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서울 식중독 74%, 친환경센터 ‘미거래 학교’

작성자peter|작성시간14.04.07|조회수19 목록 댓글 1

서울 식중독 74%, 친환경센터 ‘미거래 학교’
[발굴] 센터와 거래 끊도록 압력 서울교육청...“건강보다는 정치득실만...”
 
윤근혁 기사입력  2014/04/07 [16:53]

▲ 서울시교육청이 만든 ‘연도별 식중독 발생현황’문서.     © 윤근혁

 
최근 4년간 서울지역 초중고에서 발생한 식중독 사고 가운데 74%는 서울시가 만든 친환경유통센터와 거래하지 않은 학교에서 터진 것으로 처음 밝혀졌다. 하지만 서울시교육청은 올해부터 학교가 이 센터와 거래하는 것을 사실상 가로막고 나서 우려를 낳아 왔다.
 
19건 가운데 14건이 ‘미거래 학교’, 왜?
 
7일, 서울시교육청이 만든 ‘연도별 식중독 발생현황’ 문서를 입수해 살펴본 결과 2010년부터 2013년까지 4년간 모두 19개교(2010년 6개교, 2011년 4개교, 2012년 5개교, 2013년 4개교)에서 식중독 사고가 터진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19개교의 식중독 사고 가운데 73.7%인 14건(2010년 6건, 2011년 2건, 2012년 5건, 2013년 1건)은 친환경유통센터와 거래하지 않은 학교에서 터진 것으로 드러났다. 하지만 26.3%인 5건은 이 센터와 거래한 학교였고, 역학조사기관의 결론은 모두 ‘원인불명’이었다. 서울시교육청의 문서에 나온 ‘식중독 발생 학교명’과 서울시의회 김명신 의원(새정치민주연합)이 친환경유통센터로부터 최근 받은 ‘연도별 센터 이용학교명’을 기자가 직접 견줘본 결과다.
 
친환경유통센터는 학급 식중독 사고가 잇달아 터지자 2009년 당시 오세훈 서울시장이 급식운동단체들의 요청을 받아들여 만든 공적 식재료 유통 기구다. 이 센터는 ‘배추’, ‘생족발’ 등을 비롯한 농축수산물 식재료를 공급하지만 2차 가공식품인 김치나 훈제족발 등을 취급하지는 않는다.
 
서울 전체 초중고(특수학교 포함) 1326개교 가운데 2010년은 268개교(20.2%), 2011년은 584개교(44.0%), 2012년은 781개교(58.9%), 2013년은 853개교(64.3%)가 각각 이 센터와 거래했다. 하지만 올해 4월 현재 서울시교육청의 거래 중단 압력에 따라 39개교(2.9%)만 남아 있는 상태다.
 
지난 3월 식중독이 터진 서울의 한 중학교는 친환경유통센터와 거래를 끊은 직후 사고가 발생해 논란을 빚은 바 있다.
 
서울시교육청 “식중독 원인이 대부분 불명인데, 단순 비교는 문제”
 
김명신 의원은 “친환경유통센터와 거래한 학교가 2011년 이후부터 절반 이상을 차지했는데도 식중독 발생 비율은 상대적으로 크지 않았다”면서 “이런 추세인데도 서울시교육청이 학생들의 건강이나 식중독 발생 문제에 대한 관심보다는 정치 이해득실에 따라 센터와 거래를 끊도록 하고 있어 안타깝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서울시교육청 관계자는 “식중독의 원인 식재료가 무엇이었느냐는 것이 핵심 문제인데, 그것과 관련 없이 친환경유통센터와 거래 상황만을 수치로 단순 비교한 것은 문제가 있다”면서 “식중독의 원인이 대부분 ‘불명’인 상태에서 섣불리 친환경유통센터와의 관련성에 대해 주장하는 것은 맞지 않다”고 반박했다.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댓글

댓글 리스트
  • 작성자초록생각 | 작성시간 14.04.08 날이 따뜻해지는데 더더욱 걱정이네요.
    애들에게 먹거리가 얼마나 중요한데 말입니다!
댓글 전체보기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