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2025.07.06 07:50
수정 2025.07.06 12:42
이득우 조선일보폐간시민실천단 단장
● "아예 공장 없애지"…막말·혐오 칼럼·기사 쏟아내
○ 노조회계 공시 말하는 조선일보부터 세무조사를
현직 기관사인 김영훈 씨가 고용노동부장관으로 지명되면서 방씨조선일보의 걱정이 태산이다. 6월 25일 사설 제목부터 "민노총 장관에게 '노사 균형' 기대나 할 수 있겠나"이다. 우선 민노총 장관이란 지칭이 음험하다. 방씨조선일보가 이번 인선에서 기업인 출신으로 장관으로 지명된 사람을 기업인 장관이라서 문제 삼은 적은 없다. 검사 장관, 교수 장관 등도 마찬가지다. 유독 김 장관에게만 민노총 장관이란 딱지를 붙였다. 그들이 미친 듯이 민주노총을 악마로 불러왔으니 당황스러웠나 보다. 반노동을 넘어 차별과 분열을 일상화하는 방씨조선일보가 오죽하랴. 더구나 현직 노동자가 장관이라니 하늘이 무너진 듯하리라. 게으르고 교활한 그들에게 민노총 대신 민주노총이 공식 약칭임을 밝혀둔다.
방씨조선일보는 노동부 장관은 노사 양쪽의 균형을 잡고 노사가 상생할 수 있는 방향으로 노동 정책을 수립하고 집행해야 하는 자리란다. 노동계의 목소리를 일방적으로 대변하라는 자리가 아니란다. 사실 여부를 차치하고 역대 노동부 장관이 노사가 상생할 수 있는 방향으로 정책을 펼쳐왔는지 돌아볼 일이다. 윤석열 내란 세력이 건설노동자를 건폭으로 몰아칠 때 노동부의 입장은 엄정 대응을 가장한 노조 탄압이었다. 방씨조선일보는 건설노동자 양회동 열사가 노동자 탄압에 죽음으로 항거했을 때조차 분신 방조와 유서 조작 의혹 등을 날조하는 비인간적 범죄 행각을 벌였다.
방씨조선일보는 기업이 강자가 아니고 노조가 강자로 바뀐 지 오래 됐다며 헛소리를 늘어놓는다. 그들은 작년에 ‘12:88, 노동 시장을 바꿔야 한다’는 기획 기사를 내보냈다. 대기업 직원과 중소기업-비정규직 근로자 구도를 부각하며 전체 임금 근로자 중 12%인 대기업 정규직과 중소기업 및 비정규직 근로자 등 나머지 88%로 쪼개진 한국 노동 시장의 이중구조 민낯이라는 그럴싸한 내용이었다. 노동자 간의 갈등이 문제의 핵심인 것처럼 떠들어 대면서 뒷구멍으로 기업주들과 무슨 거래를 했을지는 짐작만 할 뿐이다. 노동자의 생존에 관련된 문제의 핵심을 흐리려는 간악한 술책이 아닐 수 없다.
6월 27일에는 ‘기업주 처벌로 재해 "발본색원", 아예 공장을 없애지 그러나’라는 저렴한 제목을 사설이라고 뱉었다. 우선 신문의 얼굴이라는 사설이 갖춰야 할 기본적인 품격보다 비아냥만 남아 있음이 눈에 띈다. ‘아예 공장을 없애지, 그러나’는 그중 압권이다. 중대 재해를 없애야겠다는 다짐을 보여주려는 상징적인 어휘인 ‘발본색원’을 물고 늘어지는 방씨조선일보가 안쓰럽다. 중대재해법을 한사코 막아 서는 방씨조선일보의 계산은 참으로 복잡할 것이다. 기회주의적으로 자신들의 잇속만 챙기려는 짓이 그들의 유전자에 새겨져 있는 듯하다. 사람 목숨은 살리자는 명분에 딴지를 거는 세력이 언론이라니 불행한 일이다.
사설은 제목 못지않게 내용도 억지로 가득하다. 원론적인 얘기를 하는 듯하지만 깐죽임을 통해 대기업에 한풀이할 장을 마련해주려는 속셈이 아닌지 의심스럽다. 마치 노동 문제를 걱정하는 척하며 그들의 시선은 광고주인 대기업에 쏠려있음이 틀림없다. 인간의 한계를 무시하고 ‘발본색원’이라며 기업주를 처벌한다면 기업 할 사람이 어디 있겠느냐는 말은 언뜻 솔깃하다. 대한민국이 OECD 국가 중 산재 사망률 1위라는 불명예를 씻기 위해 비상한 각오를 발본색원이 가능하냐며 조롱하는 태도는 언론의 금도를 한참 넘어섰다.
6월 29일에는 ‘노동계 몫 장관 꼬리표 떼려면’이라는 제목의 김아사 씨의 기사가 떴다. 역시 방씨조선일보 종업원다운 발상이다. 노동부 장관은 노동계에서 맡는 것이 당연하다. 따라서 노동계 몫에 맞게 정책을 펼쳐야 한다. 노동계 몫 장관이라는 꼬리표를 떼려고 애쓸 것이 아니라 오히려 노동계를 위해 일하고 있음을 당당히 알려야 한다.
(이하 생략)
출처: https://www.mindle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44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