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찌라시들을 보면.....평양엔 마치
북한 특권층이나 당간부들만 사는 것으로
착각이 들 정도의 보도들을 쏟아내고 있지요.
그래서 옷을 좀 잘 입어보이는 평양의 유치원 어린이들 사진들이 나오면
그건 모두 평양의 당간부들이나 특권층 자녀들일 것이라고
설레발 해설을 덧붙인 기사들을 내보내지요.
아니면, 평양의 고급스러워 보이는 레스토랑이나 간이음식점
또는 놀이공원 등에서 옷을 잘 입어보이는 평양시민들 모습이 보이는
북한사진들을 보도할 때는 언제나 그건 모두 북한 특권층이나 당간부 가족들
모습일 것이라는 설명을 친절히(?) 붙여두지요.
그런데....정말 그럴까요?
현재 평양엔.....대략 250만명 내지 300만명 정도가
사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렇다면....그 인구 모두가 당간부 및 그 가족들이거나
특권층 가족들일까요?
그런데 평양이란 도시는 서울 보다 무려 4배 이상이나 넓다고 합니다.
그런데 평양엔 고층건물도 서울 보다 훨씬 더 적고, 나아가 인구수도
훨씬 더 적습니다.
그래서 평양은 사실 단순 도시라기 보다는
마치 논밭이 있는 시골마을과 같은 곳들도 다수 포함되어 있지요.
그래서 얼마전에는 그런 시골마을들은 평양에서 분리하기로 한 것으로
보도가 되었지요.
그리고 평양엔 무수한 유치원들과 공장들도 많은데....
그것은 곧 평양시민들 대부분은 아마도 공장노동자들일 것임을
의미한다고 해석해야만 할 것입니다.
그렇다면.....평양의 공장노동자들도 모두 당간부 가족들이거나
특권층들일까요? 그리고 평양의 유치원생들도 모두 그런 노동자들의
자녀들일 것인데....그들도 모두 특권층, 당간부 자녀들일까요?
만일 그런 주장이 옳다고 가정한다면
북한에서는 당간부나 특권층 가족들도 공장노동자 생활을 한다는
말이 되고 마는군요. 그런 주장이 과연 합리적, 상식적이라고 판단되나요?
북한의 공업지구 - 평양, 남포
일반현황
평양지역에 정책적으로 화학공업이나 제철, 제강과 같이 환경오염물질 배출이 많고 공업용수를 많이 사용하는 공해유발업종은 배치하지 않고 방직, 기계공장과 같은 공해가 적은 업종 및 여성노동력을 활용할 수 있는 업종을 배치
이러한 공업정책으로 평양ㆍ남포공업지구는 중공업과 경공업이 비교적 균형있게 발달하였으며, 기계공업의 비중이 큰 가운데 섬유공업과 식료품, 일용품, 신발공업 등이 고루 분포
평양은 북한내에서 노동력이 가장 풍부한 지역으로 대형기계, 정밀기계 및 농기계제작공업 등을 집중 배치하였으며, 남포는 광물자원 등 원료취득 및 해안에 인접하여 항만수송이 유리하다는 점 때문에 일제강점기부터 서북지역의 대표적인 금속공업기지로 개발됨
기계공업의 집중 육성과 더불어 소비재 및 생필품 공업의 육성도 추진되어 80년대에는 북한 전체 공업생산액의 25% 가량을 차지
평양의 높은 공업집중도는 원료산지와 노동력 집중지가 동일함에 따른 것으로 원료의존도가 높은 중공업과 노동력 의존도가 높은 경공업이 동시에 발달하게 됨
평양직할시
북한의 수도로 정치, 경제, 사회, 문화의 중심지
면적 : 2,629.4㎢ (서울의 약 4.3배 규모)
인구 : 약 304만 명
특징 : 각종 연구시설과 통신설비 등이 평양시에 집중 건설되었으며, 80년대 중반 이후 조총련계 자본을 중심으로 추진된 모란봉합영회사 등 합영기업소 등이 평양을 중심으로 설립된 것이 공업집중도를 높이는데 크게 기여
입지 현황
풍부한 지하자원과 수도로서의 평양의 위상과 남포의 지리적 여건으로 인해 일제강점기부터 발달되어온 대표적인 공업지구
공업발달에 유리한 지역구조를 갖고 있으며, 특히 무연탄과 석회석, 공업용수 등이 풍부하고 전력공급 여건이 양호하며 교통이 편리하여 각 공업지역과의 연계가 유리
인프라 현황
평양, 남포지역은 교통의 요충지로서 도시교통과 지역간 교통시설이 북한내에서 가장 잘 발달된 지역으로 평양은 철도를 기본 교통수단으로 도로와 항공 교통이 비교적 잘 연결되어 있음
기타
