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나도 정책 제안하기

그 어떤 정책도 소용이 없다고 봅니다.

작성자때굴|작성시간12.11.25|조회수75 목록 댓글 4

조금 생각해보면 대한민국 교육 무엇이 문제인가 쉽게 파악할 수 있는데 이걸 놔두고 교육정책을 어떻게 바꿀까만 궁리하고 있어 보입니다.


대한민국 교육 문제의 근원은 교육이 아니라 생존경쟁입니다.


어려서부터 학교에서 생존경쟁이 아주 살벌하게 벌어지고 있는건데, 거기에서 애들은 이렇게 가르쳐야 하고 이렇게 학생을 선발해야 하고 하는 이야기를 아무리 해봐야 정말 아무 소용이 없죠. 


이걸 한 번 생각해보세요.


우리가 부러워하는 교육이 잘되있다는 핀란드. 그 핀란드에서 의대 가서 의사가 되면 소득수준과 생활수준이 어떤가 말이지요. 


그럼 그 핀란드에서 대학교도 못나오고 단순한 기술을 배워서 노동자가 되면 소득수준과 생활수준이 어떤가 말이지요.


확인할 필요도 없이 우리나라처럼 의사와 노동자의 격차가 크지 않습니다.


그래서 학교에서 생존경쟁이 우리나라처럼 벌어질 이유가 없는거고 학생들 서열화를 안하는 교육이 가능한 것입니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엄청난 격차가 존재하니깐 누구나 명문대 의대 (혹은 법대) 가려고 하는거고 또 이렇게 큰 격차가 존재하니깐


시험을 봐서 등수로 짤러야지 그나마 공평한거지 시험도 안보고 학교 맘대로 학생을 뽑아라 해버리면 정말 난리가 나는거죠.


글이 길어져서 이만 줄입니다만 대한민국의 교육문제를 해결하고 싶다면 의사하고 노동자하고 소득수준과 생활수준 


격차를 줄이면 됩니다. 꼭 대학을 나와서 그것도 명문대학이나 의대나 법대 같은 몇몇 특정 인기 학과를 나와야 남들보다 월등한


소득수준과 생활수준이 보장되는거고 그렇지 못하면 아주 낙오가 되버리는 사회에서 그 어떤 교육정책을 논한다는거 자체가


아무 소용이 없는 일입니다.


핀란드 학생이라고 상상해보세요. 공부에 전혀 관심이 없으면 대학교 안가도 그만입니다. 단순한 기술 배워서 노동자로


직업을 선택해도 장차 결혼해서 먹고 살고 애 낳아서 기르는데 지장 없고 하는 이런 환경이 우선인거지 


피튀기는 생존경쟁이 벌어지는 대한민국 학교의 학생들에게 무슨 교육을 어떻게 시킨다고 해서 학생을 어떻게 선발한다고 


해서 달라질게 없는 것입니다. 오히려 성적순으로 짜르는 서열화보다 더 심각한 불공평한 부작용만 양산할 수 있습니다.


우리사회의 생존경쟁이 그대로 투영된 학교에서 무엇을 가르치고 어떻게 학생을 뽑을까만 궁리한다고 해서 


달라질게 하나두 없습니다. 오히려 없던 문제를 양산할 수 있습니다. 로스쿨 도입했더니만 부자집 자제들만


로스쿨의 비싼 학비를 감당할 수 있어서 이제 가난한 집 자제는 법관이 되는게 갈수록 힘들어졌잖습니까?


로스쿨이 사법고시보다 더 공평해진건가요? 입학 사정관제도는 또 어떻게 되갈까요? 


잘 생각해보시기 바랍니다.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 작성자시라소니 | 작성시간 12.11.25 문화에 관한 부분인 것 같은데.. 문화는 교육에서 나옵니다. 교육이라는 것은 백년지대계입니다. 화초가 아닌 나무를 키우는 것이라 생각합니다. 현재는 소용 없더라도 앞으로 달라져야 하기 때문에 많은 분들이 열심히 뛰는 것이죠. 저를 포함한 국민들 개개인이 노력한다면.. 포기하지 않는다면 반드시 변화될 것이라 믿습니다. 포기하면 지는 것입니다. 기득권층이 원하는 부분은 바로 이런 부분들 입니다. 더욱 더 생존시켜서 그들의 파워를 더욱 돈독히 하는 것.. 절대 포기하지 말고 나아가야 합니다. 나무 한그루 키우듯 말입니다. 교육과 문화 이런 부분들은 화초를 키운다는 생각을 하면 바로 망하게 되어 있습니다.
  • 작성자leastory | 작성시간 12.11.25 우리카페 정책 제안에 의견 좀 주세요.^^
  • 작성자오드리 | 작성시간 12.11.25 때굴님 말씀에 동의합니다^^ 정말 우리도 그렇게 살아왔지만 우리 아이들은 더 심하게 된 실정이지요.
  • 작성자소후 | 작성시간 12.11.26 교육에 관한 수많은 미사여구..
    선인들의 교훈..문화.. 생존..
    모두 다 중요하지만
    제도의문제가 아닌
    오늘 이 시대정신이 요구하는 교육의 지표는 무었이냐
    곳..무었을 위한 교육이냐..
    여기서 출발해야 하는것은 아닌지...ㅠ
댓글 전체보기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