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댓글

뒤로

[26] Roar of Leviathan – Battle of Cecorą 노원수의 출진

작성자학생[역갤]| 작성시간08.09.25| 조회수1191| 댓글 17

댓글 리스트

  • 작성자 타마누님 작성시간08.09.25 저거 보자니 왠지 우리네 삼쿡시대 군사 동원이 생각납네다~ .~ (머 둘다 봉건적 사회이니)
  • 작성자 리카르도 작성시간08.09.25 저 병력으로 투르크와 맞서라니 그냥 나가 죽어라는 소리같네요.-_- 오스만 제국의 지휘관들이 일류급이 아니라는게 그나마 다행인건가;;
  • 작성자 롱기누스 작성시간08.09.25 폴란드 의회의원들 개념이 있는지가 의심스럽네요. 몰다비아에서 싸우면 지들 영지도 안 다치는데... 신라 말의 화백회의보다 더 막장인듯 합니다.
  • 답댓글 작성자 북어싸만코 작성시간08.09.25 오스만군이 가까이 오면 친애하는 왕님하를 냅다 묶어 바치고 "이거 드릴테니 영지랑 재산은 남겨줍셔. 아, 그리고 길도 먼데 하는김에 자치권도 좀;;"라고 할 계획이었는지도.-_- 오스만의 속국이나 왕의 신하나 이 작자들 입장에선 비슷했을테니까요.
  • 답댓글 작성자 무장공비 작성시간08.09.25 싸만코 / ㄲㄲ
  • 답댓글 작성자 타마누님 작성시간08.09.25 뭐.. 사람들은 결국 자신의 입장에 충실해지는 것 뿐입죠. 보수든 진보든.. 그렇기에 서로 다른 이해관계의 사람들을 연결해 줄 고리가 필요한데, 한쿡은 머.. 있는지 몰겠슴다. 뿌우 'ㅁ'
  • 답댓글 작성자 바랑기안농부 작성시간08.09.25 ㄲㄲㄲㄲㄲㄲ
  • 답댓글 작성자 creios 작성시간08.09.26 영화 "황산벌"에서, 백제 대신회의 장면이 떠오르네요. 당나라 대군이 쳐들어온다는데, 군대를 가진 대신들은 싸울 준비는 안하고 "왕이면 다야? 왜 걸핏하면 군사를 내라 말라야!" "지금 나라가 망하게 됬는데 그렇게 나와?" "그게 우리들 나란가? 느그덜 부여씨들 나라제." 어째 비슷....
  • 답댓글 작성자 델카이저 작성시간08.09.26 백제의 경우는 개로왕이 처발린(...) 후에 부여씨가 구 마한 땅에 들어와 세운 망명정권 가깝기 때문에 그랬습니다. 개로왕 이후의 웅진-사비는 모두 구 마한 땅이었고 마한 귀족들이 적지않게 세력을 보유한 상황이었죠.. 문제는 이후의 백제왕실이 이 마한귀족들을 포섭하는데 실패했고 종종 파워게임을 벌여 숙청질을 반복했다는 겁니다. 의자왕도 예외는 아니어서 22명의 좌평을 죄 지아들로 채워넣었죠..ㅡㅡ;(황산벌이 고증이 꽤 잘된 영화입니다. 그냥 코믹물이 아니더군요..) 막판 전투는 좀 그랬습니다만..
  • 답댓글 작성자 델카이저 작성시간08.09.26 따라서 마한 귀족들에게는 부여씨가 망하는 거지 자기들이 망하는 것이 아니죠.. 백제 왕실도 8개 씨족 자체의 분쟁이 심했습니다. 백제 왕들 중에서 제명에 죽은 인간이 별로 없을 정도..(유명한 무령왕조차도 뼈가져다 분석해보니 독살당했다고 하죠..ㅡㅡ;) 따라서 나당연합군이 대규모로 투입된 전쟁에서조차도 백제왕실은 마한 귀족들의 제대로 된 협력을 받아내는데 실패하게 됩니다. 뭐 귀족들 입장에서는 그간에 자기들 쥐여 짜내던 왕실이 박살나는 것이니 꼬소하다고 생각했을테지요..-_-;;
  • 작성자 WarRiAer 작성시간08.09.25 폴란드기병대의 괴수보다 강력한 전투력이 투르크군을 작살낼 거라는 생각이 자꾸만 드는 이유는~~~~
  • 작성자 bookmark 작성시간08.09.25 굇수중의 굇수 훗사르가 수백이니 힘들어 보이긴 합니다. 천단위가 넘어가면 해볼만해 보이는 괴이한 느낌을 주긴 하지만.(...)
  • 작성자 카이사르 마그누스 작성시간08.09.25 저전투에서 수백의 윙드 훗사르들이 또하나의 전설을 쓸거같은 삘이 오는군요
  • 작성자 creios 작성시간08.09.26 그나저나, 코드키에비츠 원수와 주키에브스키 원수가 정치적으로는 반국왕파에 가까운 인물들이니, 정말 의외의 사실이네요. 왕의 명령에 따라 순순히 전쟁터를 떠돌기에, 왕의 심복이겠거니 했는데.... 왜 이 사람들은 반국왕파이면서 스웨덴 전선, 러시아 전선에서 그 생고생을 했지?
  • 답댓글 작성자 성격파탄 작성시간08.09.26 정치가라기보다는 군인에 가까우니까요 . 또한 전쟁터와는 다르게 궁정에서는 비교적 온건파 였다고 하는군요~
  • 작성자 우치적 작성시간08.09.26 뭐 지배 계급의 입장에서야 오스만 투르크든 폴란드 왕이든 상관없겠죠.
  • 작성자 기러기 작성시간09.08.30 드디어 오스만군과 한 판 붙겠네요...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
카카오 이모티콘
사용할 수 있는 카페앱에서
댓글을 작성하시겠습니까?
이동시 작성중인 내용은 유지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