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북한사회의 실상

[북한의 여름나기] 북쪽 사람도 피서간다 단, 수백명씩 한꺼번에..

작성자정론직필|작성시간13.08.17|조회수1,225 목록 댓글 1

[북한의 여름나기] 북쪽 사람도 피서간다 단, 수백명씩 한꺼번에..

국민일보 | 입력2013.08.17 04:03





연일 폭염이 이어지면서 우리 국민들은 저마다 산과 바다, 유원지를 찾아 피서를 즐기고 있다. 북한 평양에도 섭씨 30도가 넘는 더위가 맹위를 떨치고 있다. 그럼 독재국가 북한에도 피서가 있을까. 정답은 '있다'다.


당일치기 피서 즐기는 주민들


북한 주민들도 남한과 마찬가지로 해수욕장이나 유원지 등에서 더위를 피하고 있다. 다만 전체주의 사회답게 피서를 수백 명이 함께 간다는 것이 특징이다. 주로 공장 직원들 전체가 한꺼번에 버스나 기차를 이용해 피서를 떠난다. 대규모 인원인 만큼 버스 수십 대가 한번에 일렬로 떠나는 장면은 장관이다. 도시와 가까운 해수욕장은 전용열차가 한시적으로 운행되기도 한다. 일례로 황해남도 과일군의 진강포 해수욕장과 남포 와우도 해수욕장은 평양과 가깝기 때문에 7월부터 9월까지 일요일마다 평양과 피서지를 오가는 열차가 마련된다. 피서열차와 버스는 매주 일요일 오전 4∼6시에 평양을 출발오후 9시쯤 평양으로 돌아오는 일정이다.


북한 피서의 또 다른 특이점은 당일치기가 대부분이라는 점이다. 남한 사람들이 2박3일 이상의 휴가를 얻어 이 기간 피서지에서 더위를 식히는 것과는 대조적이다. 북한 주민들은 주말을 이용해 주로 다니고 있다. 이 때문에 북한의 물놀이장이나 해수욕장은 7∼9월 한시적으로 일요일만 문을 여는 곳이 많다.


또한 북한 피서는 주로 직장별로 조금씩 돈을 보태서 함께 가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가족 단위의 피서는 거의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북한의 여름 피서는 한국의 직장 야유회와 비슷하다. 피서지에 가서 각자가 가져온 음식물로 식사와 음주가무를 즐기고 물놀이를 한다. 또 성인 남성들의 경우 카드놀이를 많이 한다는 후문이다.


유명 피서지


북한 주민들에게 여름에 가장 인기 있는 피서지로는 원산의 송도원·명사십리 해수욕장과 함흥의 마전 해수욕장, 남포의 와우도 해수욕장, 금강산, 묘향산 등이다.


해수욕장은 이전에는 평양과 가까운 평안남도, 황해도 지역이 인기가 많았지만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 집권 이후 강원도 원산지역으로 옮겨가는 추세다. 북한 당국이 기반 시설을 정비하고 있을 뿐 아니라 평양과 원산은 190㎞ 길이의 고속도로가 뚫려 있어 충분히 당일치기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대북 소식통은 16일 "차량이 워낙 없어 평양에서 원산까지 버스로 두 시간 정도면 도착한다"면서 "버스 노선도 확충되고, 가격도 편도로 우리나라 돈으로 만원 정도까지 싸진 것으로 알고 있다"고 전했다.


강원도 원산에 있는 명사십리·송도원 해수욕장은 이미 조선시대 때부터 명성을 날리던 장소다. 남북이 나누어지기 전에는 부산 해운대보다 더 유명한 해수욕장이었다. 특히 명사십리는 하얀 백사장과 함께 10여 리에 걸쳐 만발한 해당화와 푸른 바다가 어우러져 장관을 이룬다고 한다.


기암괴석과 높고 낮은 산들이 병풍처럼 둘러싸여 있고 폭 50∼100m의 백사장이 6㎞ 길이로 펼쳐진 함경남도 흥남 마전 해수욕장도 꾸준한 사랑을 받고 있는 곳이다. 북한은 각종 오락·편의시설과 함께 이곳을 마전유원지로 부르고 있다. 그러나 주로 외국인이나 당 간부들이 이용할 만한 호화시설로, 북한의 일반 주민들이 쉽게 접근하기는 어렵다고 전해진다.


