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cjs5x5의 штрафбат

[일요일의 IMINT]USS Zumwalt (DDG-1000). 탄생부터 AGS를 제거하기까지.

작성자cjs5x5|작성시간24.05.19|조회수67 목록 댓글 2

오늘은 왠지 자는게 싫어서 이탈리아의 데스메탈 밴드인 Fleshgod Apocalypse의 노래를 틀고 구글어스나 뒤적거리다가 밤늦게 또 뻘짓을 하고 있습니다.

-

 

 

정확히 언제인지는 불분명하지만 최근에 USS Zumwalt가 포경수술을 했습니다.

 

네. 그동안 줌왈트급의 아이덴티티로 여겨져왔던 주포인 Advanced Gun System(AGS) 2문중의 1문이 탈거되었습니다. 이유는 초음속함대지미사일인 통상즉발타격체계(Conventional Prompt Strike, CPS) 12발을 탑재하기 위한 캐니스터 4문을 증설하기 위해서입니다.

 

또한 나머지 AGS 1문도 탈거될 예정인데 아직 그 자리에 무엇이 채워질지는 밝혀지지 않은 상황입니다.

https://www.navalnews.com/naval-news/2024/05/us-navy-removes-first-155mm-ags-from-uss-zumwalt-at-ingalls-shipbuilding/

뭐요, 의사선생? 곶아라니, 내가 곶아라니!
결과적으로 적성국 해안에 접근하기 위해 통상적이지 않은 함형을 채택한 이유가 무색해진 감아. 물론 스텔스는 여전히 큰 이점이지만요.

-

 

 

야밤에 재미삼아 USS Zumwalt(DDG-1000)의 탄생부터 그나마 구할 수 있는 가장 최근의 모습까지 살펴보고자 합니다.

 

2011년 11월. Maine주에 소재한 Bath Iron Works 조선소의 드라이독입니다. 아직 기초공사중이라 배의 형태조차 갖추지 못한 모습입니다. 

 

 

2012년 5월. 아직 함수(bow)와 함중앙(amidship) 섹션만 결합되어있고, 통합 마스트와 함미(stern) 섹션은 보이지 않습니다.

 

 

2013년 9월. 진수식을 1달 앞둔때 줌왈트함의 모습입니다. 지난 사진에서 보이지 않던 통합마스트와 함미섹션까지 결합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아직도 외장공사가 한참 필요해 보입니다.

 

 

2014년 9월_a. 가장 오른편에 줌왈트함이 정박된 채로 한참 외장공사를 진행중인 모습입니다. 

 

한편, 여태까지 줌왈트함이 있던 드라이독에는 줌왈트급 2번함인 Michael Monsoor(DDG-1001)가 건조되고 있습니다. 통합 마스트를 제외한 나머지 섹션이 결합된 상태네요.  

 

 

2014년 9월_b. 줌왈트함을 줌인한 모습.

 

보시다시피 아직 갑판에 방청도료도 도포되지 않은 상태이며, 함수쪽 VLS들만 파란색 방수천으로 가려놓고 있습니다.

 

 

2015년 9월. 여전히 가장 오른편에 줌왈트함이 정박된채로 외장공사중에 있습니다. 함수쪽은 AGS와 관련된 작업을 제외하면 방청도료까지 도포가 완료된 상황이나 함미쪽은 여전히 작업하고 있네요.

 

그리고 줌왈트함 왼편의 2번함 마이클 몬수어함도 모든 섹션의 결합이 완료되었으며 AGS 2문까지 장착한 모습이 보입니다.

 

 

2016년 5월. 가장 위에 외장공사 및 위장도색까지 마치고 시운전 중이던 줌왈트함이 보입니다. 파란색 크레인으로 함미쪽에 무언가를 적재하고 있었나 봅니다. 그리고 5달 뒤에 취역했습니다.

 

2번함인 마이클 몬수어함도 외장공사에 들어간 것으로 보입니다. 그리고 1달 뒤에 진수되었습니다.

