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교육수상 창고

아이들의 건강과 농촌을 살리는 운동

작성자교육자치|작성시간04.01.25|조회수8 목록 댓글 0
아이들의 건강과 농촌을 살리는 운동

최창의(경기도교육위원) / 11월 5일치 '경기일보'에 실림

학교급식 개선을 위한 조례제정 운동이 온나라에 들불처럼 번져가고 있다. 전남도의회에서는 이미 학교급식에 지역농산물 사용을 지원하는 조례가 통과되었고, 전북, 경남에서도 조례청원 절차가 진행되고 있다. 우리 경기도라고 그냥 비켜갈 수 없다. 지난 10월 1일 도내 수많은 시민,노동,교육,농민 운동 단체가 참가하여 ‘학교급식 개선과 조례제정을 위한 경기도운동본부’의 닻을 올렸다. 이어 고양, 안양, 김포, 안산을 비롯한 여러 시군에서 운동본부를 결성하여 조례제정을 청원하는 주민 서명운동을 벌여나가고 있다.

학교급식은 우리 국민들의 식생활에서 엄청난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2002년말을 기준으로 전국 1만여개 학교에서 655만여명의 학생들이 하루 한 끼 이상 학교에서 급식을 먹고 있다. 이는 전체 인구의 약 15%를 차지하는 수이다. 이처럼 막중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학교급식에 학부모와 교사들은 물론 뜻있는 단체들이 눈길을 돌렸으니 얼마나 다행스런 일인가.

현재 벌어지고 있는 학교급식 조례제정 운동은 크게 네 가지의 과제를 중심으로 사업을 펼치고 있다. "급식재료로 안전한 우리농산물 사용하기, 위탁급식의 직영전환 추진, 학교급식에 학부모의 참여, 무상급식의 확대"를 위해 재정과 행정 지원을 요구하고 있는 것이다. 그 가운데 가장 중요한 핵심이 급식 재료로 우리농산물을 사용하여 급식의 질을 높이는 일이다.

학교 급식에 지역의 우리 농산물을 사용하게 되면 학생들에게 안전한 먹을거리를 제공할 뿐 아니라 어려서부터 우리 음식을 맛들이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WTO 농수산물 개방으로 무너져가는 우리 농촌 공동체를 되살리고 농민들의 경제활동을 돕는 성과도 거둘 수 있을 것이다.

학교급식의 질을 높이고 운영과 관리 체계를 개선하는 사업을 교육당국과 학교에만 미룰 수 없다. 그만큼 많은 예산이 뒤따르고 행정기관간의 폭넓은 협조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미래세대의 주인이 될 아이들의 건강을 지키고 농촌에 희망을 살리는 이 운동에 우리 모두의 관심과 실천이 모아져야 하겠다.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