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문학

중국 역사상 가장 유명한 詩

작성자다산|작성시간10.09.10|조회수16 목록 댓글 0

중국 역사상 가장 유명한 詩

 

중국 역사상 가장 유명한

 

 

 

靜夜思(정야사) - 이백

 

床前明月光  머리맡에 밝은 달빛

 

疑是地上霜  땅에 내린 서리인가.

 

擧頭望明月  머리 들어 밝은 달 바라보다

 

低頭思故鄕  고개 숙여 고향을 생각한다.

 

‘고향’을 떠올렸을 때

 

 중국인이 가장 먼저 떠올리는 이백의 명시.

 

중국인이라면 누구나 외우는 시이기도 하다.

 

 

독음과 뜻이 모두 명려하고 물 흐르듯 자연스러운 시.

 

 인간이라면 누구나 가지고 있는 보편적인 향수의 감정을 표현하였다.

 

이 때문에

 

천 년이 넘도록 중국인에게 가장 익숙한 시로 자리 잡은 작품.

 

 복잡한 사상이나 화려한 수식 대신,

 

가장 담담하고 소박한 필체로 풍부하면서도 섬세한 감정을 묘사한 시.

 

 

遊子吟(유자음)-맹교

 

慈母手中線  인자하신 어머니 손에 실을 드시고

 

游子身上衣  떠나는 아들의 옷을 짓는다.

 

臨行密密縫  먼 길에 해질까 촘촘히 기우시며

 

意恐遲遲歸  돌아옴이 늦어질까 걱정이시네

 

誰言寸草心  한 마디 풀 같은 아들의 마음으로

 

報得三春暉  봄 볕 같은 사랑을 어이 갚으랴.

 

모정을 읊은 송가.

 

세상에서 가장 위대한 정인 어머니의 사랑을 기리고 있다.

 

특히 어머니의 사랑을

 

봄볕에 비유한 마지막 두 구는

 

 지금도 널리 쓰이는 비유.

 

 

화려한 시어는 없지만

 

 담백하고 소탈한 어투 속에 배어 나오는 아름다움은 진하다.

 

 

賦得高原草送別(부득고원초송별)-백거이

 

離離原上草  우거진 언덕 위의 풀은

 

壹歲壹枯榮  해마다 시들었다 다시 돋누나.

 

野火燒不盡  들불도 다 태우지는 못하니

 

春風吹又生  봄바람 불면 다시 돋누나.

 

遠芳侵古道  아득한 향기 옛 길에 일렁이고

 

晴翠接荒城  옛 성터엔 푸른빛 감도는데

 

又送王孫去  그대를 다시 또 보내고 나면

 

??滿別情  이별의 정만 풀처럼 무성하리라.

 

 

백거이의 이 시는

 

 ‘들불도 다 태우지는 못하니,

 

 봄바람 불면 다시 돋누나.’는

 

 구절이 가장 유명하다.

 

 

시의 흐름이 매우 자연스럽지만

 

또한 한 구절 한 구절 세심하게 공들인 흔적이 엿보인다.

 

 

七步詩(칠보시)-조식

 

煮豆燃豆?  콩을 삶는데 콩대를 베어 때니

 

豆在釜中泣  솥 안에 있는 콩이 눈물을 흘리네

 

本是同根生  본디 같은 뿌리에서 태어났는데

 

相煎何太急  어찌 그리도 세차게 삶아대는가

 

 

조식은

 

조조의 둘째 아들인데


재주가 워낙 출중해

 

 아버지인 조조에게서 총애를 받고,

 

형인 조비에게서는 심한 질시와 견제를 받았다.

 

 조비는 왕위에 오른 후에도

 

조식을 견제하며 해치울 기회만 엿보았다.

 

그러던 어느 날

 

 조비는 조식에게 일곱 걸음을 걷는 동안에

 

시를 지으라고 명령하며

 

만약 그 동안에 시를 짓지 못하면 중벌에 처하겠다고 말한다.

 

 이 때 조식이

 

지은 시가 바로

 

‘칠보시’로,

 

조비는 이 시를 듣고 부끄러워하며 동생을 놓아주었다고 한다.

 

 

九月九日憶山東兄弟(구월구일억산동형제)-왕유

 

獨在異鄕爲異客 홀로 타향서 나그네 되니

每逢佳節倍思親 명절 때마다 고향 생각 더욱 간절하다

遙知兄弟登高處 형제들 높은 곳에 올라

遍揷茱萸少壹人 산수유 꽂으며 놀 적 한 사람이 적음을 알 것이니

 

고향과 가족을 향한 떠도는 이의 그리움을 노래했다. 반복해 읽을수록 의미가 새롭게 곱 씹히는 시.

 

명절만 되면 고향 생각 더욱 간절하네.’란 구절은 천여 년 간 나그네의 그리움을 나타내는 명언으로 쓰였으며, 고향을 떠난 수많은 이의 가슴을 울렸다. 명절 때마다 가족을 먼저 생각하는 중국인 특유의 문화가 배어있는 시.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