 

 

2018년 5월. 시기로 보아 줌왈트함은 모든 작업을 마치고 이미 Iron Bath Works에서 나온 것으로 추측됩니다.

 

오른편의 줌왈트급은 2번함인 마이클 몬수어함이며, 왼편에 상가되어 아직 AGS를 올리지 않은 채 공사중인 줌왈트급은 당시 진수식을 7달 앞둔 3번함인 Lyndon B. Johnson함입니다.

 

 

그렇다면 줌왈트함은 어디에 있었을까요?

 

제 생각에는 미 서부해안의 샌디에고에 있었을겁니다. 왜냐하면 이곳에 정박되어 있는 줌왈트급의 모습이 몇차례 찍혀있기 때문입니다.

 

참고로 LCS들도 이곳에 많이 정박되어있습니다. 프리덤급과 인디펜던스급 둘 다.

 

 

2023년 6월_a. 위편에 함번이 DDG-1000인 줌왈트함이 정박되어있고, 바로 아래에 함번이 DDG-1001인 마이클 몬수어함이 정박되어있는 모습.

 

 

2023년 6월_b. 줌왈트급 2척만 줌인한 모습. 함수쪽을 보시면 함번이 보입니다.

 

이게 그나마 구할 수 있는 가장 최근에 찍힌 줌왈트함의 모습입니다.

 

 

자. 그러면 지금 현재 USS Zumwalt(DDG-1000)함은 어디에 있을까요.

 

싱겁게 말하자면 미시시피주 Pascagoula에 소재한 또다른 헌팅턴 잉걸스 조선소(저번에는 버지니아급 잠수함 이야기를 하며 뉴포트 뉴스에 소재한 헌팅턴 잉걸스 조선소를 보여드렸죠?)의 플로팅독에 상가되어있다고 합니다.

 

 

조금 조사해보니 줌왈트급의 건조는 위에서 보여드렸던 Main주 Bath에서 이루어지고, 전투체계의 활성화 작업은 이곳에서 진행되나 봅니다. 

 

아래 사진은 줌왈트함은 아니고 3번함인 린든 B. 존슨함이 2023년 2월에 전투체계 활성화 작업을 하던때의 모습이나 참고용으로 가져왔습니다.

 

 

제가 보기에 지금 현재 줌왈트함은 조선소 남쪽에 위치한 이 플로팅독에 상가되어있나 봅니다. 왜냐하면 근처에서 다른 플로팅독은 보이지 않았으니 말입니다.

-

 

 

과거에 미 해군에서는 함대지유도탄을 잔뜩 탑재하는 '아스널 쉽'이라는 개념이 등장했었고 얼마전 우리 해군에서도 '합동화력함'이라는 마찬가지의 개념이 대두된 적이 있었습니다.

 

 

AGS를 제거할 줌왈트급은 왠지 아스널쉽의 부활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다만, 그 안에 탑재될 미사일이 초음속인 점에서 과거의 아스널쉽 개념과 개장될 줌왈트급의 차별점을 볼 필요도 있을겁니다.

-

 

 

글을 다 쓰고 생각해보니, 2차대전때 일본이 워싱턴 군축조약 탈퇴하자마자 순양함 모가미급의 주포를 6.1인치에서 8인치로 바꿔버린 사례가 떠오르네요.

 

설마...?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 작성자_Arondite_ | 작성시간 24.05.19 ㅎㅎㅎ; 미군은 레일건을 '공식적으로' 포기했고, AGS에 넣으려던 사거리연장탄도 '공식적으로' 포기했죠. 함선탑재형 레이저무기도 '공식적으로는' 미개발중이고...하지만 전쟁난다면 과연...?
  • 작성자델카이저 | 작성시간 24.05.19 뭐... 척당 4억달러가 되면서... 달랑 혼자서 위험 해역 혼자 진입할 수도 없구요.. 당장 중국이 수량 자체는 미해군을 따라잡을 기세라서 이런 고가의 플랫폼은 결국 포기할 수 밖에 없는 현실이 반영된 듯 하네요.
댓글 전체보기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