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고픔 보다 슬픈게 차별"...월북 선언 탈북자들
2014-09-07 05:01
'배고픔 보다 슬픈게 차별이더라!'
탈북자들이 남한 사회에 와서 경제적 궁핍과 함께 겪는 어려움입니다.
이런 이유로 다시 북한으로 돌아가겠다는 탈북자들까지 나오고 있습니다.
북한을 탈출해 남한에 정착한 지 12년된 손정훈 씨는
지난해 재입북 의사를 공개적으로 밝혔습니다.
당시 통일부에 방북신청을 했는데 거절당했습니다.
탈북인권운동을 하며 겪은 갈등과 북에 있는 노모 생각에 월북을 결심했습니다.
편견과 차별 때문에 남한 사회에 적응이 쉽지 않았던 것도 큰 이유입니다.
[인터뷰:손정훈, 재입북 선언 탈북자]
"남한에 와서 받는 이중적인 대우, 냉대, 차별
그런 이유 때문에 공통적으로 겪는 정착에서의 아픔이 아닌가 생각합니다."
1990년대 북한 식량난이 심해지면서 대량 탈북이 가속화됐습니다.
그 중에 남한으로 온 탈북자 수는 현재까지 2만7천여 명에 이릅니다.
하지만 대부분 극빈층으로 전락했습니다.
무엇보다 취업이 문제기 때문입니다.
심지어 탈북자를 고용하는 영세기업에 정부가
3년간만 인건비를 지원해주는 제도를 악용해
3년이 지나면 해고되는 탈북자들도 나오기 일쑤입니다.
탈북자도 북한 사회 각계각층에서 온 만큼
이들에게 맞는 정부의 맞춤형 정착지원제도가 필요하다는 지적입니다.
[인터뷰:김희태, 북한인권모임 사무국장]
"탈북 동포들이 한국에 올 때 많은 다양한 연령과 다양한 직업군을 가지고 오게 되는데요.
어떤 부분은 한국에 와서 교육을 하거나 취업을 해야되는 부분이고요,
어떤 나이 드신 분들은 한국에 와서 취업보다는 안정된 정착을 해야 되고요."
탈북자 단체들은 지금까지 재입북한 탈북자가 200명에 달하며
앞으로 더 늘어날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재입북이란 이들의 극단적 선택 뒤엔
우리 사회 냉대가 큰 몫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탈북인권운동을 하며 겪은 갈등과 북에 있는 노모
북한에 남아 있는 탈북자 가족들은 모두
정치범 수용소로 끌려가 죽지 못해 살아가야 한다고
찌라시들이 그동안 떠들어 왔던 것 같은데...
탈북자 가족, 특히 대북인권운동을 벌인 탈북자라면
북한당국으로서는 아주 사람 취급을 안할 것 같은데...
그런 사람의 가족도 북한에 아직까지도 태평하게
살아있는 모양이로군요.
그러면 그동안 찌라시들이 떠들어온 내용은
도대체 뭐란 말인지?
"남한에 와서 받는 이중적인 대우, 냉대, 차별
요즘 탈북자들에 대한 지원 작업이 지자체들을 중심으로
전국적 규모로 벌어지고 있지요.
정작 남한 일반 국민들에 대한 지원 사업은 거의 없어 보이는데...
현재 남한에서는 탈북자들이나 소위 "다문화가족"에 대한
지원 작업이 대대적으로 벌어지고 있음을 알만한 사람들은
다 알고 있지요.
그런데도....탈북자들은 이중잣대니, 냉대니, 차별이니 라고
떠들어대는데....그러나 그런 것은 사실
일반 남한 국민들 중 자본(=돈)이 없는 국민들도
모두 다 당하고 있는 것에 불과함을 그들 탈북자들은
아직도 깨닫지 못하고 있는가 봅니다.
하긴, 어느 찌라시 기사에서 얼마전 말하기를...
어느 탈북자가 말하기를.....자기는 죽을 고생을 해서
남한에 왔는데....오는 도중에 다쳐서 아픈데....
그러면 (잘사는) 남한 정부이니....정부가 나서서
자기가 일하지 않고도 먹고 살 수 있도록 보살펴주고
자기가 병원에 입원해서 일을 할 수 없으니
자기 대신 일을 할 수 있는 사람을 정부가 알아서
자기 직장에 보내주어야 하는데도.....
(잘사는) 남한 정부가 그렇게 하지 않고 있다고
불만을 토로하며 격렬한 반발을 했다고 합니다.