도심 놀이공원이나 수영장, 강변에도 많은 북한 주민들이 찾는다. 평양에는 만경대 유희장이 가장 유명하다. 남한의 놀이공원과 비슷한 만경대 유희장에는 수영장과 대관람차, 관성열차, 관성단차, 회전비행기 등 40여 종의 놀이기구가 준비돼 있다. 물론 동물원도 있다. 평양 창광원 수영장도 인기다. 북한은 최근 이곳에 피서철을 맞아 매일 1000여명의 주민들이 찾아온다고 선전하고 있다. 평양 시내 대동강변도 더위를 식히기 좋은 장소로 손꼽힌다.


  http://media.daum.net/v/20130817040307814









남한 찌라시들이 북한사회의 실상을 있는그대로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은근히 진실을 왜곡하는 형태로 보도하는 경우가 많다고 본다.


북한사회가 마치 감시와 탄압이 무시무시해서 주민들이 움쩍도 못하고

허구헌날 중노동만 하는 것으로 묘사해온 그동안의 찌라시들 보도에 의하면....


북한사람들이 피서를 간다고 하는 것이 도무지 이해가 안될 것이다.


다시 말하면, 그동안의 찌라시 보도들이 대부분 거짓말이었다는 말이다.


북한이란....모두가 "평등"해야 한다는 소위 "사회주의" 국가라는 사실이

무엇을 의미하는지를 곰곰히 생각해 본다면 찌라시들의 그런 농간에

쉽게 속지는 않을 것이다.


북한은 소위 "노동자 중심, 노동자 천국"이라는 사회주의 국가이다.


따라서 공산주의, 사회주의 국가인 중국의 휴가가 매우 길듯이

북한 주민들의 휴가도 남한과는 비교할 수도 없이 길 가능성이 많다.


그러나 위 찌라시 묘사에 의하면 북한사람들의 휴가가 마치

당일치기 정도 밖에 안되는 것으로 독자들이 착각하기 쉽도록 되어 있다.


북한주민들은 대개 텐트 등이 필요없을 것으로 생각된다.

왜냐면 각 휴양지마다 노동자들을 위한 호텔이나 편의시설들이

대체로 잘 갖추어져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반드시 당일치기 해수욕장 여행인지 아닌지

솔직히 알기 어렵다.(실제 북한사람이 그에 대해 증언해주기 전에는....)


그리고...위 찌라시 기사에는 마치 가족들은 피서를 못가는 것처럼

독자들이 착각하도록 되어 있는데...그러나 저 위 사진에서 보다시피

해수욕장에는 간난아기들도 많이 보입니다.


즉, 기업소, 공장 등에서 집단으로 휴가를 간다고 할지라도

대개는 가족들도 함께 간다는 의미로 해석해야 할 것입니다.


그리고 그들 모두 근처의 호텔들에서 숙박할 것으로 추측됩니다.


그리고....가족단위 피서가 적은 이유는 우선 

현재까지는 북한사회에서 개인 자가용 등을 소유한 주민들이 적고

나아가 대중교통도 아직은 충분히 발달하지 못해서 기업소나 공장 등에서

집단으로 함께 버스 등을 대절해서 휴가를 가는 것이 도리어 편리하기

때문이 아닐까 추측됩니다.


그러나 현재 북한에서도 개인 자가용 소유자들이 늘고 있고

나아가 대중교통도 점점 더 발달해지고 있다고 하니....

앞으로는 아마도 개인 가족별 휴가를 가는 경우들도 많아질 것으로

추측됩니다.


이상의 논의는....무슨 북한사회를 "찬양"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단지 북한사회의 진짜 실상이 무엇인지.....제대로 객관적으로

해석해보자는 시도였을 뿐입니다.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댓글

댓글 리스트
  • 작성자또다른나 | 작성시간 13.08.18 두번째 사진의 저 아줌마들은 얼마나 못 먹었으면 저리도 많이 부었을까요
    저건 분명 못먹어서 부은것 같군요 ,정신까지 나가서 몸도 재대로 못가누고 흔들고 있으니,
    불쌍한 저 조선 여인들을 위하여 우리는 해 줄것이 하나도 없군요 ...........
댓글 전체보기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