 윤석열 행정부도 어지간히 북핵에 겁을 집어먹은거 같습니다. 그렇게 미국이 눈에 띄는 것들을 퍼부어주고 있는데도 아직도 확장억제에 대한 불신을 드러내고 있는 것으로 보이빈다.

 

 

QUESTION:  Are they going to talking about the semiconductor law also?

---> IRA와 관련되서 반도체법에 대한 것도 논의 하나요?

 

MR PRICE:  We’ll have additional details after the meeting, and we’ll be sure to share those.

---> 나중에 그 만남에 대한 디테일을 제공해주겠다. 그리고 분명 그럴것이다라고 대답하네요.

 

---> 사실 미국의 무신경함은 이유가 있을지도 모르겠습니다. 세계경찰을 자임하고 있는 상황에서 함부로 타국의 입장을 옹호하거나 지지하면 골치아파질 테니까요. 심지어 절대로 놓을 수 없는 두 주요한(critical) 동맹사이의 일이니 말입니다. 그러므로 결국 우리의 국익과 주권은 우리가 스스로 챙겨야하는 수밖에.

 

 

 

3. 이번 합의에서 미국은 어떤 역할을 했습니까?

 

 

QUESTION:  Thank you so much.  I want to follow up on the announcement between ROK and Japan.  The U.S. has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trilateral relationship among U.S., ROK, Japan many times, and on this historical forced labor issue specifically, what kind of advice did the U.S. give to ROK before this announcement?  What kind of role did the U.S. play in this announcement?

---> 어디 소속의 누구인지는 모르겠지만 매우 직설적으로 질문을 던졌습니다. 이번 합의에서 미국은 한국에게 어떤 조언을 했나? 이번 합의에서 미국은 어떤 역할을 수행했는가?

 

 

MR PRICE:  The United States has played the role of ally.  The United States has played the role of partner to both countries.  These are decisions that Japan and the ROK have had to make and will have to make themselves.  Of course, we are going to play whatever role we can to be most helpful, as helpful as we can, to our treaty allies, but these are decisions that the countries themselves have had to decide to pursue.  And when it comes to the decision that was announced today, it is something that we heartily commend, because we welcome the advancement of the bilateral relationship between the ROK and Japan, but it’s also critically important to us that the trilateral relationship between Japan, between the ROK, and the United States is as deep and effective and seamless as it possibly can be, not only for the core challenge that is the DPRK and its nuclear weapons and ballistic missile programs, but also for the shared vision our three countries have of a free and open Indo-Pacific region.

---> 흠... 수상하긴 합니다. 그냥 우리가 개입했다, 개입하지 않았다라는 사실에 대한 언사가 아닙니다. 원칙론의 차원에서 "그들이 스스로 해야했고 해야할 것이다"으로 대답했습니다. 그저 두루뭉술하게 '미국은 동맹으로써의 역할을 했어'.

 

---> 그렇다면 제가 미국이라면 어떻게 했을까. 저는 굳이 윤석열 대통령이 먼저 일본한테 손을 내밀거라고 온동네 방내 소문을 다 내고 다녔는데 굳이 '야, 너네 피해자는 생각안하냐!'며 가로막진 않았을 겁니다. 제 생각에는 미국이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아도 일이 진행되었을듯 합니다. 그저 뻐꾸기가 되어 일본에게 이번 윤석열 행정부는 너희한테 호의적일거다라는 정보를 건네주는 정도?

그나저나 이 양반은 뭔가 찔리는거 마냥 잠깐 눈을 돌리기도 했는데, 그냥 습관인지 뭔지.

 

 

4. New START. 재개 될까요?

 

 

QUESTION:  Okay, and one more question.  The New START Treaty, as you know, expires in less than three years.  Should Washington and Moscow fail to agree on extension in February 2026, are there any contingency planning you’re doing now for this scenario?  Or are you planning anything for this case?

---> 본래 New START는 3년이내로 종결될 예정이었고 미국과 러시아는 연장에 실패했습니다. 뭔가 다른 계획 있습니까?