평양ㆍ남포공업지구의 전력은 수풍, 미림, 북창, 평양, 남포, 순천발전소로부터 공급받고 있으며 공업용수는 대동강의 수자원을 이용
타 공업지구에 비해 전력사정이 양호한 편으로 북한의 대규모 중앙기업소가 집중 배치되어 있음
평양지역
기계, 연료, 동력, 건재 등의 중공업과 방직, 신발, 식품 등의 경공업이 주로 발달
기계공업 부문으로는 운수기계, 전기기계, 건설기계, 탄광기계, 공작기계, 정밀기계, 일반기계공장이 있으며, 전력분야의 화력발전소와 석탄공업분야에 강동, 흑령, 삼신탄광을 비롯한 대규모 탄광 및 160여 개 중소규모 탄광들이 존재
건재공업분야에서는 시멘트공장 등 약 40여 개의 건재공장이 있으며 식료부문에서는 식품가공 및 술, 음료, 담배 등의 생산이 활발
경공업 분야에 종합방직공장, 편직공장, 제사공장, 피복공장, 고무공장, 일용품공장 등이 분포
대부분의 기업은 주로 평천구역과 선교구역 및 서성구역을 중심으로 입지
서성구역은 서평양역이 위치한 지역으로 철도교통의 요지이며 대표적 운수기계 생산업체인 김종태전기기관차공장 등 차량제작 부문의 기계공업이 집중돼 있음
선교구역은 북한에서 소위 ‘어머니공장'이라 불리는 평양종합방직공장등 섬유, 의류분양의 경공업이 집중돼 있고, 이를 지원하기 위한 평양방직기계공장, 평양중기계공장 및 평양고무공장, 평양제약공장 등 일부 기계공업이 입지
평천구역은 전기, 전자부문의 기업을 중심으로 한 각종 기계공업이 집중 입지하고 있으며 건설자재 생산기업 역시 다수 분포
이 구역의 대표적 기업은 평양전기공장, 평양전선공장, 통신기계수리공장, 평양기기기수수리공장, 평양제사공장, 평양벽돌공장 등을 들 수 있음
평양지역 주요 공장
기계부문 : 김종태전기기관차공장(연간 30대), 만경대공장기계공장(생산능력 연 2,500대), 평양공작기계공장, 평양정밀기계공장, 평양전기공장, 평양전선공장, 평양방직기계공장 등
섬유부문 : 평양종합방직공장(직물 연 1.38억㎡), 평양제사공장
건재부문 : 상원시멘트연합기업소(연 200만톤), 승호리시멘트공장(연 95만톤)
신발부문 : 평양염화비닐신발공장(연 700만 켤레), 평양신발공장
식료, 일용품부문 : 평양밀가루종합가공공장, 평양맛내기공장, 평양일용품종합공장, 평양화장품공장 등
http://www.kita.net/interkorea2/html/business/map_industry1.jsp#industry3
아래 북한의 평양과 신의주 유치원 어린이들이 모두
북한 당간부나 특권층의 자녀들일까요?
아니면, 그저 일반 노동자들의 자녀들일까요?
평양 신원 유치원 어린이들
--------------
신의주 지역의 어느 유치원 어린이들
http://blog.yahoo.com/_ZN7OLZGSFLTEWXIIRPWXSYF3J4/articles/495325
그러면 이번엔......간단한 구글검색을 통하여
평양 소재 공장들 사진들을 한번 구경해 보도록 하지요.
과연 아래 사진들에 나오는 공장노동자들이 모두
북한의 당간부들이거나 특권층들로 보이나요?
아마도 눈이 삐지 않은 인간이라면.....
그들이 모두 당간부들이나 특권층들로 보일 것 같지는 않네요.
김정숙 평양 제사공장
대동강 축전지 공장
만경대 수출피복 공장
평양 껌공장
평양 방직공장
평양 비단공장
평양 빵공장
평양 신발공장
평양 양말공장
평양 양말공장 업간체조(근로시간 중 체조)
평양 일용품공장(머리핀 등 생산)
평양 제사공장
댓글
댓글 리스트-
작성자티무르 작성시간 11.12.15 불량식품은 절대로 생산하지 않는거 확인 했습니다
-
작성자변화무쌍태양 작성시간 11.12.15 무엇이 두려워 북한매체의 접근을 기를쓰고 막을까??
식민지 종속국 이라서 자주국과 너무비교가 되나... -
작성자知天命 작성시간 11.12.15 감사합니다.
-
작성자리아 작성시간 11.12.16 북한사람은 남을 아프게 하지않으면서 돈벌이합니다..
집도 개인이 두채이상가지면 부끄럽게 생각한다하는군요 -
작성자농자천하지대본 작성시간 11.12.16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