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댓글

뒤로

[14] The Lion of the North – Shock and repulse (14) 점령과 반격

작성자학생[역갤]| 작성시간09.06.12| 조회수865| 댓글 17

댓글 리스트

  • 작성자 김 광 표 작성시간09.06.12 영광입니다 첫번째 댓글입니다~
  • 작성자 waterloo 작성시간09.06.12 스웨덴군은 전염병 피해가 많은 반면 폴란드군은 별 얘기가 없네요 수가 적어서 그런건지 아니면 병에 면역되어 있는건지...?
  • 답댓글 작성자 학생[역갤]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작성시간09.06.12 둘 다 이유가 있었던 것 같습니다. 아무래도 전염병의 발생 빈도는 밀도와 반비례하는 경우가 많지요. 또한 전역이 폴란드-리투아니아에 가까운 만큼 면역성도 있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그리고, 오랫동안 전문 직업 군인 역할을 해 온 폴란드 기병대는 농민을 징집해서 형성된 스웨덴군에 비해 전역성 전염병에 대해 좀 더 면역성이 높을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됩니다.
  • 답댓글 작성자 ▦무장공비 작성시간09.06.12 학생햏 / 혹시 당시 아돌프 군대에 창궐한 전염병에 대한 정보 -확산 양상이라던가 증상등등-를 얻을수 있을까요. 몇가지 짚이는 곳이 있는거 같습니다.
  • 답댓글 작성자 학생[역갤]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작성시간09.06.13 감사합니다. 제가 찾아본 자료에는 단지 전염성 열병 (pestilential fever)으로만 적혀 있습니다. 리가 시 공성전 (1621년 8월) 이전부터 서서히 유행하기 시작했고, 이것이 겨울의 보급난과 겹쳐지면서 결정적으로 심화된 것 같습니다. 이후 1622년의 새로운 봄에는 군대의 기동이 힘들 정도였다고 하네요.
  • 답댓글 작성자 ▦무장공비 작성시간09.06.15 지금 가장 의심 가는것은 벼룩을 매개로 하는 티푸스류 입니다. 불결한 상태로 집단 생활을 하는 사람들에게 번지기 가장 쉬운 병이지요. 숲길이나 습지로 행군했다는 대목에서 말라리아 같은 질병을 의심해보기도 했는데 한겨울에 심해졌다는 얘기를 하시니 그 쪽은 아닌거 같습니다. 나폴레옹햏도 러시아 켐페인 당시 폴란드를 가로지르며 티푸스로 병사를 꽤나 많이 작살내셨습미다 ㄷㄷㄷ
  • 답댓글 작성자 학생[역갤]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작성시간09.06.15 그렇군요. 좀 더 자료를 찾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 작성자 신격카이사르 작성시간09.06.12 숲길이나 습지로 지나가다보니 전염이 더 심화된 게 아닐까요 ㄷㄷ
  • 답댓글 작성자 학생[역갤]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작성시간09.06.12 음... 그런 이유도 있을 수 있겠군요. 재미있는 가설인 것 같습니다.
  • 작성자 웨버 작성시간09.06.12 폴란드군이 전염병의 피해를 받아봤자 라치비우의 병사들만 국한된 이야기가 아니었을 까요? 1000명 남짓이라는게 언급된것을 보면 라치비우의 병력도 어느정도 피해를 받은것 같습니다. 스웨덴군의 피해가 큰것은 주둔지가 전염병 지역과 가까워서인것 같네요.
  • 작성자 롱기누스 작성시간09.06.12 저 전영병인 꼭 공격군들에게는 잘 발생하네요.
  • 작성자 최하늘 작성시간09.06.12 폴란드도 고생이 많네요. 오스만 제국 잡았더니 이제는 스웨덴……. orz
  • 작성자 프리드리히대공 작성시간09.06.12 오오 요즘 연재가 자주 올라오고 있는 것 같네요 ㅎㅎ 학생님 수고 많으십니다 ^^
  • 답댓글 작성자 학생[역갤]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작성시간09.06.13 감사합니다. 시간이 조금 있을 때 열심히 해 두지 않으면 짱돌 맞겠지요? ^^
  • 작성자 카이사르 마그누스 작성시간09.06.13 나름 폴란드도 반격의 공세를 취하는군요 파죽지세로 빈집털릴줄알았는데 오호;;
  • 작성자 2Pac 작성시간09.06.15 혹시나 해서 들어와 봤더니 역시나 2편이 올라와 있군요. 땡잡은 느낌. 항상 감사드립니다.
  • 작성자 기러기 작성시간09.09.05 글 잘 보고 갑니다...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
카카오 이모티콘
사용할 수 있는 카페앱에서
댓글을 작성하시겠습니까?
이동시 작성중인 내용은 유지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