 

 

MR PRICE:  I think your question gets far ahead of where we are, and I say that because Moscow has announced its purported suspension of implementation of the New START agreement.  Even before that happened, we found that Moscow was in technical noncompliance with the New START Treaty.  So before we start talking about what happens in 2026 and a potential renewal of the New START Treaty, we want to focus on bringing Moscow back into compliance with the treaty.  It is in the interests of the American people; it is in the interests of the people of Russia.  It’s in the interests of people around the world to see to it that the two countries that possess the largest number of nuclear weapons engage in responsible behavior.

---> 이미 미국은 러시아가 New START의 기술적 조건(* 러시아는 New START 중단이전부터 미국측의 시찰을 거부해왔음)을 충족시켜오지 않았고 이제는 New START를 중단하겠다고 선언까지 했다고 합니다. 그리고 미국은 러시아가 다시 조약으로 돌아오는 것에 초점을 두고 있다고 합니다.

 

---> 그리고 New START는 전세계 모든 사람들의 이해관계라고 하는데 실로 그러합니다. 상호확증파괴로 인해 미국과 러시아는 샴쌍둥이가 되어 '하나의 심장이 멈추면 두 생명이 멈추는'그런 관계가 되어버렸습니다. 그리고 미국과 러시아라는 두 강대국의 심장이 멈추면 말초에 위치해있는 다른 국가들의 경제도 어떻게 될지 불을 보듯 뻔합니다. New START 중지에서부터 최근 푸틴의 행보는 전세계 종말의 시침을 12시에 가깝게 돌리고 있습니다.

 

And part of being a responsible nuclear power is engaging in arms control.  It’s engaging in talks about strategic stability, just as the United States and Soviet Union did over the course of the Cold War.  Over the course of the Cold War, we had mechanisms in place to mitigate against the possibility that there would be a nuclear exchange.  Ultimately, these efforts were successful in that there was not a nuclear exchange between nuclear powers during the Cold War.  Now the responsibility we have as nuclear powers, the United States and Russia, is just as great.  It’s incumbent upon countries that seek to be responsible stakeholders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o act responsibly.

---> 이 표현도 심히 적절합니다. 미국과 소련은 소련이 핵독점을 깨면서부터 서로가 공멸관계에 놓였다는 점을 인지하였습니다(쿠바 미사일 사태는 그걸 온몸으로 느끼게 해주었겠죠). 그래서 전쟁외의 모든 수단으로 경쟁하였습니다. 우린 그걸 '냉전'이라 부르고요.

 

---> 본문중의 전략적 안정성(strategic stability)를 일상언어로 바꾸면 예측가능성입니다. 상호확증파괴하에 놓인 두 국가는 '먼저 쏘면 이긴다'는 유혹에 시달립니다. 그리고 이러한 유혹에 의해 그러지 않아도 될 상황에서도 긴장을 고조시켜버립니다. 그래서 New START에서도 상대국에 대한 핵시찰이 들어가 있는 겁니다. 상대국이 쏠 태세를 갖추었는지 아닌지를 보고 아국도 마찬가지의 태세를 취해주면 공포에 의해 핵억제가 이뤄지는 셈입니다.

 

---> 그런데 언제 쐈는지도 모르게 쏴서 핵보복에 지장을 주는 투발수단이 생긴다... 그런걸 만든 놈은 정말 세계를 언제나 불구덩이속에 던져놓을 수 있으므로 미친놈입니다. 그리고 그놈이 바로 푸틴이지요.

 

 

We have consistently acted responsibly.  Late last year, we thought we would soon be meeting with our Russian counterparts in Cairo for a meeting of the Bilateral Consultative Commission to discuss issues of New START implementation and compliance.  Russia unfortunately pulled out of that engagement.  Earlier this year, we thought there would be a meeting of the BCC; Russia unfortunately pulled out of that.  And that is what ultimately led us to render Russia not in technical compliance with the New START agreement.

 

But there is a very uncomplicated way for Russia to come back into compliance:  It needs to take part in inspections.  That’s something that can happen fairly quickly and it’s something that we hope Moscow does for the sake of its citizens, for the sake of our citizens, for the sake of people around the world.

---> 그러므로 푸틴이 우크라이나에서 뭔 지랄을 하건 일단은 New START로 돌아오고 핵시찰받을 필요가 있습니다.

-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