奈解紀(내해기)
(A.D.257 - A.D.291:재위35년)
|
|
|
가 계 도 |
|
|
| |||||
|
|
|
|
|
| ||||||
|
|
|
|
|
|
|
|
|
| ||
|
伊買(父) |
|
|
奈解(本人) |
|
|
|
|
| ||
|
(211.7~235.4) |
|
|
(230.4~291.3) |
|
|
|
|
| ||
|
|
|
|
|
|
|
|
|
|
|
|
|
內禮(母) |
|
|
玉帽(妻) |
|
|
沾解(子) |
| |||
|
(186.1~263.2) |
|
|
(238~311.3) |
|
|
(274.1~324.12) |
| |||
|
|
|
|
|
|
|
|
|
|
|
|
|
|
|
|
|
|
|
|
|
乳帽(女) |
| |
|
|
|
|
|
|
|
|
|
(277.3~ 368.9) |
| |
|
|
|
|
|
|
|
|
|
|
|
|
|
|
|
|
|
|
|
|
|
仲解(子) |
| |
|
|
|
|
|
|
|
|
|
(280.1~ ? ) |
| |
|
|
|
|
|
|
|
|
|
|
|
|
|
|
|
|
|
紅帽(妻) |
|
|
于老(子) |
| ||
|
|
|
|
|
( ? ~ ? ) |
|
|
(277.3~331.4) |
| ||
|
|
|
|
|
|
|
|
|
|
|
|
|
|
|
|
|
|
|
|
|
阿爾兮(女) |
| |
|
|
|
|
|
|
|
|
|
(286.8~362.9) |
| |
|
|
|
|
|
|
|
|
|
|
|
|
|
|
|
|
|
禹禮(妻) |
|
|
西解(子) |
| ||
|
|
|
|
|
(233.3~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學宣(妻) |
|
|
學氏(女)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河羅(妻) |
|
|
守羅(女) |
| ||
|
|
|
|
|
(259.7~ ? ) |
|
|
(280.7~ ? ) |
| ||
|
|
|
|
|
|
|
|
|
|
|
|
※ 검정색은 남자를, 청색은 여자로, 적색은 분명하지 경우로 구분하여 표기하였다.
|
|
|
玉帽의 가계도 |
|
|
| |||||
|
|
|
|
|
| ||||||
|
|
|
|
|
|
|
|
|
| ||
|
仇道(父) |
|
|
玉帽(本人) |
|
|
|
|
| ||
|
(218.4~301.2) |
|
|
(238~311.3) |
|
|
|
|
| ||
|
|
|
|
|
|
|
|
|
|
|
|
|
雲帽(母) |
|
|
骨正(夫) |
|
|
助賁(子) |
| |||
|
( ? ~ ? ) |
|
|
(207 ~285.3) |
|
|
(254.8~329.2) |
| |||
|
|
|
|
|
|
|
|
|
|
|
|
|
|
|
|
|
|
|
|
|
紅帽(女)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綠帽(女)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奈解(夫) |
|
|
沾解(子) |
| ||
|
|
|
|
|
(230.4~291.3) |
|
|
(274.1~324.12) |
| ||
|
|
|
|
|
|
|
|
|
|
|
|
|
|
|
|
|
|
|
|
|
乳帽(女) |
| |
|
|
|
|
|
|
|
|
|
(277.3~ 368.9) |
| |
|
|
|
|
|
|
|
|
|
|
|
|
|
|
|
|
|
|
|
|
|
仲解(子) |
| |
|
|
|
|
|
|
|
|
|
(280.1~ ? ) |
| |
|
|
|
|
|
|
|
|
|
|
|
|
|
|
|
|
|
利音(夫) |
|
|
貝帽(女) |
| ||
|
|
|
|
|
( ? ~281.3)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銀帽(女)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검정색은 남자를, 청색은 여자로, 적색은 분명하지 경우로 구분하여 표기하였다.
※ 1. 상장돈장에는 은모와 패모의 아버지가 이칠(伊柒)갈문왕이라 하였다.
2. 삼국사기 신라본기에는 미추의 어머니가 이칠(伊柒)갈문왕의 딸이라 하였다.
3. 미추의 어머니는 이음(利音, 소비갈문왕) 혹은 내음(奈音)의 딸이라고 하므로, 이칠갈문왕이 두 분 중에서 누구를 말함인지 알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