그 얘기는 혹시.....아래와 같은 얘기가 아닐까요?
즉, 북한에서는 어느 노동자가 아프면 그에 대해
국가가 알아서 책임져주고, 병원에 입원하면
자기 대신 일할 사람을 고용하여 자기 직장에 대신 가서
일하도록 해주는 것 아닐까요?
다만, 북한정부는 가난해서 그런 지원을 충분히 해주지 못했던 것
아닐까요? 그래서 소위 "잘산다는" 남한정부에서는 더욱 좋은
혜택을 줄 것이라고 그 탈북자가 착각한 모양인데....
그러나 여기 남한은 사회주의 사회가 아니라
돈이 말을 하는 "자본주의" 사회라는 것을 미처 이해하지
못했는가 봅니다.
따라서....자본주의 사회인 남한에서는
돈이 없으면 어느 일반 국민들도 사실상 그런 차별과 냉대를
일상적으로 받으며 살아가고 있다는 사실 조차를
그들 탈북자들은 아마도 모르는가 봅니다.
그래서 남한사회가 그들 탈북자들을 차별하고 냉대를 하는 것이라고
착각하는가 봅니다. ㅉㅉㅉ
지금까지 재입북한 탈북자가 200명에 달하며
앞으로 더 늘어날 것
탈북자단체들이 아마도 거짓말을 하는 것은 아닐 것이라고 봅니다.
아마도 어쩌면 위 숫자 보다도 사실은 더 많을런지도 모를 일이지요.
그러나 위 내용에 대해서는 당국이나 찌라시들이
쉬쉬하며 대대적으로 보도해대지를 않고 있지요.
물론, 우리 카페에서는 이미 진즉부터 위와 같은 내용에 대해
알고 있습니다만....
그나저나....
남한에 이미 오랫동안 살아본 탈북자들이라면
남한 사회가 그 얼마나 "자유"가 넘쳐나는 민주선진국가이며
나아가 먹거리가 도대체 얼마나 넘쳐나는 "풍요로운" 사회인지를
너무나 잘 알 것인데.....
그런데....그런 사실을 너무나 잘 아는 탈북자들이
도대체 무엇 때문에....."가혹한 세습독재"로 도저히 사람 살 곳이 못되는
"지옥같은" 사회라는 북한으로 다시 자발적으로 되돌아가겠다고 하는 것인지?
"자유"와 "풍요"가 넘쳐나는 남한에 사는 국민들로서는
도저히 이해가 안되는 일이로군요.
물론, 그 "자유"와 "풍요"가 그저
각자 돈과 권력을 가진 것만큼의 자유일 뿐이고, 풍요일 뿐임을
너무나 잘 알고 있기는 하지만 말입니다.
댓글
댓글 리스트-
작성자나는 사랑을 꿈꾼다. 작성시간 14.09.07 - ‘물론,
그
"자유"와
"풍요"가
그저
각자
돈과
권력을
가진 것만큼의
자유일 뿐이고,
풍요일 뿐이
기는
하지만.’ -
답댓글 작성자나는 사랑을 꿈꾼다. 작성시간 14.09.07 - “물론, 그 "자유"와 "풍요"가 그저
각자 돈과 권력을 가진 것만큼의 자유일 뿐이고, 풍요일 뿐임을
너무나 잘 알고 있기는 하지만 말입니다.” -
작성자무돌이 작성시간 14.09.07 저들이 왜 북을 다시 그리워하는가?
북이 배고프고 훨벗고 자유없다고하는데
다시 가려한다면 보내주는게 합당하다고
봅니다 북에서 받아만 준다면 말입니다!
우리는 우리식 체제가 공기처럼 소중하듯이
저들이 남한체제에 적응못한다면 인도주의적
측면에서 보내야한다!!!!!! -
작성자세리랑 작성시간 14.09.08 북한은 먹는 게 해결되면 나태해져 망할 것이다.
옛 소련이 그렇게 되었다.
만약에 새로운 문화를 형성해 간다면 모르까...... -
답댓글 작성자정론직필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작성시간 14.09.09 북한이라는 나라는.....새벽별 보고 일을 나와
저녁 늦게까지 일을 해야 하며, 천번 삽을 뜨고 한번만 허리를 펴는
강제 중노동 독재국가가 아니던가요?
세습독재로 주민들을 그렇게 강제중노동 시킨다는 가혹한 독재정치 국가에서
주민들이 나태해지다니요? 그것이 도대체 어떻게 가능하다는 말인지?
뭔가 좀 이상하다는 생각이 들지 않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